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스트 코로나에 무너지는 패션 업계, 무신사도 '위기일발' 거듭된 영업 손실에 '비상경영' 돌입, 취약점 노출은 '여전' 소비자 관심 축소 '가시화', 무신사 노력에도 "글쎄"
무신사 한정판 거래 플랫폼 솔드아웃을 운영하는 엘스엘디티(SLDT)가 성희롱·성추행 의혹이 불거졌던 직원을 승진 인사에 포함시킨 것으로 확인됐다. 핵심 인사의 도덕적 결함을 묻어가야 할 정도로 경영 여건이 악화했다는 방증이다. 수익성 악화 아래 경영적 취약점이 상당 부분 노출된 셈이다.
전문의약품을 온라인 쇼핑몰에서? 알리익스프레스 '불법 장사' 논란 "가품에 불법 상품 어떻게 이기나" 국내 이커머스 업계 불만 가중 본격적으로 규제 칼날 빼든 정부, 추가 성장 위해선 '로마법' 따라야
알리익스프레스(이하 알리) 등 중국 이커머스 업체들이 국내 시장의 '규제 사각지대'에 놓였다는 우려가 제기됐다. 무기, 약물 등 국내 온라인 판매가 금지된 '불법 상품'을 당당하게 유통하며 업계 질서 전반을 해치고 있다는 것이다.
알리익스프레스 "배송 기간 연내 1일 이내로 줄일 것" 국내 유통업계 잠식 심화, "도·소매 시장 전반이 중국 손으로" 알리 MAU 1년 새 2배 '급증', "초저가부터 당해낼 겨를 없어"
중국 대표 쇼핑 플랫폼 알리익스프레스에서 상품을 주문했을 때 배송까지 걸리는 기간이 연내 1일 이내로 줄어들 전망이다. 1년 전만 해도 한 달 넘게 소요되던 배송 기간을 지난해 중반 들어 일주일 이내로 줄이더니, 올해엔 하루 만에 배송하겠다고 공언했다. 핵심은 물류다. 한국에 자체 물류 거점을 구축함으로써 쿠팡, 네이버 등 종전의 국내 e커머스처럼 ‘익일·새벽배송’ 시스템을 갖추겠다는 게 알리의 주요 목표다.
"이젠 생수까지 판다" 알리익스프레스에 국내 생수 '빅3' 입점 점차 국내 영향력 키워가는 알리익스프레스, 투자 확대에도 박차 알리익스프레스 '폭풍' 휩쓸 토종 이커머스, 새로운 경쟁 시작된다
중국 이커머스 플랫폼 알리익스프레스의 성장세가 심상치 않다. 최근 알리익스프레스는 국내 브랜드 전문관 'K-베뉴(K-Venue)'를 론칭, 국산 브랜드의 인기 상품을 대거 확보·판매하며 덩치를 불려가고 있다. 단순히 '직구' 수요를 흡수하는 것을 넘어 본격적으로 국내 이커머스 시장에 침투, 기존 이커머스 사업자들과의 경쟁에 박차를 가하는 양상이다.
"처음으로 이겼다" 온라인 유통업체, 지난해 매출 비중 50.5% 기록 아슬아슬한 오프라인 시장, 체험형 콘텐츠 앞세운 차별화로 '반격' 성장 전략 뒤집는 이커머스 업체들, 시장 상황 고려한 방향 전환
온라인 유통업체의 매출 비중이 사상 최초로 오프라인 유통업체를 넘어섰다. 산업통상자원부는 지난해 온라인 유통업체 매출 비중이 50.5%로 전년 대비 1.3%포인트(P) 증가했다고 30일 밝혔다.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수년간 이어지던 유통업계 내 접전이 치열했던 '1회전'을 마무리한 것이다.
알리익스프레스, 2023년 한국인 사용자 수 371만 명 증가 올해 국내 물류센터 건립 앞둬, 향후 당일배송 가능할 수도 가격에 밀리고 규제에 치이고, 위기에 몰린 국내 소상공인들
최근 '차이나 커머스'가 초저가 마케팅을 기치로 내세우며 국내 시장을 빠르게 장악하고 있다. 28일 앱·리테일 분석 서비스 와이즈앱·리테일·굿즈(와이즈앱)에 따르면 지난해 한국인 사용자수가 가장 많이 증가한 앱은 월 평균 371만 명 증가한 중국 알리바바그룹의 ‘알리익스프레스’로 나타났다.
