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4년간 영재학교·과학고 떠난 학생 총 303명KAIST, 지난해 모집 정원의 15.7%인 130명 자퇴안정적이고 고연봉 보장되는 의사 선호 두드러져 과학 영재들의 의대 쏠림 현상이 심화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 4년간 300명이 넘는 영재학교와 과학고 학생들이 중도 이탈했고 이공계특성화대에 진학했다가 의대 진학을 위해 자퇴하는 학생도 증가했다. 최근 전 세계가 반도체·AI(인공지능)·우주 등 차세대 첨단산업 인재 확보에 사활을 걸고 있는 반면에 한국에선 우수 인재가 의대에만 쏠리는 현상이 심화하면서 결국 국가경쟁력에도 부정적인 영향을 줄 것이란 우려가 커지고 있다.
Read More독일 증권거래소 CEO, 독일 기업들의 몰락은 좌파 정책 탓이라 주장해외 투자자들이 과거 일본에 그랬던 것처럼 독일 투자 꺼린다 지적
Read More기업회생 플라이강원, 가전업체 위닉스 품에 안긴다AOC 재발급 등 경영정상화 자금 1,000억 소요 전망위닉스 현금 보유고 100억 불과, 사업 시너지도 의문 강원도 양양국제공항을 모(母)기지로 둔 저비용항공사(LCC) 플라이강원의 새 주인으로 위닉스가 확정됐다. 플라이강원이 경영난으로 기업회생을 신청한 지 1년여 만으로, 이르면 7월 초 인수 절차가 완료될 예정이다. 오랜 난항 끝에 만난 새 주인이지만 일각에선 회의적 견해도 나온다. 위닉스가 보유한 현금성 자산이 인수에 필요한 자금에 못 미쳐 외부 자금 수혈이 불가피한 데다 양사의 사업적 시너지에 대한 의문도 뒤따르고 있어서다.
Read More배달의민족, 7월부터 신규 점포에 포장 수수료 부과 예정불어나는 무료배달 '출혈 경쟁' 손실, 수수료 수익으로 메우나"플랫폼만 배 불린다" 손실 떠안은 점주들 비판 빗발쳐 배달 앱 시장 1위 업체인 배달의민족이 오는 7월부터 신규 입점 점주들에게 ‘포장 수수료’를 부과한다. '무료 배달' 서비스를 중심으로 배달 앱 3사(쿠팡이츠·배달의민족·요기요)의 출혈 경쟁이 격화하는 가운데, 불어나는 손실을 수수료 수익을 통해 메우겠다는 구상으로 풀이된다. 이에 업계에서는 배달 앱 플랫폼의 과도한 경쟁 정책이 기형적인 시장 구조를 고착화하고 있다는 비판이 흘러나온다.
Read More현대제철 영업이익 감소했지만, R&D·시설투자는 200억·7,000억원 증가꾸준한 투자에 '전기차용 핫스탬핑 부품 개발' 등 연구 성과도 속속R&D 투자 백안시하는 업계, 현대제철이 '투자 동기' 부여할 수 있을까 현대제철이 실적 악화 상황속에서도 시설 투자 및 연구개발(R&D) 투자 금액을 늘리며 기술 확보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 선제적 기술 개발을 통해 미래 경쟁력을 강화하겠단 취지다. 현대제철의 공격적인 투자 기조에 시장의 관심도 집중되는 모습이다. R&D 투자에 소극적인 국내 철강업계가 현대제철을 통해 투자 동기를 부여받을 수 있다는 시선에서다.
Read MoreAI 확산에 개발자 수요도 늘었지만, "역량 평가 효용은 글쎄"'코딩 붐' 시절 못 버린 한국, 막상 글로벌 시장선 코딩 중요도↓인력 채용에 '코딩 테스트' 강조하는 고용시장, 직무 연관성 있나 2022년 11월 챗GPT 등장 이래 AI(인공지능) 직무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코딩을 배우려는 이들이 늘고 있다. 한국에서 AI 개발 직무에 진입하기 위해선 코딩 테스트를 통과해야 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막상 글로벌 AI 시장에선 코딩의 중요도가 점차 낮아지는 추세다. 구시대적 인력 검증 시스템만을 고집하는 고용시장이 국내 AI 시장의 상장을 막고 있단 비판이 나온다.
Read More"예정대로 2025년 양산" TSMC의 2nm 질주큰손 고객 '애플' 등에 업고 순조롭게 시장 개척겨우 3nm 도전장 내민 삼성전자, 수율 문제 어쩌나 파운드리(반도체 수탁생산) 세계 1위 기업인 대만 TSMC가 2나노미터(nm·1nm=10억분의 1m) 공정에 대한 입장을 표명했다. 시장에 확산한 '양산 연기설'을 전면적으로 부정함과 동시에 2nm 공정에 대한 자신감을 드러낸 것이다. TSMC가 애플 등 든든한 협력사를 등에 업고 파운드리 시장을 질주하는 가운데, 경쟁사인 삼성전자는 첨단 공정 부문 '수율' 논란에서 좀처럼 벗어나지 못하고 있는 모습이다.
Read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