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main content

김민주

[email protected]

기술의 발전으로 우리는 지금 정보의 바다에 살고 있습니다. 독자 여러분들이 표류하지 않도록, 정확한 정보만 골라 빠르게 전달하겠습니다.

김민주

라자루스, 韓 SW·IT·금융·통신 기업 노려 파일 전송 SW '이노릭스 에이전트'서 취약점 발견 해외 자산 탈취해 탄도 미사일 개발에 사용 북한 해킹 조직 라자루스가 한국 공급망을 대상으로 사이버 공격을 가했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라자루스는 고도화된 워터링 홀(Watering Hole) 방식과 서드파티 소프트웨어 취약점 악용을 결합한 정밀 공급망 공격을 시도한 것으로 드러났다.

Read More
김민주

한국 업체 철강재 수출 물량 '뚝' 경기 불황에 관세 불확실성 겹친 영향 핵심 공장 줄줄이 해외로 미국이 지난달 12일부터 수입 철강재에 25%의 관세를 부과한 가운데, 이달 들어 한국 업체의 철강재 수출이 9%가량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철강재 수출은 3월부터 감소세로 돌아섰는데, 주요국 중에서는 멕시코로 나가는 철강재 물량이 지난달 가장 큰 폭으로 감소했다.

Read More
김민주

中 디스플레이 업체 BOE와 계열사 7곳 상대 美 법원에 영업비밀 침해 소송 제기 핵심 특허 침해 및 기술 및 인력 탈취 의혹 출처=텍사스동부법원 삼성디스플레이가 중국 최대 디스플레이 업체인 BOE를 상대로 추가 소송에 나선 것으로 확인됐다.

Read More
김민주

韓 올해 성장률 전망 2%→1% 곤두박질 주요국 중 가장 많이 내려 미국발 관세전쟁 등 교역환경 악화 영향 국제통화기금(IMF)이 올해 한국의 경제성장률을 1.0%로 전망했다. 이는 1월 전망 때 제시했던 2.0%와 비교해 성장률을 1.0%포인트나 더 낮춘 것으로, 주요국 중 가장 많이 하향 조정한 것이다.

Read More
김민주

다우존스·S&P500·나스닥, 나란히 하락 마감 트럼프 "파월, 금리 인하 지연 시 경기 둔화" "미스터 투 레이트" 등 비난 쏟아내기도 출처=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트루스소셜 미국 또 증시가 급락했다.

Read More
김민주

대형 쇼핑몰·이커머스에 치이는 이랜드리테일 지방 백화점 이어 중견 아울렛도 생존 위기 외형 정체에 재무 부담까지 가중 NC백화점·뉴코아아울렛을 운영하는 이랜드리테일이 뉴코아 인천논현점 폐점을 검토 중인 것으로 확인됐다. 이랜드리테일이 2010년 6월 아웃렛 31호점으로 해당 점포를 연 지 15년 만이다.

Read More
김민주

SSA 인력 대규모 감축 및 사무소 폐쇄 민주당 “사회안전망 해체” 경고 조 바이든도 "사회보장에 도끼질" 비판 일론 머스크 테슬라 CEO/사진=일론 머스크 X 미국의 사회보장제도(Social Security)를 둘러싼 진통이 이어지고 있다.

Read More
김민주

‘일시적 영향’서 ‘성장 둔화’로, 파월 '고관세' 인식 전환 스태그플레이션 경고등 점등, 성장-물가 동반 충격 예고 세계 경제에 드리운 관세전쟁 그림자, 미·중 만의 문제 아냐 제롬 파월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 의장이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의 고(高)관세 정책이 물가 인상과 성장 둔화를 불러올 것이라고 경고했다. 그간 파월 의장은 트럼프 관세가 경제에 ‘일시적인’ 영향만 줄 뿐이라고 강조해 왔지만, 입장을 선회한 것이다.

Read More
김민주

여러 단지 묶는 '통합 재건축' 이해관계자 많아 사업 지연 가능성↑ 가구 수·입지·집값 다를수록 충돌 서울 종로구 창신동 일대 신속통합기획 조감도/사진=서울시 수도권에서 한 지역에 밀집된 여러 아파트 단지를 하나로 묶어 재건축·재개발을 추진하는 ‘통합 재건축’ 시도 단지가 늘고 있다.

Read More
김민주

3월 9.3만 건까지 늘었지만 이달 8.7만 건으로 뚝 대통령 파면으로 정책 연속성 장담 못해, 불확실성↑ 매물 거둔 강남 집주인들, 조기 대선 전까지 관망세 유지 서울 부동산 시장에서 아파트 매물이 빠르게 사라지고 있다. 강남 3구(강남·서초·송파구)를 중심으로 조기 대선까지 집값 추이를 지켜보자는 관망세가 짙어진 데 따른 결과로 풀이된다.

