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난 13일 바이든 행정부가 무공해 에너지 산업을 지원하기 위해 미국 전역에 위치한 7개의 수소 허브에 70억 달러(약 9조4,766억원)의 미연방 기금을 지원한다고 발표했다. 백악관은 이번 기금 지원안에 대해 매년 누적 2,500만 톤에 달하는 이산화탄소 배출량 감소 목표와 청정에너지 기술을 확장하기 위한 수소 허브 지원 정책의 일환이라고 설명했다. 덧붙여 기술 개발을 통해 수소 생산 비용을 1kg당 1달러로 감소시키겠다는 목표도 전했다. 미연방, 탄소 제로 정책을 위한 수소 투자 집행 미국 에너지 전문가들은 이번 미연방 자금 투입에 대해 청정에너지 인프라를 유치하기 위해 노력한 각 연방 주 정부와 수소 에너지에 지속 투자한 민간 투자 시장의 공동 승리라고 표현했다. 투자 전문 싱크탱크 피치북에 따르면 올해까지 수소 에너지 관련 기업에 대한 VC 투자 거래 규모는 약 25억 달러(약 3조3,845억원), 사모펀드 누적 투자 거래 규모는 약 69억 달러(약 9조3,412억원) 거래 건수는 29건으로, 투자 거래가 증가하고 있다.
Read More
시장 경기 침체의 영향에 따라 스타트업에 대한 투자 조건이 까다로워지면서 단계별 투자 라운드에 따른 세부 투자 조건에 대한 논의가 심화하고 있다. 투자 전문가들은 투자금 회수(EXIT) 환경이 다변화됨에 따라 투자 원금 혹은 이익금 회수 방식에 대한 예측이 힘들어지면서 EXIT에 큰 영향을 줄 수 있는 세부 투자 조건이 부각하는 추세라고 밝혔다. 투라 라운드별 세부 조건에 대한 논의 증가 기업 밸류에이션이 높게 평가되던 시기엔 투자 지분을 먼저 확보하는 것이 중요했기 때문에, 투자금 대비 지분율이나 운영 참여권 정도가 주된 관심사였다. 하지만 미국 연방준비제도이사회의 금리 인상으로 인해 경기가 침체하면서 투자자들의 포트폴리오에 있는 기업의 가치가 크게 하락했다. 일부 기업의 가치는 투자 완료된 자금의 총액보다 낮은 경우도 발생했다.
Read More
스타트업에 대한 벤처캐피탈(VC) 펀드 투자 거래 건수가 감소하면서 크라우드펀딩(Crowd Funding)을 통한 시드 투자 방식이 관계자들의 주목을 받고 있다. 투자 전문 싱크탱크 피치북은 크라우드펀딩 시장은 VC 펀딩 시장 대비 시장이 크게 위축되지 않았다고 분석했다. 투자 전문가들도 크라우드펀딩 시장의 부각은 투자 시장 구조 개선에 긍정적인 효과를 줄 것이라 입을 모았다. 시장 침체로 다시 주목받는 크라우드펀딩 자금이 필요한 수요자가 불특정 다수의 대중을 통해 자금을 조달하는 방식의 크라우드펀딩은 특정 프로젝트 달성을 위한 후원형과 공익 목적으로 진행하는 기부형 펀딩 방식으로 확산했다. 최근 투자 시장에서 주목하는 크라우드펀딩 형태는 수익 창출을 목적으로 비상장 주식에 투자하는 주식형 크라우드펀딩이다.
Read More
글로벌 투자그룹 워버그 핀커스(Warburg Pincus)가 14번째 플래그십 펀드인 ‘워버그 핀커스 글로벌 성장 펀드 14호를 173억 달러(약 23조2,166억원) 규모로 마감해 역대 최대 규모의 펀드레이징을 달성했다. 이는 당초 펀드 목표액인 160억 달러(약 21조4,720억원)를 13억 달러(약 1조7,446억원) 초과 달성한 규모다. 투자 전문가들은 투자 경기 침체 상황에도 불구하고 초대형 펀드는 여전히 펀드레이징에 성공하고 있다고 입을 모았다. 워버그 핀커스, 경기 침체에도 샴페인 터뜨렸다 1966년 설립된 워버그 핀커스는 지난 10일 기준 약 830억 달러(약 111조3,860억원)의 운용 자산과 250개 이상의 투자 포트폴리오를 자랑하는 글로벌 PE 운용사다. 현재까지 21개의 사모펀드와 2개의 부동산 펀드를 운용해 40개 이상의 국가에서 1,000개 이상의 기업에 약 1,120억 달러(약 150조3,040억원)를 투자한 바 있다.
