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년 출생아 23만8,300명, 8,300명↑
모 평균 출산연령은 ‘33.7세’
고령 출산 증가가 출생아수 견인
지난해 12월 우리나라 출생아수가 1년 전보다 11.6%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같은 달 기준으로 지난 1991년 이후 33년 만에 가장 높은 증가율이다. 작년 4분기 합계출산율은 0.75명으로 9년 만에 처음 반등했다.
2026년 수도권 입주 물량 7만 가구 하회
2027년부터 물량 반등 가능성 커, 이후 전망은 '불투명'
건설업황 침체로 올해 인허가 물량 급감할 가능성도
내년 수도권 아파트 공급이 10년 만에 최저 수준을 기록할 전망이다. 지난 2022년 주택 인허가 물량이 평균치 이하로 급감한 영향이다.
이재용 회장 상고에 검찰 기소 관행 도마 위
검찰의 무리한 기소로 무죄율 2배가량 늘어
불필요한 구속수사 많고 형사보상금도 증가
검찰이 기소한 사건 중 1·2심 모두 무죄가 선고되는 사례가 급증한 것으로 나타났다. 구속수사를 받았던 피의자가 대법원에서 최종 무죄가 선고돼 지급받는 형사보상금의 규모도 늘어나는 추세다. 이는 검찰의 부실한 수사와 무리한 기소가 낳은 부작용이다.
반도체법, 여야 이견에 산자위 소위 문턱서 좌절
민주당, 노동계 반발 의식해 기존 당론으로 회귀
과기장관 "선진국 중 한국만 국가 R&D 근로 제한"
고소득·고학력 근로자에 대해 주 52시간 근로제 적용을 제외하는, 이른바 '화이트칼라 이그젬션(White-Collar Exemption)'을 둘러싸고 정치권의 갈등이 격화되고 있다.
서울 외곽 지역 중심으로 부동산 시장 냉각
서울 평균 아파트 거래량·매매 가격도 '하락세'
토지거래허가구역 지정 해제된 강남권, 나 홀로 '봄날'
서울 부동산 시장에 드리운 '침체'의 그림자가 좀처럼 걷히지 않고 있다. 상대적으로 매수 수요가 적은 노·도·강(노원·도봉·강북구) 등 서울 외곽 지역을 중심으로 하락 거래가 급증하면서다.
2020년 전세사기 사태 후 월세 전환 속도
韓 장기 임대주택 시장 수익성 증가 전망
국내 부동산 개발·운영사와 JV 설립 증가
최근 국내 임대주택 시장의 월세 전환이 가속화하면서 외국계 자본이 빠르게 유입되고 있다. 글로벌 큰손으로 꼽히는 투자은행과 연기금, 부동산 회사 등이 국내 기업과 합작 법인을 설립해 기업형 임대주택 사업에 속속 진출하는 모습이다.
2020년 전세사기 사태 후 월세 전환 속도
韓 장기 임대주택 시장 수익성 증가 전망
국내 부동산 개발·운영사와 JV 설립 증가
최근 국내 임대주택 시장의 월세 전환이 가속화하면서 외국계 자본이 빠르게 유입되고 있다. 글로벌 큰손으로 꼽히는 투자은행과 연기금, 부동산 회사 등이 국내 기업과 합작 법인을 설립해 기업형 임대주택 사업에 속속 진출하는 모습이다.
TV 대신 유튜브로 정치 의사 결정
유튜브에 판치는 가짜뉴스, 정치편향 부추겨
소득 및 교육 수준 막론하고 대다수에 영향
20년 전 ‘당신의 TV(Your TV)’라는 이름으로 탄생한 유튜브가 이제는 TV를 넘어서는 명실상부한 글로벌 1위 영상 플랫폼으로 자리매김했다. '미디어 권력'이 미디어 기업에서 시청자에게로 넘어가는 결정적인 역할을 유튜브가 해낸 셈이다.
작년 국세 수입 전년比 7.5조원↓부가가치세·소득세 나란히 증가2008년 이후 재정적자 지속
기업 실적 부진 등 영향으로 지난해 국세 수입이 전년 대비 소폭 줄어들었다. 소득세와 부가가치세가 늘며 세수 감소를 일부 만회했지만, 전년 대비 18조원 가까이 줄어든 법인세를 상쇄하기에는 부족한 모습이다. 세수 감소와 함께 재정 적자의 폭도 갈수록 확대되고 있어 우려의 목소리가 나온다.
강남·송파 291곳, 토지거래허가구역 해제
은마아파트 등 재건축 단지 14곳 규제 유지
시장 왜곡 해소에도 가격 상승 우려 여전해
서울시가 재개발·재건축 사업지만 남기고 토지거래허가구역 규제를 대거 해제했다. 이번 조치로 강남구 삼성·대치·청담동과 송파구 잠실동의 아파트 291곳이 4년 8개월 만에 규제 지역에서 풀려났다.
비금융 계열사 지분 10% 제한
삼성전자 자사주 3조원 소각 앞둬
재계 안팎 금산분리 완화 목소리↑
삼성생명과 삼성화재가 2,800억원 상당의 삼성전자 주식을 매각했다. 삼성전자가 주주가치 제고를 위해 3조원 규모의 자사주를 소각하기로 하면서 양사의 삼성전자 지분이 법적 허용치를 초과할 것으로 관측된 데 따른 결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