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main content

김서지

[email protected]

매일같이 달라지는 세상과 발을 맞춰 걸어가고 있습니다. 익숙함보다는 새로움에, 관성보다는 호기심에 마음을 쏟는 기자가 되겠습니다.

김서지

업비트, 금융위 제재에 영업정지 위기 놓여 처분 확정 시 경쟁사 빗썸에는 '호재' 정부는 가상자산 추가 규제 논의 지속 국내 최대 가상자산 거래소 업비트가 금융당국으로부터 영업정지 처분을 받은 것으로 전해졌다. 앞서 확인된 미흡한 KYC(고객확인제도) 이행 상황이 제재의 원인이 된 것으로 추정된다. 시장에서는 업비트의 영업정지가 최종 확정될 경우 경쟁사인 빗썸이 반사이익을 누릴 것이라는 전망에 힘이 실리고 있다.

Read More
김서지

필리핀 가사관리사 이용 가정, 142가정에서 185가정으로 증가 업무 범위·근무 환경 둘러싼 잡음도 진정돼 "업무 시간 너무 짧다" 임금 관련 갈등 발생 가능성 돌봄 업무를 수행하는 필리핀 가사관리사/사진=서울시 서울시의 '필리핀 가사관리사 시범사업'이 순항 중인 것으로 확인됐다.

Read More
김서지

주류 소비량 줄며 주류 기업 주가도 '내리막길' 내수 부진, 회식 감소, 절주 문화 확산 등 원인 복합적 美 등에서도 청년층 중심으로 음주 횟수 감소 국내 주요 주류 기업들의 주가가 하향곡선을 그리고 있다. 청년층을 중심으로 주류 소비 트렌드가 변화하며 주류 소비량·출고량이 급감한 결과다. 시장은 주류 소비 감소의 원인으로 내수 침체, 회식·2차 문화의 쇠퇴, 절주 문화 확산 등을 지목하고 있다.

Read More
김서지

저축은행 정기예금 평균금리, 시중은행과 0.11%p 차이 주요 지표 줄줄이 악화하며 수신금리 인상 난항 건전성 강화 주문하는 금융당국, 업권 곳곳에서 '구조조정' 저축은행과 시중은행 간 예금(수신)금리가 고작 0.1%포인트(p) 차이로 좁혀졌다.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리스크, 대출 연체율 상승 등 악재를 떠안은 저축은행들이 자금 운용 전략을 보수적으로 전환한 결과다. 

Read More
김서지

비효율 매장 정리 나선 메이시스, 올해 66개 점포 문 닫는다 업황 악화하며 인력 감축 등 다방면에서 구조조정 단행 "메가 점포만 살아남는다" 국내 백화점 업계도 위기 사진=메이시스 미국 최대 백화점 체인인 메이시스(Macy’s)가 66개 매장 폐점 및 인력 감축 계획을 발표했다.

Read More
김서지

2024년 고용보험 가입자 증가율 1.1%에 그쳐 기업들 "올해도 보수적 채용 기조 유지하겠다" '일자리 미스매치'에 구직 포기하는 청년들 지난해 고용보험 가입자 수가 1997년 이후 역대 최저 증가율을 기록한 것으로 확인됐다. 경기 침체 장기화, 경제 불확실성 확대 등 악재가 누적되며 고용 시장 전반이 얼어붙은 것으로 풀이된다.

Read More
김서지

시중은행권 금리 정책 전환 조짐 관측 주요 IB "1월 기준금리 인하 가능성 있어" 시장금리 내려도 대출 문턱은 여전 시중은행권에서 가산금리 인하 조짐이 감지됐다. 최근 들어 은행권 가계대출 잔액이 감소세를 보이는 가운데, 신한은행을 시작으로 금리 정책 전환 흐름이 본격화하는 양상이다.

Read More
김서지

CFIUS, 일본제철-US스틸 M&A 시한 연장 동의 日 "매각 무산, 일본뿐만 아니라 미국 재계서도 우려" 취임 목전에 둔 트럼프, US스틸 매각 반대 입장 밝혀 사진=US스틸 미국 외국인투자심의위원회(CFIUS)가 일본제철과 미국 철강 기업 US스틸의 인수합병(M&A) 관련 시한을 연장하는 데 동의했다.

Read More
김서지

CEA 위원장 내정자, 동맹국 대상 관세 강화 필요성 주장 전문가 "글로벌 시장 질서, 보호무역주의로 회귀할 것" 美 내부에서는 제2의 '플라자 합의' 등장 전망도 백악관 경제자문위원회(CEA) 위원장으로 지명된 스티븐 미런 전 재무부 경제정책고문/사진=맨해튼 연구소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당선인의 경제 고문으로 활동할 스티븐

Read More
김서지

MTA, 뉴욕시 맨해튼 진입 차량에 혼잡통행료 부과 英 런던 성공 전례가 제도 도입에 영향 미쳤나 뉴욕서 제도 안착 시 벤치마킹 사례 증가 예상 미국이 뉴욕시 맨해튼 도심부로 진입하는 차량을 대상으로 혼잡통행료 부과 프로그램을 시행한다. 혼잡통행료 징수를 통해 자동차 통행량을 줄이고 시민들의 대중교통 이용을 유도, 교통 체증 문제를 해소하겠다는 구상이다.

