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main content

금융투자

한세호

지난달 중순부터 외국인과 기관의 이차전지 관련주 순매도가 급증했다. 특히 외국인과 기관 모두 가장 많이 순매도한 종목으로 포스코홀딩스가 1위에 오른 가운데 그간 이차전지 관련주 쏠림현상에 따른 차익실현이 본격화되고 있다는 분석이다. 한편 국내 증시 자금이 상온 초전도체 관련주로 옮기는 양상이 나타나자 수급에 의존하는 테마주 투자에 대한 우려의 목소리도 나온다.

Read More
김세화

최근 기록적인 인플레이션, 높은 이자율, 암울한 경제 전망으로 인해 소수의 메가펀드에 자금이 몰리면서 사모펀드들이 자금 조달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사모펀드 자금 조달에 걸리는 시간 3개월 늘어나 최근 피치북(PitchBook)이 발표한 ‘2분기 유럽 사모펀드 동향’에 따르면 올해 상반기 유한책임투자자(LP)들은 50억 유로(약 7조1,388억원) 이상의 메가펀드에 241억 유로(약 34조4,181억원)를 투자했다. 해당 기간 투자금 총액 480억 유로(약 68조5,608억원)의 거의 절반 수준이다. 자금 조달에 어려움을 겪는 사모펀드들이 늘어나면서 투자금을 모으는 데 소요되는 기간도 늘어났다. 피치북 데이터에 따르면, 올해 상반기 기준으로 펀드의 런칭부터 마감까지 소요되는 기간은 평균 15.8개월로 지난해 평균 소요기간 12.5개월보다 3개월 이상 늘어났다. 하반기에도 이러한 경향이 계속된다면 2013년 이후 최장 소요기간을 기록할 것으로 예상된다.

Read More
박창진

최재영 무신사 CCO/사진=무신사 패션플랫폼 기업 무신사의 구주(舊株)가 길을 잃었다. 비상장 주식을 거래하는 장외시장에서 120만~150만원 선까지 내려 매도 물량이 나왔지만 매수자를 찾지 못하고 있는 형국이다. 이미 '피크' 시기가 지난 무신사가 당면한 과제를 헤치고 원하는 몸값에 IPO를 성공할 수 있을지 여부에 시장의 관심이 쏠린다.

Read More
Hyojung Lee

해외직접투자 추이/출처=한국은행 경제통계시스템(ECOS) 최근 국내 해외직접투자가 급격하게 증가하고 있는 가운데, 전문가들은 이를 통해 무역수지 개선 등 긍정적인 효과를 창출할 수 있을 것으로 보는 분위기다. 그러나 일각에서는 지나친 해외직접투자 증가가 외환 유동성을 저하하고, 심하게는 경제 침체를 불러올 수 있다는 점에서 우려의 목소리를 내비치고 있다.

Read More
Hyojung Lee

올 1분기 자산운용사 실적이 전 분기 대비 소폭 상승했다. 그러나 일각에서는 대부분 실적이 ‘연말 성과급’이라는 자산운용업의 실질적 투자 성과를 완벽하게 반영하지는 못한다는 점을 지적하며, 업계의 ‘청신호’를 짐작하기는 어렵다는 분석이 나온다. 한편 경제 악화 기조에 동학 개미들이 줄줄이 시장을 이탈하고 있는 데다 충분한 수익률을 기대할 수 없는 일부 시장 참여자들이 불법 투자에 눈을 돌리면서 자산운용 업계의 암울한 미래는 당분간 지속될 것으로 예측된다.

Read More
Hyoungwoo Lee

검찰과 금융당국이 합동으로 최근의 주가 폭락 사건을 수사한 끝에 2023년 5월 9일 사건의 배후로 지목된 라덕연 H투자컨설팅 대표를 자택에서 체포했다. 이번 체포는 한국의 대형 금융 스캔들인 '소시에테제네랄(SG)증권발(發) 무더기 하한가 사태'에 대한 수사의 일환이다. 해당 사태는 9개의 주식이 동시에 갑자기 가치가 하락하면서 발생했다. 외국계 증권사인 SG증권의 거래 창구에서 대규모 매도가 발생해 'SG 증권 폭락 사태'로 불리고 있다. 이번 폭락 사태로 인해 손실을 입은 투자자들은 라 대표와 H사 관계자 등 6명을 특정경제범죄가중처벌법상 사기·배임, 범죄수익은닉규제법 위반 혐의로 검찰에 고소장을 제출했다. 피해자들은 라덕연과 그의 동료들이 투자자들 몰래 대출을 받고 채권을 취득하는 등 투자금을 자신들의 이익을 위해 사용했다고 입을 모았다.

Read More
Hyojung Lee

코스피 USD 현물 지수와 코스피 지수의 추이/출처=한국거래소 한국거래소가 지난 5월 3일 '코스피 USD 현물 지수'를 출시할 예정이라 밝혔다. 해당 지수는 코스피 지수보다 더 높은 수익률을 보이면서도 낮은 변동성으로 업계의 주목을 받고 있다. 한편 금융 전문가들은 코스피 USD 현물 지수를 통해 한미 증시 간 '디커플링' 효과를 누릴 수 있고, 나아가 환헷징을 위한 추가적인 불필요한 파생상품 구매 비용을 줄일 수 있을 것으로 전망했다.

Read More
Hyojung Lee

최근 미국 시장에서 PE 중심의 LBO(Leverage Buy-Out, 차입매수) 거래가 위축되면서 덩달아 신디케이트론 시장도 타격을 입었다. 설상가상으로 거시 경제 악화 사이클과 맞물려 신디케이트론의 이자 비용이 증가하고 있는 가운데, PE 업계는 '주요 먹거리' 사업이었던 LBO에서 PC(Private Credit)로 그 중심축을 움직이고 있다. 미국 PE 업계 레버리지 비율 하락, LBO 및 M&A 거래 시장 위축에서 비롯돼 시장조사업체 피치북의 최근 레버리지론(Leverage loan) 보고서에 따르면 미국 레버리지론 발행시장에서 채무기업의 평균 EBITDA 대비 총부채 비율(Debt/EBITDA)이 7년 만에 처음으로 5 이하로 떨어졌다. 업계 전문가들은 이에 대한 이유를 신디케이트론 시장의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LBO 시장의 최근 거래 실적 저조에서 찾는다.

Read More
Hyojung Lee

거시경제 악화가 지속되는 가운데, 미국 사모펀드(PE) 중심의 인수합병 시장이 직격탄을 맞아 거래 실적이 저조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런데 이와는 대조적으로 유럽권 PE 업계는 성장주를 대규모로 거래하는 등 글로벌 경제 상황에 위축되지 않고 활동적인 투자를 이어 나가고 있다. 아울러 유럽권 PE와 마찬가지로 경제 불황의 상황 속에서도 기회를 엿보는 투자자들은 다양한 자산에 투자하며 안정적인 기대 수익률을 올리고 있다. 지속적으로 악화되는 거시 경제에 미국 M&A 거래시장도 울상 거시경제 하방 압력 속에 올해 1분기 인수합병(M&A) 거래 실적 또한 좋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M&A 거래 규모가 전분기 대비 10% 하락하며 1조 달러 아래로 떨어졌다. 이와 관련하여 업계 전문가들은 기업 가치 저평가 분위기 속에서 사모펀드(PE)를 중심으로 기업 매각에 소극적으로 변하면서 시장 자체의 움직임이 둔화된 결과로 분석했다.

Read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