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main content
1기 신도시 선도지구 최대 3만9,000가구 선정, 주요 요건은 '주민 동의율'
재건축 사업으로 물량 조절 나선 정부, 건설경기 침체 일부 회복도 '기대'
미국-EU, 손잡고 중국산 전기차 대상 관세 장벽 강화
유럽 시장 입지 위태로워진 中, 한국 기업 '반사이익'
"보복 관세 부과하겠다" 분쟁에 맞불 놓는 중국
china_hyundai_20240523

현대자동차 주가가 22일 10% 가까이 급등했다. 미국에서 시작된 중국산 전기차 관세 인상 움직임이 유럽연합(EU)까지 확산한 가운데, 현대차가 유럽 시장 내에서 반사이익을 누릴 것이라는 시장 기대가 확대된 결과다. 업계에서는 차후 이들 국가의 무역 분쟁이 격화할수록 한국 전기차 기업들의 입지가 강화될 수 있다는 전망이 제기되고 있다.

올해 변시 합격자 1,700명 중 500명 제때 취업 못 해
'변호사 3만 명' 시대 진입, 취업 전망 여전히 어두워
법조 시장 확대, 리걸테크 성장세에도 수요는 여전해
lawyer_20240523

올해 변호사 시험(변시) 합격자 1,700여 명 중 3분의 1에 해당하는 500명 이상이 대한변호사협회(변협)가 주관하는 변호사시험 합격자 대상 연수 프로그램을 신청한 것으로 파악됐다. 변호사가 됐지만 당장 일자리를 구하지 못하면서 일단 연수부터 받으려는 합격자가 늘어나고 있는 것이다. 변호사 수도 10년 새 2배 이상 증가하면서 변호사 시장의 취업 경쟁은 더욱 치열해졌다.

신차·중고차 판매량 하락, 상용차도 22% 감소
전기차·수입차도 판매 부진, 고물가·고금리 영향
수출 효자 뛰어도 내수는 여전히 '한겨울'
CAR_sales_PE_001_20240522

고물가, 고금리 등 경기 불황의 영향으로 국내 신차 판매량이 5개월째 내리막길을 걷고 있다. 신차뿐만 아니라 수입차, 전기차는 물론 가격이 비교적 저렴한 중고차 시장도 정체의 늪에서 허우적거리는 모습이다. 자동차 내수 시장에 경고등이 켜진 가운데 소비 지표마저 뒷걸음치면서 향후 실물 경기 회복을 낙관할 수 없다는 우려가 나온다.

사상 최대치 기록한 국내 기업부채, 23년 말 기준 2,734조원
부동산 부문 신용공급 확대가 주원인, "부동산 의존도 과중"
부동산 의존 성장모델 한계 드러낸 중국, 한국도 뒤쫓나
GDP_PE_20240521

한국 기업부채가 지난해 말 기준 2,700조원을 넘으면서 사상 최대치를 기록했다. 한국은행은 건전성 측면에서 대체로 안정적이라며 아직은 괜찮다는 입장을 보였으나, 국내 기업부채 대부분이 부동산 부문에 편중돼 있다는 데 대해선 상당한 리스크임을 강조했다. 과도한 부동산 의존에 경제위기를 맞은 바 있는 중국처럼 한국도 비슷한 전철을 밟을 수 있다는 시선에서다.

현대차 노조, '64세 정년 연장 요구안' 사측에 제출
기아·HD현대그룹·LGU+ 노사도 '정년 연장안' 논의
동국제강 그룹은 숙련 노동자 은퇴에 정년 1년 연장
union_20240520

주요 대기업들이 올해 임금·단체협상에 돌입한 가운데 '정년 연장'이 최대 쟁점으로 떠오르고 있다. 지난해까지 5년 연속 무분규 타결을 끌어낸 현대자동차도 올해 임금협상을 앞두고 노조가 정년을 64세로 늘려달라는 요구안을 사측에 제출함에 따라 관련 논의가 진행될 것으로 보인다. 사측은 과도한 임금 구조 등을 고려했을 때 수긍하기 힘들다는 입장이지만, 고령화와 구인난 등 구조적 문제와 맞물리면서 사회적 타협이 동시에 진행돼야 한다는 지적이 제기되고 있어 논의의 향방에 관심이 쏠린다.