Read More
김서지

이수페타시스 주식 대규모 매각한 국민연금 무모한 유상증자로 주가 하락한 영향 이수페타시스, 부정적 시장 여론에도 유증 이어간다 이수페타시스 본사 전경/사진=이수페타시스 국민연금이 최근 2개월간 인쇄회로기판(PCB) 생산 업체 이수페타시스 주식 200만여 주를 처분한 것으로 나타났다.

Read More
김서지

이미지 유통 경쟁사 게티-셔터스톡, 합병 가능성 대두 AI發 업황 악화로 활로 모색 절실해져 경쟁 치열한 AI 이미지 생성 시장, 차후 관건은 '생존' 미국 이미지 게티이미지뱅크를 운영하고 있는 게티이미지홀딩스가 동종업체인 셔터스톡과 손을 잡는다는 소식이 전해졌다. 인공지능(AI) 이미지 생성기가 보편화하며 이미지 유통 사이트 수요가 감소하는 가운데, 합병을 통해 활로를 모색하겠다는 구상으로 풀이된다.

Read More
김서지

가파르게 증가하는 캐나다 우라늄 생산량 지정학적 긴장으로 인한 공급 부족 고려한 움직임 트럼프 '25% 관세' 대응 카드로도 활용 가능해 캐나다 정부가 우라늄 생산 확대에 드라이브를 걸고 있다.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이후 우라늄 공급 부족 우려가 가시화한 가운데, 자체적으로 생산량을 확대해 시장 주도권을 확보하겠다는 전략으로 풀이된다.

Read More
김서지

제주항공, 환불 고객 급증하며 현금 유출 기정사실화 제주항공 매출 의존도 높은 지주사 'AK홀딩스' 함께 위기 "AK플라자 지원할 땐가" AK홀딩스 행보에 시장 우려 제기 사진=제주항공 무안국제공항에서 발생한 제주항공 여객기 참사로 인해 항공권 예약 취소 건수가 급증하고 있다.

Read More
김서지

일본제철, US스틸 철강 생산량 관련 우려 일축 "일본제철 인수가 답" US스틸도 여론 진화 총력 시장 경쟁력 위축되며 사업 매각 불가피 사진=US스틸 미국 철강 대기업 US스틸 인수를 추진 중인 일본제철이 인수 승인을 위한 '강수'를 뒀다.

Read More
김서지

오픈AI, 투자 유치 위해 PBC 전환 추진 일론 머스크·마크 저커버그 등 줄줄이 '반대' 인력 이탈 가속화하며 내부적 혼란도 가중 챗GPT 개발사인 오픈AI가 영리 법인 전환을 추진하는 가운데, 실리콘밸리 곳곳에서 관련 의견이 충돌하고 있다. 일론 머스크 테슬라 최고경영자(CEO), 마크 저커버그 메타 CEO 등 주요 빅테크 기업의 수장들이 속속 오픈AI의 영리 법인 전환에 반기를 들며 잡음이 거세지는 양상이다.

Read More
김서지

美 고용 시장 노동 수요 감소, 실업자 늘어 노동 생산성은 오히려 눈에 띄게 개선 연준 의장 "높은 노동 생산성이 빠른 성장 가능케 했다" 미국 고용 시장의 근로자 수요가 점진적으로 줄어들고 있다는 분석이 나왔다. 2주 이상 실업수당을 신청하는 계속 실업수당 청구 건수가 3년 만에 최고 수준까지 치솟으면서다. 다만 근로자가 창출하는 부가가치를 측정하는 지표인 노동 생산성은 오히려 상승곡선을 그리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Read More
김서지

석유화학 불황 장기화, 주요 기업 줄줄이 적자 전환 LG화학, 롯데케미칼, 한화솔루션 등 직원 수 줄어 롯데케미칼, 실적 악화로 인해 EOD 위기 빠지기도 국내 석유화학 업계의 불황이 장기화하고 있다. 중국의 저가 물량 과잉 공급, 글로벌 경기 침체 등 악재로 인해 수익성이 악화한 결과다.

Read More
김서지

MBK, 두산공작기계 中 매각설 정면 반박 적대적 M&A로 인한 여론 악화 고려한 해명인가 "MBK가 고려아연 쥐면 공급망 흔들려" 시장 여론 비우호적 MBK파트너스가 과거 두산공작기계(현 DN솔루션즈)를 중국에 매각하려 했다는 최윤범 고려아연 회장 측 주장을 반박하고 나섰다. 중국의 기계 업체들이 인수에 관심을 보였던 것은 사실이나, 실제 두산공작기계를 인수한 것은 국내 우량 기업이라는 것이다.

Read More
김서지

"일자리는 4개, 인력은 1명" 中 AI 고용 시장의 불균형 칭화대학 등 주요 대학교, AI 인재 집중 육성 착수 속속 中 떠나는 AI 인재들, 현지 기업들 美서 인재 확보 중국의 인공지능(AI) 시장이 인재 부족으로 골머리를 앓고 있다. 2022년 말 시작된 '생성형 AI 붐' 이후 중국 기업들의 AI 인재 수요가 폭증하는 가운데, 중국 내 AI 인재 다수가 해외로 이탈하며 고용 시장 불균형이 본격화한 것으로 풀이된다.

Read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