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main content

김민주

[email protected]

기술의 발전으로 우리는 지금 정보의 바다에 살고 있습니다. 독자 여러분들이 표류하지 않도록, 정확한 정보만 골라 빠르게 전달하겠습니다.

김민주

중국산 SW 적절성 검토 진행 中 EDA 사용 전면 중단할 듯 반도체 설계 비용 증가 불가피 도널드 트럼프 2기 행정부의 대중 반도체 제재 강화 가능성이 한국 반도체 산업에도 직접적인 영향을 주기 시작했다. SK하이닉스는 올해 초부터 중국산 전자설계자동화(EDA) 소프트웨어 사용 중단을 검토 중이며, 삼성전자도 곧 이를 따를 것으로 보인다. 전문가들은 SK하이닉스와 삼성의 선택을 글로벌 반도체 공급망 재편의 축소판으로 보고 있다.

Read More
김민주

美 국방 “매년 8% 예산 삭감” 對유럽 안보 예산 줄어들자 다급한 EU 방위비 증액 추진 키어 스타머 영국 총리가 25일(현지시간) 런던에 있는 관저에서 국방비 지출에 관한 성명을 발표하고 있다/사진=키어 스티머 총리 X(옛 트위터) 영국이 국제 지원 예

Read More
김민주

바이비트서 해킹 사건 발생, 역대 최대 규모 해킹 범인으로 북한 '라자루스 그룹' 지목 콜드월렛·멀티시그도 뚫어 '충격' 주말 사이 역대 최대 규모의 해킹 사고가 발생한 가상자산 거래소 바이비트에서 5조원이 넘는 뱅크런(대규모 인출 사태)이 발생했다. 반복되는 가상자산 거래소 해킹은 중앙화된 거래소의 취약함을 드러낸 동시에 가상자산 투자자들에게 경각심을 일깨우고 있다.

Read More
김민주

빅테크, AI 테스트베드로 인도 선호 MS·구글 투자한 벵갈루루·텔랑가나주 '인도 실리콘밸리'로 급부상 글로벌 기술 기업들이 인공지능(AI) 인재 확보 경쟁을 벌이는 가운데, 인도가 새로운 격전지로 떠오르고 있다. 미국 실리콘밸리에서나 볼 법한 복지 시설을 갖춘 캠퍼스들이 인도 곳곳에 들어서는 등 인재 유치를 위한 환경 조성에도 속도가 붙는 모습이다.

Read More
김민주

'반세권' 뜨던 평택, 반도체 특수 어디로 입주 한참 됐는데 집집마다 텅텅 반도체 벨트마저 '빈집 벨트'로 삼성전자 평택캠퍼스 야경/사진=평택시 반도체 클러스터 조성 등으로 관련 산업 수혜 효과를 누리던 경기 평택시 등 남부지역 아파트값이 지속해서 내리고 있다.

Read More
김민주

지난해 12월부터 시작한 경영 통합 논의 중단 시스템 일원화 요구 등 닛산 자존심 자극 업계 “사풍 다른 회사, 협상서 상당한 잡음” 닛산과 혼다의 경영 통합이 백지화된 가운데, 양사의 합병 논의 중단이 닛산의 '자만심' 때문이라는 분석이 제기됐다. 닛산이 무릎 아래까지 괴사한 상태에서 혼다의 도움이 절실했음에도 경영진이 이를 슬기롭게 받아들이지 못했다는 지적이다.

Read More
김민주

밀레이 대통령, 가상화폐 홍보 논란 추천 후 몇 시간 만에 코인 94% 폭락 "전형적인 '러그 풀' 수법" 사기 혐의 피소 하비에르 밀레이 아르헨티나 대통령/사진=밀레이 대통령 인스타그램 ‘가상통화 예찬론자’ 하비에르 밀레이 아르헨티나 대통령의 밈코인(유행·유머 등에 기반해 만들어진 가상통화) 사기 스

Read More
김민주

글로벌 기업들 '굿바이 차이나' 미·중 무역 갈등 격화하자 '脫중국' 행렬 생산공장 옮기고 사업 원점 재검토 미·중 갈등의 골이 깊어지면서 다국적 기술기업의 ‘탈(脫)중국’ 움직임이 가속화하고 있다. ‘중국 말고는 어디든’(anything but China)을 뜻하는 ‘ABC’가 새로운 전략으로 떠오른 양상이다.

Read More
김민주

켈로그 특사 "평화협정 관한 모든 것은 여전히 논의 대상" 동맹국 대사들 만나 '더티 딜' 우려 불식 "모든 국가가 협상 테이블에 앉는 건 비현실적", 유럽 참여 부정적 키스 켈로그 미 대통령 우크라이나·러시아 특사(왼쪽)가 17일(현지시간) 북대서양조약기구(NATO·나토) 회의에 참석한 모습/사진=나토 키스 켈로그

Read More
김민주

백종원 불패 신화 '흔들' 빽햄 논란 더본코리아 주가 급락 속 인수합병 본격 착수 F&B 업체 인수해 밸류에이션 조정 의도 사진=백종원 유튜브 채널 캡처 몸값 고평가 논란 속에 상장했다가 주가 급락을 면치 못하고 있는 더본코리아가 기업 인수합병(M&A)에 본격 착수했다.