롯데카드의 야심작 핸드페이, 소비자 외면으로 보편화 실패 인프라 부족으로 소비자 유입 적어, 서비스 가맹점까지 부족 아마존도 쩔쩔매는 '오프라인 생체 결제', 고객 마음 돌리기 어렵다
롯데카드와 롯데정보통신이 공동 개발한 간편결제 시스템 '핸드페이'가 역사의 뒤안길로 사라질 위기에 처했다. 인프라 확보 및 홍보에서 난항을 겪고 소비자 이목을 끄는 데 실패하면서다. 1,000개에 달하는 매장에 핸드페이를 도입하겠다는 롯데카드의 야망은 무너진 지 오래다. 현시점 핸드페이의 명맥을 지키고 있는 것은 단 한 곳의 편의점뿐이다.
"진짜 살아있는 것 같다" 나날이 발전하는 가상인간, 마케팅 시장으로 SNS 휩쓰는 인플루언서 마케팅 시장, 가상 인플루언서 등장 이후 격변 실존 인간보다 저렴하고 안정적이다? 차후 관련 시장 급성장 전망
AI(인공지능) 기술 기반으로 제작된 가상인간이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 중심 인플루언서 마케팅 시장을 석권하고 있다. 1일(현지시간) 파이낸셜타임스는 "AI 아바타들이 210억 달러(약 27조4,500억원) 규모의 콘텐츠 크리에이터 시장으로 진출했다"고 보도했다.
TV 시청 수요 급감으로 휘청이는 홈쇼핑, 생존 전략 찾아 삼만리 모바일 커머스·자체 예능 콘텐츠에 총력, 젊은 소비자 눈길 끈다 모바일 콘텐츠가 TV에도 나온다? 판매 플랫폼 '구분선' 흐려져
국내 주요 홈쇼핑 4개사(GS·CJ·롯데·현대)가 '탈(脫)TV' 전략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 TV 시청 수요가 급감하는 현 시장 추세에 발맞춰 본격적인 수익 구조 전환에 나선 것이다. 이들은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앱)을 통한 라이브 방송, 사회관계망서비스(SNS) 콘텐츠 등을 강화하며 변화에 발을 맞추고 있다. 시류에 따른 '시장 격변'에 속도가 붙는 가운데, 시장에서는 홈쇼핑 업계 내 플랫폼 경계가 본격적으로 허물어지고 있다는 평이 나온다.
올 3분기 매출 호조, 주가 급등 이후 알리바바 시총 뛰어넘어 초저가 전략 등으로 미국 진출 1년 만에 고성장한 ‘테무’ ‘가품 논란, 물류비 증가’ 등은 지속 성장의 걸림돌
세계 최대 전자상거래 시장인 중국에서 전자상거래 업체 ‘핀둬둬’가 업계 1위 알리바바의 시가총액을 넘어섰다. 핀둬둬 산하의 해외 직구앱 테무(TEMU)가 돌풍을 일으킨 영향이다. 출시 1년 만에 세계 47개국에서 선풍적인 인기를 누리고 있는 테무는 지난 11월 기준 모든 모바일 앱 통틀어 신규 설치 건 순위 1위에 올랐다. 특히 중국 제조업체들의 해외 진출을 돕는 위탁모델 솔루션을 바탕으로 중국 현지 업체들을 끌어모으고 있으며, 공격적인 마케팅과 초저가 전략까지 더해 글로벌 소비자들을 사로잡고 있다.
매출 94%, 순이익 22.6% 증가, 실적 발표 직후 ‘알리바바’ 시가총액 바짝 추격 공동구매 통한 ‘초저가 소비 경험’ 주무기로 단기간 급성장 소외됐던 중국 중소도시 집중 공략하며 4년 만에 연간 거래액 ‘1조 위안’ 돌파
중국의 신흥 전자상거래 플랫폼 핀둬둬(拼多多·PDD)가 3분기 매출과 순이익 모두 시장 전망을 뛰어넘는 실적을 기록했다. 핀둬둬 산하의 해외 직구앱 테무(TEMU)가 급성장하면서 광고와 같은 온라인 세일즈 매출이 급증한 영향이다.
유통 업계 거래관행 조사 실시한 공정위, 악습 개선 오히려 더뎌졌다? 온라인 쇼핑몰 중심으로 불공정거래 심화, 시장 지배력 위한 '잘못된 선택' 납품·하청업체 지원 제도 있어도 무용지물, 대응책 명확히 인지해야
카카오(선물하기)·쿠팡·마켓컬리 등 온라인 쇼핑몰들의 납품 거래 관행 개선이 업계 내에서 특히 저조한 것으로 나타났다. 공정거래위원회는 27일 '2023년 유통분야 거래관행 서면실태조사 결과'를 발표, 이같이 밝혔다. 온라인 유통 시장이 빠르게 덩치를 불려 가는 가운데, 시장 선점 및 최저가를 유지하기 위한 불공정거래가 이어지고 있는 것으로 풀이된다.
Pagination
- First page
- Previous page
- …
- 6
- 7
- 8
- 9
- 10
- …
- Next page
- Last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