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main content
박창진
[email protected]
지근거리를 비추는 등불은 앞을 향할 때 비로소 제빛을 발하는 법입니다. 과거로 말미암아 나아가야 할 방향성을 비출 수 있도록 노력하겠습니다.
미국도 HBM 경쟁력 제고 본격화, 미 정부도 마이크론 '밀어 주기'HBM 선두 점했던 SK하이닉스, 마이크론 추격 아래 '지각변동' 가능성


고정이하여신 비율 10% 초과 46개·20% 초과 10개, 저축은행 이대로 무너지나연체율도 1년 새 3.14%p 상승, "새마을금고 '뱅크런 사태' 재현될 수도"


IFRS17 도입 이후 실적 부풀린 보험사들, 금융당국 "제도 개선하겠다"회계 논란에 보험주 일제히 주가 하락, 증권가선 "오히려 저가 매수 기회"


이창용 한은 총재 "금융안정 고려하면 중립금리 더 높아져"중립금리 논쟁 이어가는 학계, 골자는 중립금리 상승 여부


개인정보 유출 라인에 일본 압박↑, 개선책 '조기 실시' 요구하기도'라인 탈취' 의혹 기정사실화했지만, "정보 유출에 대한 죗값은 받아야"


반포 래미안 원펜타스 내달 조합원 입주, 분양가는 3.3㎡당 6,000만원 초반 전망2021년 택지가격 감정평가 받았던 원펜타스, 3년 전 땅값 그대로 가져간다


현대제철 영업이익 감소했지만, R&D·시설투자는 200억·7,000억원 증가꾸준한 투자에 '전기차용 핫스탬핑 부품 개발' 등 연구 성과도 속속R&D 투자 백안시하는 업계, 현대제철이 '투자 동기' 부여할 수 있을까
Hyundaisteel_RD_TE_20240529
현대제철이 실적 악화 상황속에서도 시설 투자 및 연구개발(R&D) 투자 금액을 늘리며 기술 확보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 선제적 기술 개발을 통해 미래 경쟁력을 강화하겠단 취지다. 현대제철의 공격적인 투자 기조에 시장의 관심도 집중되는 모습이다. R&D 투자에 소극적인 국내 철강업계가 현대제철을 통해 투자 동기를 부여받을 수 있다는 시선에서다.
충실 의무 대상에 주주 포함? 소액주주 보호-코리아 디스카운트 해소 차원상법 개정안 본격 궤도, 윤 대통령·야권도 "주주 권익 강화" 일관된 목소리


AI 확산에 개발자 수요도 늘었지만, "역량 평가 효용은 글쎄"'코딩 붐' 시절 못 버린 한국, 막상 글로벌 시장선 코딩 중요도↓인력 채용에 '코딩 테스트' 강조하는 고용시장, 직무 연관성 있나
AI_developer_TE_20240528
2022년 11월 챗GPT 등장 이래 AI(인공지능) 직무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코딩을 배우려는 이들이 늘고 있다. 한국에서 AI 개발 직무에 진입하기 위해선 코딩 테스트를 통과해야 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막상 글로벌 AI 시장에선 코딩의 중요도가 점차 낮아지는 추세다. 구시대적 인력 검증 시스템만을 고집하는 고용시장이 국내 AI 시장의 상장을 막고 있단 비판이 나온다.
전년 동기 대비 순이익 5배 증가, 케이뱅크 외형성장 가시화케이뱅크 IPO 염원 이루나, "실적 좋은 데다 IPO 시장도 상승기"우리은행은 '후일 찾기', "사실상 케이뱅크 상장 성공 전제로 둔 듯"
K-bank_netprofit_FE_20240528
케이뱅크가 올 1분기 최대 실적을 기록했다. 금리 및 상품 혜택 강화, 안전자산 중심의 포트폴리오 강화 등으로 경쟁력을 높인 결과다. 이에 일각에선 1분기 실적이 케이뱅크의 IPO(기업공개) 도전에 분수령이 될 수 있다는 전망도 나온다. 우리은행이 케이뱅크 상장 성공을 전제로 인터넷은행 '갈아타기'를 타진하는 가운데 케이뱅크의 IPO 염원이 이뤄질 수 있을지 관심이 쏠린다.
수출 물질 반환에 주가 폭락한 큐라클, HLB도 FDA 승인 실패 악재성과 부풀리기 등 '꼼수'에 얼룩진 바이오주, "투심 위축 당연한 수순"


