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main content

김서지

[email protected]

매일같이 달라지는 세상과 발을 맞춰 걸어가고 있습니다. 익숙함보다는 새로움에, 관성보다는 호기심에 마음을 쏟는 기자가 되겠습니다.

김서지

중국 규제당국, 자국 기업에 '중국산 AI 칩' 구매 권고해AI 칩 기술력 끌어올린 화웨이, 엔비디아 빈자리 채울까자체 HBM 개발에도 속도 내는 中, 목표는 HBM2 중국이 자국 기업에 엔비디아 반도체 대신 현지에서 생산한 제품을 구매하라는 지침을 내렸다. 미국 기업인 엔비디아에 대한 자국 시장의 의존도를 낮추고, 화웨이를 비롯한 중국 인공지능(AI) 칩 제조 업체의 성장을 지원하기 위한 전략으로 풀이된다.

Read More
김서지

앤트로픽, 올해 초 대비 2배 높은 기업가치로 자금 조달 논의 착수경쟁사 오픈AI와의 동시 펀딩·아마존 투자 참여 여부에 이목 집중대규모 자금 조달 성공 시 오픈AI-앤트로픽 경쟁 격화할 가능성도 '챗GPT' 개발사 오픈AI의 최대 경쟁자로 꼽히는 앤트로픽이 300~400억 달러(약 40조~53조원) 규모의 기업가치로 투자 유치를 위한 협상에 나섰다. 올해 초 대비 두 배 이상 뛰어오른 기업가치를 앞세워 대규모 자금 조달에 착수한 것이다.

Read More
김서지

중기 대표 3분의 1은 고령자, 승계 공백에 따른 위협 본격화중기부, 기업승계특별볍 제정 등으로 M&A형 승계 독려M&A형 승계 보편화 위해서는 상속세 개편 선행돼야 오영주 중소벤처기업부 장관/사진=중소벤처기업부 정부가 중소기업 최고경영자(CEO) 고령화를 대비해 M&A(인수·합병)형 기업승계를 골자로 한 ‘기업승계특별법(가칭)’ 제정을 추진한다. 중소기업의 지속 가능한 성장을 위해 정부가 직접 나서 기업승계 관련 지원 체계를 구축하겠다는 구상이다.

Read More
김서지

쿠팡이츠, 배민 겨냥해 "이중가격제 확산은 특정 업체 때문"쿠팡이츠 '저격'에 전면 반박 나선 배민, 법적 대응 시사도"플랫폼끼리 탓하고 있을 땐가" 신음하는 소비자들 외식업주가 매장 가격보다 배달 가격을 높게 설정하는 ‘이중가격제’가 확산하는 추세다. 배달 애플리케이션(앱) 업계의 수수료 인상이 이중가격제 보편화의 주요 원인으로 지목되는 가운데, 배달 앱 시장 '양대 산맥' 배달의민족과 쿠팡이츠는 책임 소재를 두고 치열한 공방전을 벌이고 있다.

Read More
김서지

한화오션, 호주 조선·방산업체 오스탈에 인수 협의 중단 통지韓 오커스 협력 가능성에 물살 탔던 논의, 오스탈의 무리한 요구로 '무산'

Read More
김서지

소프트뱅크그룹 산하 10개사, 디지털 포인트로 급여 지급디지털 급여 지급 플랫폼 1호는 소프트뱅크 계열사 '페이페이'日 캐시리스 결제 비중 증가세, 디지털 급여로 날개 달까 사진=페이페이 일본에서 현금 대신 디지털 포인트로 월급을 받는 시대가 열렸다. 근로자에게 우리나라의 카카오페이와 유사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페이페이(PayPay)’ 포인트를 급여로 지급하는 방식이다. 시장에서는 이 같은 '디지털 급여' 제도가 캐시리스(무현금) 결제 비중을 끌어올리기 위한 현지 정부 전략의 일환이라는 분석이 나온다.

