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main content
동해 석유 부존 가능성 설명한 해저 광구 데이터 분석 업체에 대한 신뢰성 논란
기업 전문성보다 외형에만 집착한 국내 여론 탓에 전문성에 대한 신뢰도만 떨어져
논란 피하기 위해 향후 대형 석유 업체와만 협조하게 될 듯, 고비용·저수익 불가피

액트지오(ACT GEO)의 동해 석유 유망성 관련 보도가 한국석유공사의 해명에도 불구하고 맹비난을 받고 있다. 지난 7일 기자회견을 가진 액트지오의 비토르 아브레우(Vitor Abreu) 고문(대표)은 자신들의 기술적 역량과 동해 유전의 잠재적 가능성을 설명하는 데 초점을 맞췄지만 국내 언론이나 주식 투자자 등은 액트지오가 실제 법인인지, 규모는 얼마나 큰지, 아브레우 고문의 배경은 어떤지에 대해서만 혈안이 된 모습이었다.

보건복지부 '2023 아동종합실태조사' 결과 발표
놀고 싶어도 놀지 못하고 앉아 있는 시간은 늘어
'체육 교과 분리' 등 아동의 활동 증진 대책 추진
childhood-obesity_PE_20240607_002

지난해 아동의 건강 상태가 코로나19 팬데믹 이전인 2018년에 비해 전반적으로 개선됐지만 비만과 정신건강 등 일부 영역에서는 수치가 악화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9~17세 아동 비만율이 5년 전보다 4.2배 높아진 것으로 파악됐다. 수면시간이 줄고, 스마트폰 사용 시간이나 주중에 앉아 있는 시간이 늘어나는 등 생활 습관 변화가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

4차 회의도 소득 無, 플라스틱 협약 '제자리걸음'
PPP 생산량 감축 두고 세계 각국 이해관계 충돌
"이러다가 밥줄 끊긴다" 석유·화학 업계도 반기
plastic_un_20240606

'플라스틱 협약' 관련 협상이 제자리를 맴돌고 있다. 플라스틱 생산 규제를 중심으로 세계 각국의 이해관계가 부딪힌 결과다. 지난 4월 개최된 제4차 정부간협상위원회(이하 4차 회의)가 성과 없이 마무리된 가운데, 오는 11월 대한민국 부산에서 개최될 제5차 정부간협상위원회(이하 5차 회의)가 협약 체결의 마지막 '열쇠'가 될 것이라는 분석이 흘러나온다.

삐걱이는 중국과 러시아, 중국의 가스 가격 하향 요청이 원인
가스관 사업에 사활 건 러시아지만, 중국은 "급할 것 없다"
에너지 부담 커진 중국, "가스값 하향 요구도 부담 줄이기의 일환"
gaspipe_china_russia_PE_20240604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미중 갈등 등을 거치며 밀월관계를 과시하던 중국과 러시아가 에너지 협력 부문에서 충돌했다. 중국이 러시아의 가스자원에 대해 과도하게 낮은 가격과 물량을 제시하면서다. 다만 러시아는 지나친 요구에도 여전히 중국의 손을 놓지 못하고 있다. 우크라이나 전쟁 이후 서방 제재에 직면한 러시아 입장에선 중국이 '마지막 희망'이기 때문이다.

하락세 멈춘 서울 노·도·강, 실거래가 줄줄이 상승
매수 심리 일부 회복, 금리 하락·정책금융 등 주시해야
2025년부터 공급 부족 본격화 전망, 가격 더 뛸까
apartment_up_20240604

서울 아파트 시장이 10주 연속 상승세를 기록한 가운데, 가라앉았던 강북 지역 부동산 가격이 회복의 조짐을 보이고 있다. 서울 부동산 시장 전반이 본격적인 상승기류를 탄 것이다. 업계에서는 미진한 서울 내 주택 공급 상황이 한동안 집값 상승세를 견인할 것이라는 전망이 흘러나온다.

노소영, 하루 만에 우호 지분 남겠다던 기존 입장 정정
현금 지급 판결에 "주식이나 지분을 논의할 상황 아냐"
재판부, 盧 대통령 비자금 SK 유입 인정에 불법 논란도
sk_20240604

최태원 SK그룹 회장이 노소영 아트센터 나비 관장에게 이혼에 따른 재산 분할로 1조3,808억원을 지급하라는 판결이 나온 가운데 재판부가 노 관장의 아버지인 노태우 전 대통령이 비자금 300억원을 지원하고 SK그룹의 경영 활동에 무형적 도움을 줬다고 판단해 논란이 되고 있다. 이런 상황에서 노 관장이 SK그룹의 우호 지분으로 남겠다던 기존 입장을 번복하면서 향후 경영권 분쟁으로 번질 가능성까지 제기되는 모습이다.

"관세 폭탄 터지기 전에 팔자" 물량 쏟아내는 中 시장
해상 운임 코로나19 물류 대란 수준까지 뛰어
공세 이어가는 EU·미국, 보복 대응 시사하는 중국
china_usa_20240603

해상 운송료가 19개월 만에 최고치를 기록했다. 미국이 오는 8월부터 중국산 제품 다수에 ‘관세 폭탄’을 물리겠다는 뜻을 밝힌 가운데, 중국 시장에서 밀어내기용 수출 물량이 쏟아진 결과다. 이에 시장에서는 미·중 무역 갈등이 차후 해상 운임 변동을 넘어 글로벌 무역 시장 전반에 막대한 혼란을 야기할 수 있다는 우려가 흘러나오고 있다.