두산건설 매입한 큐캐피탈, 수익성 제고 전략으로 성장 폭 늘렸다
건축·주택사업서 성과↑, 분양경기 혹한기에도 '미분양 제로' 달성
최근 대구 사업장서 대규모 하자 발생, '도둑 공사'에 자가당착 비판 직면
DOOSAN_Poor_PE_20240520

2021년 매각 이후 새 주인을 필두로 성장세를 이어가던 두산건설이 '대규모 하자' 암초에 부딪혔다. 이전만 해도 재무건전성 개선 등 다각적인 호조를 보인 두산건설이나, 하자 폭탄이 터지면서 평가도 수직하락하는 양상이다. 특히 지난 17일엔 계단 유효 높이 기준을 맞추기 위해 '도둑 공사'를 진행했단 사실이 알려지면서 부실 공사 리스크에도 직면했다.

정부의 PF 연착륙 정책에 업계, "현장 도외시하고 합리성 결여된 정책"
지방 소재 사업장 피해 확산 우려↑, "전국 미분양 가구 중 80% 이상이 지방"
美 CNBC "관세 폭탄으로 중국산 전기차 공세 못 막는다"
중국 내수 시장은 '공급 과잉' 상태, 차량 가격 줄줄이 미끄러져
실효성 의문에도 관세 장벽 높이는 바이든, 대선 고려했나
china_usa_car_20240517

조 바이든 미국 행정부가 중국산 전기차에 부과한 ‘관세 폭탄’이 미국 내 중국산 전기차의 위협을 막기에는 충분치 못하다는 분석이 제기됐다. 내수 시장 내 경쟁으로 인해 중국산 전기차 가격이 꾸준히 하락하고 있는 만큼, 관세 인상만으로는 이들의 '공세'를 막을 수 없을 것이라는 지적이다.

라인야후의 네이버 지우기 본격화, 경제 안보 기조 아래 '인프라 지키기' 나섰나
진짜 목적은 AI? "자국 AI 영토 확보 위해 네이버 견제한 것일 수도"
미국 상무부, 올가을 커넥티드 차량 관련 규정 발표
"커넥티드 차량은 바퀴 달린 스마트폰" 미국 정부의 견제
광범위 규제 현실화하면 한국 기업에도 불똥 튄다?
china_car_20240516

미국 정부가 올해 가을 중 중국산 커넥티드 차량 관련 규정을 발표한다.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이 중국산 커넥티드 차량을 중심으로 한 국가 안보 우려를 제기한 가운데, 상무부의 실질적인 규제 움직임이 본격화하는 양상이다. 이에 국내 자동차 업계에서는 미국의 광범위한 부품·기술 제재가 한국 기업에도 '족쇄'로 작용할 수 있다는 우려가 흘러나온다.

1분기 민원 건수 366건 기록한 신한카드, 7개 카드사 중 최다 민원 
더모아카드 사태 이후 민원 늘었다지만, 이전에도 민원 1위는 신한카드
파리에 속속 터 잡는 글로벌 기업들, 프랑스 '화색'
적절한 친기업 전략으로 투자 유치 급증
'과거의 영광' 잃은 독일, 프랑스에 자리 내줬다
France-and-Germany_20240514-1

최근 프랑스가 아마존, 화이자, 모건스탠리 등 글로벌 기업들로부터 대규모 투자를 이끌어내고 있다. 높은 시장 이해도를 바탕으로 적극적인 '친기업 전략'을 구사, 가파른 시장 성장을 이룩한 것이다. 시장에서는 프랑스가 기존 '친기업 강대국'이었던 독일을 추월하며 유럽연합(EU) 내 투자 경쟁 판도를 뒤집었다는 평이 흘러나온다.