Read More
김민주

TV 대신 유튜브로 정치 의사 결정 유튜브에 판치는 가짜뉴스, 정치편향 부추겨 소득 및 교육 수준 막론하고 대다수에 영향 20년 전 ‘당신의 TV(Your TV)’라는 이름으로 탄생한 유튜브가 이제는 TV를 넘어서는 명실상부한 글로벌 1위 영상 플랫폼으로 자리매김했다. '미디어 권력'이 미디어 기업에서 시청자에게로 넘어가는 결정적인 역할을 유튜브가 해낸 셈이다.

Read More
김민주

소프트뱅크, 지난달 오픈AI에 2조2,000억원 추가 투자 ARM과의 시너지 이끌 AI 소프트웨어·데이터센터 업체에도 출자 고토 CFO "AI 반도체 분야는 우리 강점, 초인공지능 실현할 것" 손정의 소프트뱅크그룹 회장/사진=소프트뱅크그룹 일본 'AI 굴기'의 선봉을 자처하고 있는 소프트뱅크그룹이 오픈AI에 2조원이 넘는 금액을 추가로

Read More
김민주

테슬라 투자자들 "일론 머스크의 D에 대해 걱정" 많은 직책 보유한 머스크에 대한 호감도 저하 정부효율부 관련 머스크의 활동, 주가에 부정적 일론 머스크 테슬라 CEO/사진=일론 머스크 X 일론 머스크 테슬라 최고경영자(CEO)의 자산이 두 달 만에 27% 감소했다.

Read More
김민주

해외 직구에 한정돼 있던 사업 영역 본격 확장 현지화로 한국 시장 공략 후 미국 시장 진출 노려 한국 셀러 인프라 활용해 '택갈이' 시도 사진=테무 중국계 이커머스 플랫폼 테무가 한국 직진출을 본격화하고 있다.

Read More
김민주

이달 14~16일 뮌헨 안보회의서 종전 논의 물살 가능성 마이크 왈츠 "양측 테이블에 앉아야, 전 세계가 도울 준비" 우크라 희토류·천연자원·석유·가스 등으로 비용 회수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이번 주 중 우크라이나 전쟁 종전 문제를 논의할 예정이다. 우크라이나에 대한 막대한 지원금을 회수하기 위함으로 풀이된다.

Read More
김민주

파나소닉홀딩스, TV 사업 철수 고심 日 TV 시장, 中 브랜드 점유율 급상승 삼성·LG도 위태, 수익 다변화 과제로 사진=파나소닉 일본 파나소닉홀딩스가 70년 넘게 이어온 TV 사업을 철수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 그간 파나소닉은 만성적인 적자에 시달리는 TV 사업을 축소해 왔는데 아예 TV 사업을 접기로 한 것이다.

Read More
김민주

테슬라 주가 최근 약세 행보, GM·포드보다 낙폭 커 머스크의 정치 활동, 테슬라 주가 부진 이유 중 하나 주가 하락은 '캐즘' 영향, 트럼프 정책이 반등 동력 될 수도 일론 머스크 테슬라 CEO가 자신의 소셜미디어(SNS) X 계정에 게시한 AI 생성 이미지/사진=일론 머스크 X 미국 전기자동차 업체 테슬라 주가가 최근 약세를 보이는 가

Read More
김민주

기내 탑재 전면 금지 못하는 현실 감안 예약·발권 단계에서 승객 동의절차 진행 배터리 이상현상 시 초기대응 위해 추진 에어부산 '노 배터리 인사이드(NO BATTERY INSIDE)' 스티커와 택 이미지/사진=에어부산 에어부산이 기내 화재 사고를 막기 위해 보조배터리 관리 규정을 강화한다.

Read More
김민주

구마모토 등 日 지방 공항 항공유 부족 직격탄, 국제선 증편 차질 슈퍼엔저→해외관광객 급증→항공유 수요 폭발 나리타 공항/사진=고 도쿄(Go Tokyo) 일본 공항들이 제트유 부족 사태로 심각한 어려움을 겪고 있다. '슈퍼 엔저'에 해외 관광객이 몰리면서 항공유 수요가 급증하고 있지만 자국내 공급은 한계상황이다.

Read More
김민주

민감 정보 중국 정부 유출 가능성 ↑ 유럽·대만·일본 등 딥시크 접속 차단 "우려 불식 전까지 딥시크 이용 삼가" 중국 인공지능(AI) 스타트업 '딥시크(DeepSeek)'가 만들어낸 충격의 여진이 연일 이어지는 가운데 미국, 대만 등에서 서비스 이용을 금지한 데 이어 일본 정부도 사용 제한 조치를 했다.

Read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