희망퇴직 신청자 369명 중 '20년 차 미만' 65명
당초 예상보다 신청자 많아, 이 중 40%만 선정
저출산고령위, 저출생 대책 특별회계 신설 추진
각 부처에 흩어진 예산, 집행 방향도 '애매모호'
"결혼·출산은 약점이다" 한국 사회의 기형적 구조
baby_money_20240531

대통령 직속 저출산고령사회위원회(이하 저출산고령위)가 10조원 규모의 저출생 대책 특별회계 신설을 추진한다. 다수의 정부 부처와 지방자치단체에 분산돼 있는 저출산 예산을 통합, 효과가 검증된 저출생 대책에 재원을 집중하기 위해서다. 전문가들은 차후 정부의 저출산 지원 정책에 과감한 '방향 전환'이 필요하다는 조언을 내놓고 있다.

1분기 출산율 0.7명대로, 3월 출생아 수 2만 명 붕괴
3월 인구 1만1,491명 줄어, 53개월 연속 자연감소
정부 '국가비상사태' 선언했지만, 저출생부 실효성에 의문
BABY_KR_PE_001_20240530

지난 18년간 자그마치 380조원의 국가 예산을 쏟아부었음에도 1분기 출생 관련 지표는 ‘역대 최악’을 가리키고 있다. 출생아 수와 합계출산율 모두 전 세계에서 본 적 없는 사상 최저치를 기록했고, 전국 17개 시·도 가운데 합계출산율이 반등한 곳은 단 한 곳도 없었다. 일반적으로 출생 수가 연초 가장 많았다가 연말로 갈수록 줄어드는 추세를 고려하면 올해 연간 합계출산율은 지난해보다 더 낮아질 전망이다.

반포 래미안 원펜타스 내달 조합원 입주, 분양가는 3.3㎡당 6,000만원 초반 전망
2021년 택지가격 감정평가 받았던 원펜타스, 3년 전 땅값 그대로 가져간다
美 AEI·ISW, 양안 관계 전망에 대한 보고서 발간
'워게임' 방식의 시뮬레이션 통해 시나리오 도출
충실 의무 대상에 주주 포함? 소액주주 보호-코리아 디스카운트 해소 차원
상법 개정안 본격 궤도, 윤 대통령·야권도 "주주 권익 강화" 일관된 목소리
野의 '선구제 후회수'에 대응하는 정부안 제시
기존 피해주택 매입 후 장기 임대 방식 유지
요건 완화해 물량 확대하고 재정 지원 강화
molit_PE_002_20240528

정부가 전세사기 피해주택을 매입해 피해자에게 공공임대 방식으로 최장 20년간 제공하는 방안을 추진한다. 더불어민주당이 28일 열리는 국회 본회의에서 '선(先)구제 후(後)회수' 방안을 담은 '전세사기특별법(전세사기피해자 지원 및 주거안정에 관한 특별법) 개정안' 처리를 강행하겠다는 입장을 밝힌 가운데 이에 대응하는 대안을 내놓은 것이다.

식료품 생산자물가 소폭 하락, 일부 품목 공급 불안 해소
"아직 안 끝났다" 식품 기업 가격 인상 릴레이
치솟는 장바구니 물가, 공급 혼란이 인플레이션 자극
potato-down_20240528

농수산품 생산자물가가 하락세를 보이고 있다. 감자 등 일부 품목의 수급 상황이 개선되며 농수산품 물가가 일부 안정된 결과다. 다만 식품업계에서는 여타 원재료의 수급 불안 상황이 좀처럼 해소되지 않고 있는 만큼, 추후 먹거리 물가 상승은 불가피할 것이라는 비관적 전망이 흘러나온다.

정부 간 협의체 재개 나선 韓中, 한일 간 협력체계 강화에도 '물꼬'
북핵 등 민감한 문제는 '뒤로', 3국 간 긴장관계 여전한 영향인 듯
정부, 수입 안정 보험 대상 품목에 '쌀' 추가하기로
'양곡법 개정안' 통과 의사 밝힌 민주당, 충돌 본격화
윤석열 대통령 재의요구권 행사 가능성 커져
rice_20240527_001

정부가 쌀 농가를 대상으로 수입 안정 보험(수입 보험)을 운영하겠다는 뜻을 밝혔다. 더불어민주당 등 야당이 이른바 '제2 양곡관리법 개정안' 통과에 속도를 내고 있는 가운데, 해당 개정안의 '대안'을 제시하며 본격적인 반대 의사를 표명한 것이다.

초고령사회 앞두고 공적연금 구조개혁 논의 뜨거워
지난해 '국민연금운영계획' 발표했지만 구체성 미흡
미중 관세전쟁 확산 양상, 국내 태양광 등 관련주 주가도 상승세
반사이익 얻는 데 집중하는 유럽, "대중 무역적자 줄이고 대미 흑자 늘렸다"
높아져만 가는 한국의 '중국 의존도', 2021 요소수 부족 사태 재현될 수도
tariff_USA_PE_20240524

미·중 간 관세전쟁이 유럽까지 확산할 조짐을 보이면서 관련주들의 주가가 요동치고 있다. 특히 중국발 공급 과잉에 시달리던 태양광 업체, 에너지저장장치(ESS) 관련 업체들의 상승세가 눈에 띈다.

1기 신도시 선도지구 최대 3만9,000가구 선정, 주요 요건은 '주민 동의율'
재건축 사업으로 물량 조절 나선 정부, 건설경기 침체 일부 회복도 '기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