Read More
미국 뉴욕 맨해튼연방법원에서 열린 FTX 창업자 샘 뱅크먼 프리드(Sam Bankman Fried)에 대한 첫 공판에서 증인으로 출석한 패러다임(Paradigm) 창업자는 뱅크먼이 FTX 투자자의 이사회 참여 요청에 크게 저항했다고 증언했다. 앞서 FTX에 투자를 진행한 패러다임은 FTX 파산 이후 자산가치가 폭락해 파산한 바 있다. ‘이사진엔 들어올 수 없다’ 투자자 증언 나와 지난 5일 맨해튼연방법원에 출석한 블록체인 전문 투자 기업 패러다임 창업자 매트 황은 FTX 투자사인 패러다임의 이사회 참여 요청에 대한 샘 뱅크먼의 당시 반응을 진술하며 검찰에 유리한 증언을 했다. 대개 시리즈 A나 B의 투자 라운드에서 주도적 투자자는 신생 기업에 큰 자금을 투자하는 조건으로 기업에 대한 전략적 조언과 운영 참여를 위해 이사진에 직접 참여하는 경우가 많다. 하지만 뱅크먼은 해당 요구를 직접적으로 거부한 것으로 알려졌다. 현재 뱅크먼은 FTX 파산 사태의 주범으로 지목돼 횡령 및 사기 혐의로 재판받고 있다.
Read More
[동아시아포럼]은 EAST ASIA FORUM에서 전하는 동아시아 정책 동향을 담았습니다. EAST ASIA FORUM은 오스트레일리아 국립대학교(Australia National University) 크로퍼드 공공정책대학(Crawford School of Public Policy) 산하의 공공정책과 관련된 정치, 경제, 비즈니스, 법률, 안보, 국제관계에 대한 연구·분석 플랫폼입니다. 저희 폴리시코리아(The Policy Korea)와 영어 원문 공개 조건으로 콘텐츠 제휴가 진행 중입니다. 전기자동차 시장의 급성장에 따라 핵심부품인 이차전지의 주요 광물인 니켈, 리튬, 코발트의 수요가 증가하고 있는 가운데, 이차전지(대체 배터리)가 향후 글로벌 탈탄소화를 이끌 주요 기술로 꼽히고 있다. 세계 각국은 친환경 산업 육성을 위해 이차전지 핵심 광물 확보에 사력을 기울이고 있다.
Read More

최근 신생 펀드 운용사 앳원벤처스(At One Ventures)가 펀드 시장 침체에도 불구하고 3억7,500만 달러(약 5,060억원) 규모의 펀드를 마무리했다. 앳원벤처스는 해당 펀드 자금으로 기후 변화를 막을 수 있는 혁신 기술 기업의 투자와 사후 관리를 진행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투자 전문가들은 기후 관련 규제 강화에 따라 기후 펀드에 대한 투자 시장이 성장할 것이라 관측했다. 앳원 기후 펀드 2호, 성공적 마감 지난 4일 샌프란시스코에 위치한 기후(친환경) 기술 전문 벤처캐피탈(VC) 앳원벤처스는 기후 기술 전문 투자 펀드 2호를 3억7,500만 달러 규모로 마감했다고 발표했다. 앳원벤처스의 기후 펀드 2호는 펀드 1호와 마찬가지로 건설, 에너지 및 운송업, 농업 등의 산업에 친환경 혁신을 제공할 수 있는 스타트업에 투자할 것으로 알려졌다.
Read More


[동아시아포럼]은 EAST ASIA FORUM에서 전하는 동아시아 정책 동향을 담았습니다. EAST ASIA FORUM은 오스트레일리아 국립대학교(Australia National University) 크로퍼드 공공정책대학(Crawford School of Public Policy) 산하의 공공정책과 관련된 정치, 경제, 비즈니스, 법률, 안보, 국제관계에 대한 연구·분석 플랫폼입니다. 저희 폴리시코리아(The Policy Korea)와 영어 원문 공개 조건으로 콘텐츠 제휴가 진행 중입니다. 지난 8월 16일 세계무역기구(WTO)는 미·중 갈등으로 촉발된 미국산 수입품에 대한 중국 정부의 고관세 부과에 대해 부당한 관세 부과라고 판결했다. 그러나 중국은 WTO의 판결에도 불구하고 WTO 상소기구 항소 시간까지 미국산 수입품에 대한 불법 관세를 계속 부과 중이다. 이에 무역 전문가들은 미국이 GATT 제21조에 취해온 입장을 고스란히 되돌려 받았다고 평가했다.
Read More

최근 유럽 지역은 벤처캐피탈(VC) 시장의 유동성 감소로 인해 세컨더리 투자 시장이 활황을 띄고 있다. 유럽 세컨터리 투자 시장은 미국과 달리 시장 규모가 작고 조건이 복잡해 세컨더리 투자 거래에 소극적인 경향이 있었지만, 최근 투자 거래 건수는 증가세를 나타냈다. 투자 전문가들은 밸류에이션 평가에 대한 시장 이슈는 있으나, 세컨더리 투자 활성화는 좋은 징조라고 진단했다. 유럽 세컨더리 거래 건수 20% 증가 투자 시장의 침체에도 불구하고 올해 유럽 지역 세컨더리 투자 거래가 지난해 대비 약 20%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총투자 거래 금액은 약 1조800억 유로(약 1,535조원)를 돌파했다. 투자 전문가들은 VC 펀드와 벤처기업 임직원이 보유한 기업 주식의 유동성 옵션이 감소한 데 따른 영향으로 분석했다. VC 펀드가 초기 투자 라운드에서 확보한 기업 주식과 벤처기업 임직원들이 스톡옵션으로 지급받은 주식이 매물로 나오기 시작하면서 거래가 증가했다는 설명이다.
