정관 변경 안건 저지한 임종윤·종훈 형제
3자 연합은 신동국 이사회 진입 성공
갈등 격화하는 동안 그룹 실적은 ‘뚝’
한미약품그룹 창업자 일가의 경영권 갈등 교착 상태가 장기화에 돌입했다. 신동국 한양정밀 회장이 한미사이언스 이사회 진입에 성공하면서 이사회 대치 구도가 선명해진 탓이다.
우크라 국방장관 “韓 정부 지원 큰 도움”
러시아는 한→우 무기 지원 예의주시
전투 경험 쌓는 북한군, 한국에 위협
10월 29일 윤석열 대통령이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과 전화 통화를 하고 있다/사진=대통령실
한국과 우크라이나가 러시아와 북한의 군사 협력으로 인한 안보 위협에 대처하기 위해 실효적인 대응 방안을 함께 강구해 나갈
재무장관 베센트·상무장관 러트닉 지명
트럼프 옹호 행보→IRA 폐지론 힘 실어
美 통상정책 궁극 목표, 무역수지 개선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당선인의 취임이 목전으로 다가오며 대미 무역 흑자국인 한국도 미국의 통상압박 사정권에 들게 됐다. 시장에선 대미 자동차 수출이 그 시작점이 될 것이란 전망이 우세한 가운데, 각국 정부는 미국의 보편관세 도입에 앞서 경제적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분주한 모습이다.
국내 6위 무궁화신탁 ‘적기시정조치’ 위기
적극적 자금 조달에도 부채비율 증가세
“금리 인하로 유동성 확대해야”, 변수는 환율
국내 6위 부동산신탁회사인 무궁화신탁이 금융당국으로부터 ‘적기시정조치’를 받을 위기에 처했다. 부동산 경기 침체에 따른 손실 누적이 그 원인으로, 여타 부동산신탁사 가운데 상당수가 비슷한 문제를 안고 있는 것으로 파악됐다.
정비사업 수익성↓, 수익 모델 다각화 추세
바이든 정부 정책 기조 따라 ‘친환경 바람’
해외 시장 겨냥한 신사업 노선 수정 불가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당선인의 취임이 목전으로 다가오며 국내 산업의 희비가 엇갈리는 모습이다. 트럼프 당선인이 현 정부와는 정반대의 정책 기조를 시사하면서 일부 기업의 향후 사업 계획에도 차질이 예상되고 있어서다.
상반기 해외 유출 투자금, 유입의 6배비용절감 위해 해외 향하는 생산 시설국내 시장 향한 투자자 기대감 급락
국내 투자로 일자리를 창출하고 경제 기반을 다져야 할 기업들이 연이어 한국을 떠나고 있다. 가파른 임금 인상과 강직된 노동 규제가 그 주범으로 지목되는 가운데, 내수 부진의 영향 또한 무시할 수 없다는 분석이 나온다. 실물 경제에 선행하는 주식 시장은 이미 하락세에 접어든 모양새다.
트럼프 “일자리 지키기”에 러스트 벨트 환호
1기 행정부 WTO 주요 기능 마비시키기도
보호무역 성공 사례 드물어, 성패에 촉각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당선인의 백악관 재입성을 앞두고 자유무역주의의 시대가 막을 내릴 것이란 전망이 제기됐다. 미국의 이익을 최우선으로 하는 트럼프 2기 행정부의 핵심 기조가 보호무역주의인 탓이다.
연내 우선협상대상자 선정에 무게
‘공개 매각→수의계약’ 과정에서 특혜 논란
IBK 물러나며 메리츠·데일리 2파전 구도
예금보험공사가 MG손해보험 매각과 관련해 신중한 행보를 이어가고 있다. 정치권 일각에서 제기된 특혜 논란에는 “의아하다”는 답변으로 선을 그었지만, 해당 논란을 잠재우기 위해서라도 우선협상대상자 선정 등에 신중해질 수밖에 없는 것이다.
시진핑 브라질 국빈 방문, 정상회담 예정
‘녹색 에너지 성장’ 정책 기조 유사
중국, ‘미국 뒷마당’ 내 영향력 확대 박차
지난해 4월 중국을 방문한 루이스 이나시우 룰라 다 시우바 브라질 대통령이 리창 중국 총리와 악수를 나누고 있다/사진=중국 국무원
그간 등거리 외교 노선을 취해 온 루이스 이나시우 룰라 다 시우바(Luiz Inac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