정부 간 협의체 재개 나선 韓中, 한일 간 협력체계 강화에도 '물꼬'북핵 등 민감한 문제는 '뒤로', 3국 간 긴장관계 여전한 영향인 듯


반도체 산업 지원 총 26조원, K칩스법 기한도 연장 수순소부장 지원 강화에 기대 나오지만, 일각선 '직접 지원' 필요하단 지적도


미중 관세전쟁 확산 양상, 국내 태양광 등 관련주 주가도 상승세반사이익 얻는 데 집중하는 유럽, "대중 무역적자 줄이고 대미 흑자 늘렸다"높아져만 가는 한국의 '중국 의존도', 2021 요소수 부족 사태 재현될 수도
tariff_USA_PE_20240524
미·중 간 관세전쟁이 유럽까지 확산할 조짐을 보이면서 관련주들의 주가가 요동치고 있다. 특히 중국발 공급 과잉에 시달리던 태양광 업체, 에너지저장장치(ESS) 관련 업체들의 상승세가 눈에 띈다.
주택건설업체 관계자 83% "최소 1년은 경기 침체 이어질 것"규제 완화 기대감 하락에 기준금리 동결 흐름까지, "주택시장 진입 문턱 여전히 높아"금리 인하 지연에 주담대 금리 상승 분위기 확산, 인터넷은행도 평균 금리 연 4%대
2024_05_khi_FE_20240522
주택경기 침체가 최소 1년 후에나 회복될 것이란 전망이 나왔다. 총선 이후 여소야대 정국이 이어지면서 규제 완화 기대가 꺾인 데다 기준금리 동결 가능성마저 높아진 탓이다. 지난 1분기에 전국 아파트 매매거래량(신고일 기준)이 상승하는 등 오름세를 보이기도 했으나, 이는 억제돼 있던 거래가 일부 회복하는 과정에서 발생한 국지적 현상에 불과하다는 게 전문가들의 대체적인 시선이다.
1기 신도시 선도지구 최대 3만9,000가구 선정, 주요 요건은 '주민 동의율'재건축 사업으로 물량 조절 나선 정부, 건설경기 침체 일부 회복도 '기대'


2㎚ 상용화 힘쓰는 삼성, "시장 선점 통한 경쟁력 제고 노린다"퀄컴 수주전 외 자체 브랜드 개발 소식도, "삼성 재도약 꿈 아닐 수 있어"3㎚ 공정 수율 여전히 20%대, 파운드리 공정 역량 부족이 발목 잡을 수도
mobile_AP_TE_20240523
삼성전자가 2나노미터(㎚)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AP) 개발에 돌입했다. 2㎚는 아직 상용화된 적 없는 최첨단 반도체다. 삼성전자가 2㎚ AP 상용화를 통해 최근 대만 TSMC 등 경쟁사 대비 기술력이 낮아졌단 평가를 반전시킬 수 있을지 업계의 관심이 쏠린다.
외형·내실 모두 잡았다? 비용통제에 사상 첫 분기 흑자 달성한 컬리일각선 비판 여론도, "마케팅 축소 등으로 사실상 매출 버린 것"쿠팡 대비 경쟁력 하락 수순, IPO 재도전에도 악재로 작용하나
Kurly_FE_PCJ_20240522
컬리가 올 1분기 외형과 내실을 모두 잡았단 평가를 받았다. 수익 다각화에 더해 구조개선을 통한 비용통제에 성공한 것이다. 다만 일각에선 이를 마냥 긍정적으로 평가하기는 어렵다는 견해도 나온다. 컬리의 실적 개선은 마케팅 비용 축소 등 사실상 매출 성장을 포기하면서 얻어낸 성과라는 시선에서다.
사상 최대치 기록한 국내 기업부채, 23년 말 기준 2,734조원부동산 부문 신용공급 확대가 주원인, "부동산 의존도 과중"부동산 의존 성장모델 한계 드러낸 중국, 한국도 뒤쫓나
GDP_PE_20240521
한국 기업부채가 지난해 말 기준 2,700조원을 넘으면서 사상 최대치를 기록했다. 한국은행은 건전성 측면에서 대체로 안정적이라며 아직은 괜찮다는 입장을 보였으나, 국내 기업부채 대부분이 부동산 부문에 편중돼 있다는 데 대해선 상당한 리스크임을 강조했다. 과도한 부동산 의존에 경제위기를 맞은 바 있는 중국처럼 한국도 비슷한 전철을 밟을 수 있다는 시선에서다.
2015년 상장 실패한 교보생명에 어피너티, 주당 41만원에 풋옵션 행사신 회장 "FMV 너무 과해, 저출생·고령화 여파에 따른 성장 약화 고려해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