Read More
김서지

"다른 나라 공장·일자리 빼앗겠다" 트럼프 강경 발언트럼프가 지목한 한국·독일, 이미 美 투자 규모 막대해 정부 지원금 앞세워 해외 투자 흡수하는 美, EU 등은 '궁지' 도널드 트럼프 미국 전 대통령/사진=도널드 트럼프 인스타그램 미국 대선 공화당 후보인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이 주요국의 제조업 일자리를 미국으로 가져오겠다는 야망을 드러냈다. 법인세 인하, ‘특별 구역(special zone)’ 지정 등을 통해 자국 제조업 패권을 적극적으로 강화하겠다는 구상이다.

Read More
김서지

야당·일부 언론, 체코 원전 수주 수익성 관련 의문 제기반박 나선 대통령실 "현지화율·웨스팅하우스 참여율 등 미정"원전 건설 수익성·경제적 파급 효과 종합적으로 고려해야 체코 두코바니 원전 전경/사진=한국수력원자력 대통령실이 체코 두코바니 원전 '덤핑 수주' 논란에 대한 의견을 내놨다. 체코 원전 사업을 통해 한국이 얻을 수 있는 수익이 6조원대에 그친다는 일부 야권과 언론의 주장을 전면적으로 반박한 것이다.

Read More
김서지

글로벌 완성차 기업, 줄줄이 유럽 배터리 투자 줄였다유럽 유력 배터리 기업 '노스볼트'도 구조조정·투자 축소"오히려 배터리 투자 속도 낸다" 동아시아 3국의 정반대 전략 유럽 배터리 시장이 본격적인 침체기에 돌입했다. 글로벌 완성차 업체들이 줄줄이 유럽 내 배터리 생산 시설 투자를 축소·중단하는 가운데, 유럽 배터리 시장의 대표 주자인 노스볼트마저 사업 확장 속도를 늦추며 '덩치 줄이기'에 착수하는 모습이다.

Read More
김서지

냉장고·청소기 등 PB 상품에 공들이는 롯데하이마트유통 마진 높은 PB 상품, 실적 부진 해소할 열쇠 될까

Read More
김서지

김군호 전 에프앤가이드 대표, 임시주총 소집 허가 소송 제기이사회 진입 시도하는 화천그룹 인사들과 '정면 대결' 예상돼경영권 리스크 해소에 기대 거는 투자자들, 주가 '고공행진' 금융정보업체 에프앤가이드의 창업자이자 2대 주주인 김군호 전 대표이사가 경영권 분쟁을 본격화하고 나섰다. 신규 이사 선임을 위한 임시주주총회 소집 허가 소송을 제기하며 화천그룹의 이사회 진입 시도에 '맞불'을 놓은 것이다.

Read More
김서지

하이브-두나무, 교환 지분 양도 제한 기간 11월에 종료파트너십 체결 이후 3년 동안 양 사 주가 나란히 급락, 손실 막심해"NFT 거품 빠졌다" 양사 합작 자회사, 적자 기업으로 전락 두나무와 하이브가 3년 전 지분 맞교환을 통해 구축했던 '동맹 관계'가 흔들리고 있다. 양 사의 주가 부진, NFT 합작사의 실적 악화 등으로 인한 손실이 꾸준히 확대된 결과다.

Read More
김서지

서울 주요 대학가 인근 오피스텔 월세 '천정부지'공급 부족·유학생 수요·전세 기피 등이 상승세 견인했나"대학가 집주인들, 줄줄이 월세 올려" 원룸 월세도 뛰었다 주요 대학가 인근 오피스텔의 월세가 상향곡선을 그리고 있다. 비아파트 시장 전반에서 침체·수요 양극화의 조짐이 관측되고 있는 가운데, 신축 매물을 중심으로 고가의 월세 거래가 속속 체결되는 양상이다.

