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main content
박창진
[email protected]
지근거리를 비추는 등불은 앞을 향할 때 비로소 제빛을 발하는 법입니다. 과거로 말미암아 나아가야 할 방향성을 비출 수 있도록 노력하겠습니다.
손태승 전 회장 친인척 부정대출 의혹 확산, 명예지점장 행세 사실 드러나기도사태 수습 나선 우리금융 "부당한 상사 지시 거부할 수 있는 문화 만들어야"


중국으로의 개인 정보 유출 현실화, 카카오페이 "불법은 아니다"카카오페이 2대 주주는 알리페이, 중국 자본 영향력이 근본적인 원인?


잇단 횡령 사고에 전 회장 부정대출까지, 우리금융 신뢰도 '수직 낙하'지분상 완전 민영화 이뤘지만, "지배구조 개선 측면에서 부실함 노출한 셈"


연금 수령액 손해 보더라도 연금 조기 수급하는 고령층 늘어지원책 도입 타진 나선 정부, KDI "부분연금제도로 경제 여력 개선 가능"소매판매 감소 등 경기 부진 심화, 고령층 소득 공백기 장기화 우려
nationalpension dictionary PE 20240813
수령액에 손해를 보더라도 연금을 앞당겨 받는 조기 수급자가 100만 명에 근접했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이에 정부는 부분연금제도 도입 등 지원책을 논의하고 나섰지만, 시장에선 회의적인 반응이 쏟아진다. 경기 불황 및 연금 수급 개시 연령 상향 등 연금 조기 수급이 급증한 근본적인 원인을 해결하지 못하면 제도 개선에 의미가 없다는 시선에서다.
알뜰폰 이동 고객 38.7% 감소, 순증 인원은 80% 넘게 줄어저가 요금제 출시한 통신 3사들, 금융권 알뜰폰 시장 진출도 '직격타'알뜰폰 업계 지원 나선 정부, 정작 시장선 "지원책 실효성 떨어져"
MVNO phone PE 20240812
저가 요금제 출시 등으로 알뜰폰 업계의 위기가 가시화하자 정부가 직접 지원에 나섰다. 통신 3사의 경쟁자 역할을 알뜰폰 사업자가 대신 할 수 있으리란 시선에서다. 다만 시장에선 정부의 지원에도 알뜰폰 업계가 되살아나긴 어려울 수 있다는 의견이 적지 않다. 이미 통신 3사의 저가 요금제가 시장에 안착한 상황인 데다, 정부의 단통법 폐지, 도매대가 인하 등 정책에 다소 부실한 면이 있어서다.
K-콘텐츠 투자 확대 나선 디즈니, "미래 경쟁력 제고 차원"디즈니 메가 IP 성과 부진한 아시아, K-콘텐츠로 출구전략 마련


디즈니 스트리밍 흑자 기록, 상승세 당분간 이어질 전망킬링 콘텐츠 부족하단 한계는 여전, 디즈니 측 "K-콘텐츠 투자 확대하겠다"스포츠 콘텐츠로 성장성 제고, FOX·WBD와의 합작 스포츠 스트리밍 서비스 출시 타진
disney+ OTT TE 20240809
월트디즈니컴퍼니 스트리밍 부문이 사상 최초로 흑자 전환에 성공하면서 이번 분기가 실적 개선의 '분수령'이 되는 것 아니냐는 기대감이 나온다. '인사이드 아웃2'의 흥행으로 디즈니+ 신규 가입자가 크게 늘어나는 등 성장을 보조할 만한 여건이 마련됐단 점도 호재로 평가된다. 다만 킬링 콘텐츠 부족 등 한계로 한국에서 실적 부진을 면치 못하고 있단 점은 여전히 과제로 남아 있다.
집값 상승세에 재개발 지원 확대, 그린벨트 해제도 본격 추진업계선 회의적 의견, "그린벨트 해제 시 인근 지역 땅값 상승할 수 있어"


