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실은 더 해, 연진아 '더 글로리'a
"당신들도 나처럼 뜨거웠기를, 쓰리고 아팠기를.."

한국하면 이제 'K-콘텐츠'를 떠올린다. 아시아를 넘어 전 세계로 확대된 한국 콘텐츠의 저력. 그 배경에는 OTT(온라인동영상서비스)가 있다

웨이브(Wavve)가 물었다. 오리지널 시리즈, 독점 해외 시리즈, 퀵(Quick) VOD 등을 자신 있게 내세웠지만, 토종 OTT(온라인동영상서비스) 플랫폼 웨이브의 가장 큰 장점은 '공중파 VOD'를 꼽을 수 있다. 실제로 웨이브의 은 지상파 예능·드라마가 상위권을 점령한다.

2022년은 팬데믹 시대에 마침표를 찍으며 일상 회복 단계를 맞이한 해다. 텅 빈 영화관은 서서히 관객으로 채워졌고, 한국 드라마와 영화는 OTT 플랫폼을 발판 삼아 글로벌 인기를 끌었다.

OTT(온라인동영상서비스)와 지상파의 경계가 무너졌다. 콘텐츠는 사람들이 모여있는 거대 플랫폼으로 향하고, 제작자는 글로벌 인기를 기대한다. TV 채널에서만 볼 수 있는 드라마, 예능은 사라진다. 벽은 무너졌고 진정한 무한 경쟁 시대가 펼쳐진다.

K-콘텐츠의 글로벌화와 함께 드라마, 영화 속 '역사 왜곡' 민감도가 높아졌다. 자칫 한국의 역사와 전통이 사실과 다르게 전달되거나 문화의 품격이 떨어질까 걱정하는 목소리가 커지는 상황이다.

2023년 OTT(온라인동영상서비스) 시장에 변화의 바람이 분다. 새 정책 및 예산 편성에 따른 콘텐츠시장의 변화와 전망을 분석해본다.

그러나 엔데믹 시대의 도래와 함께 비대면 문화를 선도하던 OTT는 성장 침체기에 들어섰고, 본격적인 생존 경쟁에 돌입했다. 특히 세계 시장 진출의 타이밍을 놓친 토종 OTT 플랫폼은 국내 지분 싸움과 더불어 해외 진출 방안을 모색하며 엄청난 투자를 감행했다.

2022년은 콘텐츠산업 격변의 해였다. OTT, 게임산업을 중심으로 급격한 성장세를 보이면서 글로벌 시장으로 도약하기 위한 중요한 시기를 맞이했다. 그러나 다가오는 2023년은 전 세계 경제 침체가 예고된 상황이다. 올 한해 콘텐츠산업 연말정산을 통해 내년 시장을 전망해본다.

최근 방송계는 디지털 실감 기술을 적용한 프로그램 제작으로 새로운 도전 중이다. 버추얼 휴먼, 가상세계, AI(인공지능) 등 최첨단 기술의 투입으로 야심찬 포부를 드러냈지만, 성적표는 초라하다.

TV광고 속에서 가상인간 로지가 미소를 짓는다. 외견은 인간이지만 어딘가 어색한 모습에 대중들의 반응은 미지근하다. 그러나 업계는 뜨겁다. 로지를 광고 모델로 기용하는 기업이 늘어나고 모델, 가수 등으로 활동 영역도 확장 중이다.

바야흐로 OTT 시대, 콘텐츠 홍수 속 원천 IP(지식재산권) 확보와 발굴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TV, 영화, OTT 등 영상 미디어 플랫폼의 확장에 따라 소재의 다양화가 핵심 키로 부각됐기 때문. 웹툰·웹소설의 영상화가 활발하게 이루어지는 동시에 IP의 파워도 강해졌다.

넷플릭스 영화 <20세기 소녀 20th Century Girl>는 <영희씨>(2014)로 청룡영화상 단편영화상과 서울국제여성영화제 관객상을 수상한 방우리 감독의 첫 장편 데뷔작이다. 제27회 부산국제영화제에는 올해 신설된 '한국영화의 오늘: 스페셜 프리미어' 섹션에 초청됐다.

'K-콘텐츠'의 글로벌 영향력이 커지면서 토종 OTT 플랫폼의 '해외 진출' 지원 방안 필요성에 대한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OTT 업계 상황과 해외 진출 가능성을 고려한 전문가들의 제언 및 실무진의 입장을 통해 현 상황을 짚어본다.

티빙 오리지널 <욘더 YONDER>는 이준익 감독의 첫 OTT 시리즈로 <좋은 사람>(2003) 이후 약 20년 만에 재회한 배우 신하균, 한지민의 만남으로 공개 전부터 화제가 됐다.

넷플릭스 오리지널 <글리치 Glitch>는 지난 7일 전 세계 공개에 앞서 6일 부산국제영화제 온 스크린 섹션을 통해 10부작 중 4부를 공개하며 한발 먼저 극장 관객과 만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