Read More
매 분기 두 자릿수의 실적을 보였던 벤처캐피탈(VC)의 IRR(내부수익률)이 마이너스를 기록했다. 전문가들은 올해 사모펀드 경기 침체 영향에 따라 펀드 DPI(LP에 지급된 수익 지표)도 크게 감소할 것으로 예측했다. 미국 VC 펀드 IRR -16.8% 기록, 최악의 수치 지난 2일 투자 전문 싱크탱크 피치북이 발표한 '미국 VC 펀드 보고서'에 따르면 미국 소재 VC가 운용하는 펀드의 IRR이 지난해 4분기 –16.8% 하락했다. 피치북은 이번 IRR은 VC 펀드 부문에서 근 10년간 최악의 분기 수익률이라고 평가했다. IRR(Internal Rate of Return)은 펀드 투자에 소요한 지출 금액과 투자로 발생하는 예상 현금 수입 금액을 0으로 만드는 할인율로, 펀드를 통해 발생할 것으로 예상하는 수익률을 뜻한다.
Read More
최근 조사에 따르면 다른 산업에 비해 헬스케어 산업에서 사모펀드 운용사의 투자 철수가 빠르게 진행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투자 전문 싱크탱크 피치북 데이터는 올해 헬스케어 서비스와 헬스케어 기반 IT 기업에 대한 투자 거래 건수가 최저치를 기록했다고 발표했다. 투자 전문가들은 헬스케어 산업에 대한 투자 약화 요인으로 금리 인상에 따른 부채 상환 비용 증가를 지목했다. ‘역대 최저’ 헬스케어 산업의 추락 지난 28일 피치북이 발표한 올해 2분기 헬스케어 서비스 및 헬스케어 기반 IT 기업 투자 현황 보고서에 따르면, 헬스케어 서비스와 헬스케어 기반 IT 기업에 대한 투자 거래 건수는 2021년 2분기와 4분기 최대 거래 시기 대비 70% 이상 감소해 역대 최저치를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다. 세부 내용을 살펴보면 헬스케어 기반 IT 기업에 대한 투자 거래 감소세가 일반 헬스케어 서비스 부문에 비해 두드러지게 나타났다.
Read More


[동아시아포럼]은 EAST ASIA FORUM에서 전하는 동아시아 정책 동향을 담았습니다. EAST ASIA FORUM은 오스트레일리아 국립대학교(Australia National University) 크로퍼드 공공정책대학(Crawford School of Public Policy) 산하의 공공정책과 관련된 정치, 경제, 비즈니스, 법률, 안보, 국제관계에 대한 연구·분석 플랫폼입니다. 저희 폴리시코리아(The Policy Korea)와 영어 원문 공개 조건으로 콘텐츠 제휴가 진행 중입니다. 아시아 정치 전문가들은 올해 교류 50주년을 맞은 아세안(ASEAN·동남아시아국가연합)과 일본의 관계가 긍정적인 발전 과정을 거쳤다고 분석한다. 전문가들에 따르면 50년 전 일본 다나카 가쿠에이 전 일본 총리가 아세안 교류 시작을 위해 동남아에 방문했을 때만 해도 대규모 반대 폭동이 일어나기도 했다. 하지만 현재는 관계 개선을 위한 일본의 오랜 노력을 통해 아세안과 일본, 공동의 이해관계와 역내 영향력 유지를 목적으로 원만한 외교를 이어가고 있다.
Read More
[동아시아포럼]은 EAST ASIA FORUM에서 전하는 동아시아 정책 동향을 담았습니다. EAST ASIA FORUM은 오스트레일리아 국립대학교(Australia National University) 크로퍼드 공공정책대학(Crawford School of Public Policy) 산하의 공공정책과 관련된 정치, 경제, 비즈니스, 법률, 안보, 국제관계에 대한 연구·분석 플랫폼입니다. 저희 폴리시코리아(The Policy Korea)와 영어 원문 공개 조건으로 콘텐츠 제휴가 진행 중입니다. 아시아 정치 전문가들은 올해 교류 50주년을 맞은 아세안(ASEAN·동남아시아국가연합)과 일본의 관계가 긍정적인 발전 과정을 거쳤다고 분석한다. 전문가들에 따르면 50년 전 일본 다나카 가쿠에이 전 일본 총리가 아세안 교류 시작을 위해 동남아에 방문했을 때만 해도 대규모 반대 폭동이 일어나기도 했다. 하지만 현재는 관계 개선을 위한 일본의 오랜 노력을 통해 아세안과 일본, 공동의 이해관계와 역내 영향력 유지를 목적으로 원만한 외교를 이어가고 있다.
Read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