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main content
아마존, 내년 1월부터 임직원 재택근무 비허용
美 주요 빅테크, '하이브리드 근무'로 사무실 출근 독려
카카오·우아한형제들 등 국내 주요 IT 기업도 "출근해라"
amazon_20240919

세계 최대 전자상거래 업체 아마존이 코로나19 팬데믹 기간부터 실시해 온 재택근무 제도를 전면 폐지한다. 마이크로소프트(MS), 구글, 애플, 메타 등 대부분의 빅테크 기업들이 하이브리드 근무 체제를 유지하며 재택근무와 사무실 출근을 병행하고 있는 가운데, 이례적으로 주 5일 사무실 출근을 요구하며 '강수'를 둔 것이다.

광고형 요금제 회원 증가, 광고 수익 비중 10% 육박
경쟁력 강화 위해 광고 단가 낮춰 신규 광고주 확보
스폰서십 확대, 몰아보기 광고 등 새로운 전략 모색
20240918 netflix

코로나 엔데믹과 함께 구독자가 감소로 위기를 겪었던 넷플릭스가 올해 2분기 최대 실적을 경신하며 화려하게 부활했다. 2022년 광고형 요금제와 함께 본격화된 광고 수익이 새로운 수익원으로 자리 잡으면서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로 진화하고 있다는 평가다. '광고 없는 스트리밍 서비스'에서 세계 최대의 '광고형 스트리밍 서비스'로 전환한 넷플릭스의 전략이 향후 실적에 어떤 영향을 미치게 될지 업계의 이목이 집중되고 있다. 

사모펀드, 에코비트 등 폐기물 처리 업체 인수 나서
신규 진입 제한, 안정적인 수요와 매출 구조가 장점
애플·엔비디아·MS 등 '글로벌 빅3' 자금 조달 참여
펀딩서 65억 달러·은행서 50억 달러 확보 목표
투자 유치 위해 '비영리 탈피' 등 지배구조 변경도 타진
openai_20240411

챗GPT 개발사인 오픈AI가 200조원에 이르는 기업가치로 투자 유치를 진행하고 있다. 이는 일론 머스크의 스페이스X와 맞먹는 규모이자, 마이크로소프트(MS)가 투자를 진행한 지난해 초 대비 5배 넘게 불어난 것이다. 가파른 성장과 함께 비용도 증가하는 가운데, 지배 구조까지 뜯어고치며 추가 자금 조달에 팔을 걷어붙이고 있지만 날로 확산하는 AI 거품론이 전망을 어둡게 한다.

무너지는 공공 배달앱 시장, 최근 운영 종료한 앱만 10여 개
기술력·인력 부족, 낮은 시장 이해도 등이 발목 잡아
"민간 업체와 경쟁 안 돼" 지자체 재원의 한계
delivery_man_20240913

소상공인과 자영업자의 중개 수수료 부담 완화를 위해 등장했던 '공공 배달앱'이 줄줄이 시장에서 퇴출당하고 있다. 민간 배달앱 3사(배달의 민족, 쿠팡이츠, 요기요)가 시장 점유율 확보를 위한 '출혈 경쟁'에 힘을 쏟는 가운데, 다수의 공공 배달앱이 설 자리를 잃고 시장 외곽으로 밀려나는 양상이다. 업계에서는 △미흡한 기술력 △인력 부족 △낮은 시장 이해도 △재원의 한계 등을 공공 배달앱의 대표적인 패인으로 지목하고 있다.

로이터 "글로벌 수요 둔화에 비용 절감을 위해 감원 조치"
삼성전자 "효율화 위한 일상적인 사안, 생산직 영향 없어"
반도체 등 핵심 사업 부진, 신사업 지연 등에 위기론 대두
20240912_fire-samsung

삼성전자가 해외 사업 인력을 최대 30% 감축한다. 현재 인도와 중국 법인은 영업·판매직, 행정·관리직 등에 대한 감원 절차에 돌입한 상태다. 최근 반도체와 스마트폰·가전 부문의 부진으로 삼성전자의 위기론이 대두되는 가운데 핵심 사업에 역량을 집중하기 위한 조치로 분석된다.