바이든 행정부, 14일 中 친환경 제품에 관세 조치 결정
中 전기차에 태양광·이차전지·의료기기까지 포함될 듯
中 "터무니 없는 과잉생산 주장으로 탄압, 보복할 수도"
china_20240513

미국 정부가 중국 기업들의 과잉생산과 저가 공세에 대응해 관세 부과를 검토하고 있다. 중국산 전기차에 관세 100%를 부과하고 반도체, 태양광, 이차전지 등에도 새로운 관세가 부과될 것으로 보인다. 이에 대해 중국은 근거 없는 논리로 탄압하고 있다며 보복을 예고해 무역 갈등 고조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다.

부동산 PF에 흔들리는 금융권, 제2금융권 예상 손실액만 14조원
PF 사업장 정리·현황 보고 압박 본격화하는 금융당국
PF 비중 높은 저축은행은 '사면초가', 부실 위기 가시화
bank_sink_20240513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을 중심으로 금융권 내 위기감이 고조되고 있다. PF 현장 전반이 휘청이며 지분을 보유한 시행사는 물론 지급 보증을 선 건설사, 자금을 내준 금융권까지 연쇄적으로 부실 리스크를 떠안고 있기 때문이다. 이에 관련 업계에서는 특히 총자산 대비 PF 대출 비중이 높은 저축은행 등 제2금융권이 줄줄이 궁지에 몰릴 것이라는 우려가 흘러나온다.

PB 상품을 검색 상단에 노출하려 알고리즘 조정
임직원 동원한 리뷰도 '소비자 기만' 행위로 판단
쿠팡, 조작 의혹 부인 "매장의 상품 진열과 같아"
coupang_20240510

공정거래위원회가 알고리즘 조작으로 자체브랜드(PB) 상품을 검색 상단에 노출한 혐의를 받는 쿠팡에 대해 최대 5,000억원의 과징금 부과를 검토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됐다. 이에 쿠팡은 소비자가 원하는 상품을 우선으로 보여주는 것을 알고리즘 조작이라고 판단한 것은 무리한 해석이라며 반발하는 모습이다. 공정위는 조만간 전원회의를 열어 쿠팡에 대한 제재를 확정 지을 예정이다.

중국기업 몰린 전라북도 새만금 산업단지, 법인세 면제 등 영향
이차전지 중심으로 확장성 노리는 새만금, 미국 규제는 변수
롯데몰 광명점 취득세 중과세 놓고 광명시와 소송전
조세심판 청구와 1·2심에서는 롯데쇼핑 연달아 패소
일본 정부의 공격적 '네이버 지우기'
일본 디지털화 앞장섰는데, "지분 팔아라"
우리 정부는 어디에, 수수방관 대응에 비판
KR_LINE_JP_PE_20240509

네이버가 13년 동안 성장시킨 일본 국민 메신저 '라인'이 일본 기업화가 될 위기에 처했다. 라인야후가 지난해 정보 유출 사건을 빌미로 사실상 네이버 지우기를 본격화하면서다. 라인의 모든 것을 만든 신중호 CPO(최고제품책임자)를 이사회에서 축출하고, 모회사 A홀딩스의 지분 매각을 요구하는 등 일본 정부와 소프트뱅크에 이어 라인야후까지 전방위로 네이버를 압박하고 있는 가운데, 우리 정부는 사실상 뒷짐만 지고 있어 비판이 거세다. 

고금리에 경매 시장 나온 영끌족 매물, 경매 건수 3년 5개월 만에 최다
거듭 오르는 낙찰가율, 서울은 1년 8개월 만에 90% 선 넘기기도
시장 변화 원인은 공급 부족 리스크? 가격 불안 현실화 우려↑
apartment_auction_PE_20240509

부동산 경기 침체와 고금리 속에 아파트 경매 물건이 늘면서 지난달 전국 아파트 경매 진행 건수가 3년 5개월 만에 월 3,000건을 넘어섰다. 낙찰가율도 점차 올라 서울 기준 낙찰가율이 1년 8개월 만에 90% 선을 넘기기도 했다. 주택 공급 부족에 따라 전세 가격이 오르면서 낙찰가율도 덩달아 오름세를 나타낸 것으로 분석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