Read More
김서지

NXP·마이크론 등 글로벌 반도체 업체, 줄줄이 인도에 시설 투자반도체 굴기에 박차 가하는 인도, 12월 중 첫 반도체 생산 예정공급망 재편 가능성 주시하는 주요국, 한국에는 '양날의 검' NXP, 마이크론, TSMC 등 글로벌 반도체 기업들이 인도 현지 시설 투자를 확대하고 있다. '인도 반도체 미션(Indian Semiconductor Mission, ISM)'을 비롯한 인도 정부의 강력한 인센티브 정책이 투자 유치를 이끌어낸 것으로 풀이된다. 인도의 반도체 생태계가 해외 투자를 중심으로 형태를 갖춰가는 가운데, 시장에서는 차후 인도 정부의 '반도체 굴기'에 본격적으로 속도가 붙을 수 있다는 전망이 흘러나온다.

Read More
김서지

상반기 금융민원 5만6,275건, 펀드·신탁·손해보험 위주로 증가 평균 민원 처리 기간은 13.6일 감소, 업무 효율화 노력 통했나

Read More
김서지

정부, 그린벨트 해제 통한 주택 공급 대책 제시"장기적이고 일시적인 대책" 실효성 논란 이어져야당도 비판 목소리 합세, 입법 후속 조치 암초 부딪힐까 정부가 '8·8 부동산 대책'을 통해 서울·경기 지역 그린벨트 해제 방안을 발표한 이후 1개월이 지났지만, 정책을 둘러싼 비판적 여론은 좀처럼 식지 않고 있다. 시장 곳곳에서 정책의 실효성에 대한 의문 섞인 목소리가 흘러나오는 가운데, 정부는 이달 중으로 후속 입법 조치를 단행하며 대책 추진에 속도를 낼 예정이다.

Read More
김서지

미끄러진 범용 D램 가격, 소비자 수요 둔화 영향AI용 '고성능 D램' 시장 급성장, 노 젓는 삼전·SK 본격화한 D램 수요 양극화 현상, 한국 반도체 시장엔 독? 지난달 범용 D램의 가격이 소폭 하락한 것으로 확인됐다. 서버를 중심으로 한 빅테크 기업들의 인공지능(AI) 경쟁에 불이 붙은 가운데, 모바일·개인용 컴퓨터(PC) 시장의 성장세가 둔화하며 범용 D램과 고대역폭메모리(HBM) 등 고부가가치 제품의 '수요 양극화'가 심화하는 양상이다.

Read More
김서지

하이브, 멀티레이블 시스템에 중점 둔 신사업 전략 발표하이브-어도어 갈등으로 멀티레이블 허점 드러났다?

Read More
김서지

한은 금통위, 부동산 시장 과열·가계부채 증가세 주시"정부 정책 효과 없으면 금리 올려야" 일부 인사 강경 발언도불투명한 한은 '피벗' 시점, 9월 美 금리 인하에 영향받을까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들이 집값 상승세와 가계부채 증가세를 지켜보며 기준금리 인하 시기와 폭을 결정해야 한다는 의견을 내놨다. 부동산 시장발(發) 금융 불안을 막기 위해서는 보다 신중하게 통화 정책 전환 시점을 결정해야 한다는 분석이다.

Read More
김서지

한 번에 시장 나온 에어프로덕츠·SK스페셜티, 같은 날 예비입찰 진행"두 기업, 닮은 듯 다르다" 산업용 가스·특수가스의 차이 유력 인수 후보는 KKR·브룩필드자산운용 등 사모펀드 운용사 올해 인수합병(M&A) 시장의 최대어로 꼽혀온 가스 업체 에어프로덕츠코리아와 SK스페셜티가 매물로 나왔다. 양사는 13일 나란히 입찰을 진행, 시장의 실질적 매수 수요를 확인할 예정이다. 시장에서는 콜버그크래비스로버츠(KKR), 브룩필드자산운용 등을 비롯한 사모펀드(PEF) 운용사를 유력 인수 후보로 지목하고 있다.

Read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