중국 전기차 산업 약진, 글로벌 점유율 확대 수순
대중국 압박 강화에 '우물 안 개구리'는 못 면해
일각선 낙관론도, "과거 일본이 美 정부 압박 이겨낸 전례 있어"
electric_china_TE_20240912

중국산 전기차가 저렴한 가격을 내세워 글로벌 점유율을 확대하고 있다. 중국 주요 전기차 제조사의 판매 실적이 국내 현대차·기아의 판매고를 넘어섰을 정도다. 다만 중국 전기차 산업에 대한 전문가들의 평가는 여전히 낮은 수준이다. 미국 등 주요국이 대중국 압박을 강화해 중국 기업들의 외부 확장성이 떨어졌기 때문이다.

미 법무부 "구글 경쟁사 인수해 독점적 지위 강화, 불법 관행 일삼아"
EU·영국도 압박 강화, 구글 둘러싼 법적 리스크 심화 양상
美 "HBM 역량, 미국과 동맹국 위해 활용해야"
미국의 HBM 수출 통제 움직임, 수개월 전부터 확인
네덜란드 등 동맹국, 대중국 제재 수준 높이며 통제 동참
usa china chip 20240806

미국 정부 고위 관계자가 한국 기업이 생산하는 고대역폭 메모리(HBM) 제품이 중국이 아닌 미국과 동맹국에 공급돼야 한다는 의견을 내놨다. 삼성전자·SK하이닉스 등 국내 반도체 기업에 대(對)중국 수출 통제 동참을 종용하고 나선 것이다. 시장에서는 미국이 중국의 인공지능(AI) 기술 발전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안보적 위협을 고려, 선제적으로 대중국 제재 수위를 높여가고 있다는 평이 나온다.

대한변호사협회, 'AI 대륙아주' 징계 절차 개시
엘박스 등 유사 업체도 도마 위에, 양측 주장 첨예
데이터센터 등 전력 수요 급증에 대체 전원으로 원전 부상
러-우크라 전쟁 장기화로 인한 천연가스 가격 상승도 영향
유럽서 첫 원자력 정상회의 개최하며 탈원전 논의 본격화
20240910_nulear power

세계 최초 탈원전 국가인 이탈리아가 35년 만에 탈원전 정책을 폐기하고 원자로 개발에 나선다. 이탈리아 외에도 2011년 후쿠시마 원전 사고 이후 선언했던 프랑스, 스위스, 영국, 스웨덴 등 유럽 주요국들이 '탈(脫)탈원전'으로 돌아서고 있다. 2022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이후 에너지 대란, 데이터센터·AI(인공지능) 붐에 따른 전력 수요 폭증 상황이 탈탈원전을 가속화했다는 분석이다.

피해자 단체, 국민의힘·민주당 앞에서 집회
한동훈·이재명 대표 앞으로 진정서도 전달
에이치이엠파마, 지난달 정정신고서 제출 후 재차 정정 요구 받아
"100억원대 손실만 수년째" 자금 수혈 시급한 상황에 상장 일정 연기
증권신고서 정정 요구 쏟아내는 금감원, 기술특례상장 '경계'
hem_pharma_20240909

금융감독원이 에이치이엠파마(HEM파마)에 증권신고서 정정을 재차 요구했다. 기술의 잠재성을 기준으로 증시에 입성한 기술특례상장 종목들이 줄줄이 '개미들의 무덤'으로 전락한 가운데, 금감원이 투자자 보호를 위해 본격적으로 심사 기준을 강화한 결과다. 당국은 에이치이엠파마 외에도 이달 상장을 앞둔 다수의 기업에 정정신고서 제출을 요청한 상태다.