Read More
김민주

소비 위축에 '독한 술' 외면 겹쳐 승승장구하던 위스키社 '비틀' 실적 악화에 창사 첫 희망퇴직도 국내 위스키 제조사들이 휘청이고 있다. 경기가 사나워지면서 소비심리가 위축되고 있는 데다 독한 술을 찾는 소비자마저 줄어들고 있기 때문이다. 실적 부진을 이겨내지 못한 일부 회사에서는 매각설까지 흘러나오는 분위기다.

Read More
김민주

당국, 자기자본비율 규정 완화 정책금융 공동투자 땐 인센티브 종투사 자산운용 규제도 개편 금융당국이 은행을 비롯한 금융사의 벤처기업 투자 활성화를 위해 국제결제은행(BIS) 자본 규제를 손본다. 미국 상호관세 조치로 국내 기업 충격이 커지면서 원활한 자금 공급 필요성이 커지고 있지만, 자기자본 관리에 매여 있는 은행들로선 위험가중자산(RWA) 비율을 높이는 기업 여신 업무를 꺼릴 수 있어서다. 하지만 업계 반응은 미온적이다.

Read More
김민주

중국 제외 전 국가 대상 상호관세 90일 유예 1시간 만에 침체 확률 65%→45%, 성장률 1%→0.5% 무역전쟁 본선은 여전히 진행 중, 확전 가능성도 상존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지난 2일 미국 워싱턴 D.C.

Read More
김민주

메리츠, 1.2조 인수금융 단독 리파이낸싱 실질 금리는 만기수익률(YTM) 기준 최고 14% 홈플 6월까지 회생계획안 제출,향후 협상 주목 사진=메리츠증권 메리츠금융그룹이 작년 홈플러스 인수금융 리파이낸싱(차환) 당시 적용했던 금리가 14%였던 것으로 확인됐다. 그간 알려진 금리는 8% 수준이었는데 실제로는 그 2배에 가까웠던 것이다.

Read More
김민주

샤오미, 국내 알뜰폰 통신 사업 진출 KT엠모바일, 샤오미 신제품 알뜰폰 시장 첫선 매장 없는 ‘샤오미 스마트폰’, 유통망 확보 과제 사진=스피츠모바일 한국법인 설립 이후 시장 확대에 공을 들이고 있는 샤오미가 오프라인 판로 확보가 여의치 않자, 알뜰폰 시장을 기웃거리고 있다.

Read More
김민주

아이폰 생산 90% 맡은 중국에 관세율 54% 부과 삼성 폰 만드는 베트남에도 최대 46% 관세율 높은 관세에 스마트폰 가격 인상 불가피 도널드 트럼프 2기 행정부가 베트남과 중국 등 삼성전자와 애플의 주요 스마트폰 생산국을 대상으로 고율의 상호관세를 부과한다고 발표했다. 이에 미국 시장에서 삼성전자와 애플의 스마트폰 가격 인상이 불가피해지고, 판매 부진으로 이어질 것이라는 우려가 확산되고 있다.

Read More
김민주

GPT-4o 이미지생성 글로벌 돌풍 출시 일주일 만에 생성 7억 장 돌파 저작권 침해 논란 불가피 샘 올트먼 오픈AI CEO의 프로필 이미지/사진=샘 올트먼 X 오픈AI의 챗GPT가 ‘지브리 스타일’ 열풍을 타고 국내에서도 폭발적인 인기를 끌고 있다.

Read More
김민주

아빠들 육아휴직 사용률 저조 보수적인 문화 및 낮은 여성 취업률 영향 조직이 나서 업무 공백 막아야 기업들이 출산·육아 복지를 경쟁적으로 강화하고 있지만 여전히 ‘아빠 육아휴직’ 사용은 저조한 것으로 나타났다. 코스피 ‘톱 10’ 대기업 중 남성 육아휴직률이 두 자릿수인 기업은 단 두 곳뿐이었다. 직원들 사이에서는 ‘아직 남성직원들의 일·가정 양립은 먼 나라 이야기’라는 푸념이 나온다.

Read More
김민주

中, 자율주행 기술 개발 및 보급에 박차 글로벌 자동차 업체들은 잇따라 잠정 중단 기술적 한계 및 고가의 개발 비용 발목 바이두 로보택시 '뤄보콰이파오'의 운행 모습/사진=바이두 중국의 정보통신(IT) ·자동차 기업들이 ‘자율주행 대중화’를 외치며 기술 개발과 보급에 열을 올리고 있지만, 인간 운전자를 완전히 대체하기까지는 갈 길이 멀

Read More
김민주

'적자 늪' 빠진 상호금융 부동산 급등기에 PF 늘려 덩치 불어도 관리는 느슨 농협·수협·신협·산림조합 등 4대 상호금융의 지난해 부실채권(고정이하여신)이 27조원을 넘어선 것으로 나타났다. 전년 대비 1.6배 급증한 규모다. 지역·서민금융 공급이라는 본연의 역할을 소홀히 하고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등에 한눈을 판 결과라는 지적이 나온다.

Read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