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플러스 노조, SSM 부문 매각은 투자금 회수 목적에 지나지 않아온라인 사업 진출해 경쟁력 강화하겠다는 MBK 주장 공감 어렵다홈플러스 노조원 1,000명으로 8월 초 결의 대회 개최 예정 홈플러스의 기업형슈퍼마켓(SSM) 홈플러스 익스프레스가 시장에 M&A 매물로 나온 가운데, 홈플러스의 노사 갈등이 점입가경 양상을 보이고 있다. 노조는 대주주인 사모펀드(PEF) 운용사 MBK파트너스(이하 'MBK')의 홈플러스 익스프레스 분할 매각을 저지하기 위해 투쟁 결의를 선포했으며, 홈플러스는 매각 추진이 본체 경쟁력 강화 목적에 있다는 입장을 내놓으며 일축하는 모습이다.
Read More삼성 최대 노조 '전삼노', 8일부터 10일까지 '총파업' 단행전삼노 "반도체 직군에서 5,000명 참석해 생산 차질 전망"연봉 협상 거부한 소수 강경파에 추가 연봉 인상으로 논란 삼성전자 노동조합이 사상 첫 총파업에 돌입했다. 노조는 3일간 이어지는 총파업에 반도체 직군 5,000여 명이 참여해 생산에 차질이 발생할 것이라고 주장했다. 하지만 최근 삼성전자가 반도체 경쟁력 하락으로 어려움을 겪는 상황에서 평균 연봉 1억2,000만원을 받는 귀족 노조의 파업을 두고 명분이 부족하다는 지적이 제기된다. 더욱이 소수 강경파 조합원에 대한 연봉 추가 인상 요구에 대해선 노조 내부에서도 비판의 목소리가 나온다.
Read More낮은 성장성에 주가 급락, 에코프로비엠 개인투자자 평균 27% 손실증권가서도 부정적 전망, "기업가치 고평가돼 밸류에이션 부담 크다"일각서 주가 상승 기대감 나오지만, "밸류에이션 정상화가 우선돼야" 에코프로비엠 주가가 추락을 거듭하면서 전환사채(CB)에 투자했던 기관 투자자들의 1차 엑시트(투자금 회수)에 빨간불이 켜졌다. 에코프로비엠의 주가 급락 원인은 성장성이다. 실제 에코프로비엠의 영업이익은 1년 새 90% 이상 하락했고, 전기차 시장이 부진한 탓에 미래 전망도 어둡다. 이에 증권가도 에코프로비엠에 부정적인 입장이다. 기업가치가 여전히 고평가돼 있단 시선에서다.
Read MoreSK바이오, 코로나 팬데믹 이후 백신 수요 감소하며 실적 부진기술력과 생산 거점 갖춘 기업과의 M&A 통해 영역 확장 추진IDT 인수로 美 등 선진 시장 진출 발판, 글로벌 도약 단초 마련 SK바이오사이언스가 총 6,560억원 규모 기업가치로 평가받는 독일의 백신 생산 기업 IDT 바이오로지카(IDT Biologika GmbH)를 인수한다. SK바이오사이언스는 코로나19 팬데믹 당시 백신 위탁생산(CMO)으로 매출이 급증했지만, 엔데믹 이후 계약이 종료되면서 적자를 이어오고 있다. SK바이오사이언스는 이번 인수를 계기로 백신에 편중된 수익 구조를 개선하고 유럽과 북중미에 생산 거점을 확보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Read More기재부, 26일 반도체 생태계 종합지원 추진 방안 발표대기업 과잉 혜택 경계하던 야당도 '100조원' 지원책 제시美·中·EU 등 주요국 반도체 지원사격 의식했나 정부가 26조원 규모의 반도체 산업 지원 방안을 내놨다. 해외 주요국 정부들이 반도체 부문에 대규모 자금을 쏟아부으며 글로벌 반도체 시장 전반이 과열된 가운데, 국내 반도체 기업의 경쟁력 확보를 위해 과감한 투자를 결정한 것으로 풀이된다. 여기에 더불어민주당도 반도체 산업에 100조원 규모의 정책금융을 제공하는, 이른바 'K-칩스법'을 필두로 지원사격에 힘을 보태고 있다.
Read More4680 원통형 배터리, 테슬라 사이버트럭 등에 탑재LG엔솔 오는 8월부터 양산, 美 애리조나 공장 신설파나소닉 올 하반기, 삼성SDI는 내년 초 양산 계획 최근 배터리 업계에서 '지름 46㎜'의 배터리가 신규 폼펙터로 주목받는 가운데 원통형 배터리 시장을 선점하기 위한 글로벌 배터리 제조사들의 양산 경쟁이 치열하다. 해당 배터리는 세계 전기차 업체 1위 테슬라가 사이버트럭 등 주력 제품에 탑재할 배터리로, 국내 기업 중에는 LG에너지솔루션이 가장 먼저 본격적인 양산에 돌입한다. 이어 오랜 기간 테슬라와 파트너십을 이어온 파나소닉이 올해 하반기 양산을 앞두고 있으며 삼성SDI도 내년 초 양산을 목표로 현재 고객사와 협의 중에 있다.
Read MoreIPTV 3사 VOD 매출 급락, OTT 시장 장악에 성장률도 하락세새 수익원 찾아 나선 업체들, OTT와 파트너 제휴 맺기도IPTV 설치비 인상까지 나섰지만, 업계 미래는 여전히 안갯속 OTT가 시장을 사실상 장악하면서 인터넷TV(IPTV) 3사(KT·SK브로드밴드·LG유플러스)의 유료 VOD 매출이 급락했다. 지상파 방송사도 주중 드라마가 0%대 시청률을 기록하는 등 초유의 사태에 직면했다. 실적과 성장률도 점차 낮아지는 추세다. 말 그대로 위기에 당면한 것이다. 이에 업계는 OTT와의 동침을 시작하는 등 새 수익원을 물색하는 데 사력을 다하고 있지만, 그럼에도 실적 개선은 요원하기만 하다.
Read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