파벨 두로프 CEO, 프랑스서 체포 이후 첫 공식 입장
“이용자 범죄로 CEO 기소는 잘못된 접근" 주장
블룸버그 "中 BYD, 멕시코 공장 건설 계획 검토 중단"
美 대선 불확실성에 테슬라도 멕시코 투자 계획 보류
BYD 상반기 판매량 1위, 남미·동남아 생산거점 구축
20240905_car_china

중국 최대 전기차 제조업체 BYD가 미국 대선 이후까지 멕시코 공장 건설을 미루기로 했다. 테슬라도 진행 중이던 멕시코 공장 건설을 미 대선 때까지 잠정 중단한다. 미국 공화당의 대선 후보인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이 멕시코를 우회해 미국 현지로 수입되는 중국산 전기차에도 고관세를 부과하겠다고 밝히자 대선 결과가 나올 때까지 추이를 관망하기 위한 조치로 풀이된다.

한미사이언스 임시주총 노리는 3자 연합, 이사회 구성원 확대 등 안건이 중심
우호 지분 상대적으로 적은 형제 측, 한미약품 최대 주주 지위 활용해 기회 잡나
엔비디아, 하루 만에 시가총액 2,789억 달러 증발
고개 드는 'AI 거품론', AI·반도체 투자 심리 위축
네이버·카카오도 나란히 AI 연구개발 비용 축소
nvidia 20240625

엔비디아의 주가가 하루 만에 10% 가까이 급락했다. 2분기 실적 발표 이후 성장세 둔화에 대한 투자자 우려가 증폭된 가운데, JP모건·블랙록 등 유력 투자은행과 자산운용사가 인공지능(AI)에 대한 비관적 전망을 쏟아낸 결과다.

러시아발 에너지 위기에 獨 경기 침체 장기화, 폭스바겐도 심각한 상황
완성차업계 부진 가시화, 2019년 대비 지난해 독일 생산 자동차 13% 감소
성장성 커진 아시아 완성차 업체 약진에 독일 3대 자동차 그룹 실적 하락세
Volkswagen_germany_TE_20240904

유럽 최대 자동차 제조 업체인 독일 폭스바겐 그룹이 창사 이래 처음으로 자국 내 공장 폐쇄를 검토하고 있다. 러시아발 에너지 위기 이후 발생한 경기 침체가 폭스바겐에도 직격타가 된 것으로 풀이된다. 여기에 최근 아시아 완성차 업체가 부쩍 성장한 것도 폭스바겐의 부담을 키웠다. 아시아 업체가 독일 업체의 점유율을 갉아 먹는 양상이 이어지고 있어서다.

한미약품 이사회, 임종윤 대표이사 선임 안건 부결
신 회장·모녀 '혈맹'으로 지형 기울어, "예견된 결과"
박재현 대표 중심 '전문경영인 체제' 탄력받을 전망
hanmiscience_TE_20240903

한미약품그룹 오너 일가의 경영권 분쟁이 지주사(한미사이언스)와 종속회사(한미약품그룹) 간 내전 양상으로 치닫고 있다. 지난 3월 한미사이언스 주주총회에서 임종윤·종훈 형제의 손을 들어줬던 신동국 한양정밀 회장이 송영숙·임주현 모녀와 ‘3자 연합’을 구성하며 무게추가 옮겨간 여파다. 여기에 임종윤 한미약품 사내이사가 제안한 안건이 모두 부결되면서 갈등의 골은 더욱 깊어지게 됐다.

 영·유아식, 저출산 시대에도 판매량 호조
'골드 키즈' 트렌드가 낳은 '프리미엄화' 현상이 성장세 견인
중국 등 여타 주요국에서도 이유식 시장 성장세 관측돼
baby food_20240903

영·유아식 시장이 저출산 악재 속에서도 안정적인 성장세를 이어가고 있다. 출산율이 미끄러지며 '골드 키즈(한 자녀에 집중적으로 투자하는 부모들의 소비 패턴)' 트렌드가 빠르게 확산하는 가운데, 영·유아의 건강에 초점을 맞춘 프리미엄 제품 수요가 급증한 결과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