엔화 강세에 나스닥100 지수 하락, 엔캐리 청산 영향력 가시화엔캐리 규모 약 5조3,000억 달러로 추정, 추가 청산 가능성 있나외환시장에 집중된 엔캐리, 증권가 "엔캐리 청산 여파 제한적일 듯" 
yen carry trade PE 20240808
글로벌 증시 폭락의 원인으로 엔캐리 트레이드 청산이 지목되면서 엔캐리 추가 청산 가능성이 화두에 올랐다. 엔캐리는 일본이나 스위스 등 상대적으로 금리가 낮은 국가에서 돈을 빌려 고수익을 기대할 수 있는 다른 국가의 자산에 투자하는 것을 뜻하는 말이다.
주가 급락한 두산그룹 3사, 주식매수청구권 행사 가격보다 줄었다.두산에너빌리티 2대 주주 국민연금이 사업 재편에 '키' 될 듯청구 규모 한도 초과 시 사업 재편 취소, 일각선 '강행할 것'이란 의견 나오기도
doosan down FE 20240808
두산그룹의 주가가 급락하면서 두산밥캣과 두산로보틱스의 합병 절차에 적신호가 켜졌다. 매수청구권 행사 기간이 도래할 때까지 주가가 반등하지 못하면 대규모 주식매수청구권 행사 물량이 대거 나와 합병 성사가 어려워질 수 있어서다. 두산그룹은 우선 국민연금의 동향에 시선을 집중하는 모양새다. 국민연금이 반대표를 던지는 것만으로도 사업 재편 계획이 흔들릴 수 있기 때문이다.
네카오 주가 하락 추세, 독과점 논란으로 규제 강화 위기까지벤처 투자 감소에 흔들리는 유니콘들, 스타트업 폐업률도 늘어벤처 업계 부진에 '정상화 수순' 의견도, "고평가 해소 가능성 있어"
kakao naver TE 20240807
네이버와 카카오의 성장세가 꺾이고 주요 유니콘기업(기업가치 1조원 이상의 비상장사)들의 적자가 심화하는 등 국내 플랫폼 생태계에 경고등이 켜졌다. 올해 하반기에도 하락세는 이어질 것으로 전망된다. 정부가 자금 부족을 이유로 벤처 지원금 중단을 선언한 탓이다. 다만 일각에선 벤처 업계의 부진을 두고 '시장의 정상화'가 이뤄지고 있단 분석도 나온다. 그간 벤처기업이 지나치게 고평가되고 있었단 시선에서다.
효성화학 특수가스 가격 협상 돌입, 우협 측 "몸값 고평가"재무 상황 악화 일로 걷는 효성화학, "몸값 조정 크지 않을 가능성 높아"석유화학산업 부진 심화, 원인은 중국의 공격적인 석유화학 시설 증설
hyosung IMMPE FE 20240807
효성화학 특수가스사업부 매각이 본격화한 가운데 매각 측과 인수 우선협상대상자(우협) 측이 몸값을 두고 '밀당(밀고 당기기)'을 이어가고 있다. 몸값이 지나치게 높은 수준으로 책정됐단 인식이 확산한 영향이다. 다만 효성화학이 특수가스를 헐값에 매각할 가능성은 거의 없다는 게 시장의 평가다. 재무 안정성이 악화한 탓에 자금 유입이 시급한 상황이어서다.
검색엔진 기본 탑재에 260억 달러 투입, 미 법원 "반독점법 위반 맞다"'고객 위한 것'이라는 구글, 시장선 "독점적 지위 무기화한 건 사실"구글 최종 패소 시 강제 기업 분할 명령 떨어질 듯
google Federal judiciary TE 20240806
구글이 인터넷 검색 분야 독점 기업으로서의 지위를 유지하기 위해 불법행위를 자행했다는 내용의 미국 법원 판결이 나왔다. 미국 정부가 제소한 반독점법 위반 소송에서 구글이 패소한 것이다. 이후 구글이 최종 패소할 경우 기업 강제 분할 명령이 내려질 수 있단 의견도 나오고 있다.
민영화 시도 실패 반복한 中 안방보험, 결국 파산 절차 본격화동양·ABL생명-우리금융 인수 탄력 받았지만, 가격 신경전은 여전우리금융 약점 노출에 우려 확산, "동양·ABL생명 인수 완주 못 할 수도"
anbang insurance FE 20240806
최근 보험사 대규모 정리에 돌입한 중국 당국이 안방보험 파산 절차에 돌입했다. 이에 안방보험의 대주주인 다자보험그룹이 소유한 동양생명·ABL생명 매각 작업에 속도가 붙을지 업계의 관심이 쏠린다. 안방보험이 파산하면 다자보험그룹도 청산 절차에 들어가게 된다. 이 경우 두 생명보험사 인수에 관심을 보여 온 우리금융지주가 매각 협상에서 유리한 고지를 점할 수 있을 것으로 관계자들은 보고 있다.
완전자본잠식 상태 빠진 트릿지에 FI, "트릿지 지속 성장 지원하겠다"투자자 지원 아래 최악 면한 컬리, 트릿지도 비슷한 수순 밟을까


미국 실업률 4.3%까지 상승, 시장서 AI 거품론 확산하기도과도한 투자로 실적 하락한 빅테크 기업들, 미국 경기 침체 가능성 ↑월가선 AI 거품론에 반박 의견, "기술 성숙도 및 재투자율 높은 만큼 닷컴 버블과 단순 비교 안 돼"
AI bubble down TE 20240805
미국 경제가 급격한 침체기에 접어들고 있는 가운데, 급변한 분위기 탓에 증권가의 시선도 엇갈리고 있다. 경기 침체 가능성이 제한적이라는 낙관론과 AI 거품이 가시화하면서 침체가 더욱 심화할 것이란 회의론이 얽히고설킨 것이다. 월가에서도 경기 침체를 경계하는 의견이 힘을 얻는 한편 AI 거품론에 대해선 회의적인 의견을 드러내는 목소리도 적잖이 나온다.
티메프 연쇄 도산 우려 확산, 당국 "5,600억원 규모 지원하겠다"우려 쏟아내는 금융사들, 피해자들도 "대출 이자 큐텐에 청구해야" 볼멘소리


티메프 사태에 리스크 확산, 큐익스프레스 PEF 연합 보통주 전환 논의 시작큐텐 사례에 힘 입어 RCPS·CB 등 보호 장치 마련된 투자 방식 선호도 높아지나


완전자본잠식 빠진 트릿지, 애그테크 최초 유니콘 기업의 추락자구책 마련 나섰지만 시장 반응은 회의적, "추가 투자 유치도 어려울 것"


금리 인상에 '추가 인상'까지 시사한 일본은행, 슈퍼 엔저 시대 막 내렸다일각서 엔캐리 청산 우려 나오지만, "유동성 공급 정책 이어지는 만큼 가능성 적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