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main content
희망퇴직 실시하는 11번가, 큐텐 매각 실패 이후 살길 찾나
일부 강자가 고객 수요 흡수하는 이커머스 시장 구조, 여타 업체는 '한숨'
기한 내 상장 실패 후 매각까지 무산, 11번가의 운명은
해고_11번가

SK그룹 계열의 이커머스 기업인 11번가가 27일 개인 커리어 전환과 회사의 성장을 위한 차원에서 특별지원 프로그램을 시행한다고 밝혔다. 사실상 희망퇴직이다. 최근 큐텐(Qoo10)과의 매각 협상이 결렬된 가운데, 생존을 위해 '수익성 개선' 카드를 꺼내든 것으로 풀이된다.

올해 중국 해외직구 6,775만 건 발생, 10개월 만에 작년 규모 넘어섰다
초저가와 무료 배송·반품으로 시장 장악하는 中 업체, 국내 브랜드까지 입점
中 직구 '짝퉁' 리스크 노렸다, 자체 직구 대행·품질 보증 내세우는 국내 이커머스
사진=알리익스프레스

중국 '직구' 시장이 빠르게 성장하고 있다. 초저가, 무료 배송·반품 등의 혜택을 앞세운 중국 이커머스 업체들이 줄줄이 소비자 수요를 흡수하면서다. 위기감을 느낀 국내 이커머스 업체는 중국 직구의 '빈틈'을 노리고 있다.

이벤트 기획은 배민이, 상세 설정은 가맹점이?
할인관 노출 노린 식당 업주들 ‘꼼수’ 난무
‘질보다 양’ 이벤트에 소비자 불만 폭주

음식 배달 서비스 배달의민족(배민)이 일부 지역에 '정률할인관'을 운영하는 과정에서 실제 할인을 제공하지 않는 업체들도 해당 카테고리에 배정해 이용자들의 불만을 사고 있다. 배민 측은 시스템 도입에 실수가 있었음을 인정하며 빠른 시일 내 개선하겠다는 입장을 밝혔지만, ‘배달앱들의 과도한 경쟁이 결국 소비자들의 불편으로 이어졌다’는 지적을 피할 수 없게 됐다.

오프라인 진출 속도 내는 무신사, "무신사 스탠다드 30호점까지 늘릴 것"
이커머스 비중 30%대에 '안착', "성장 동력 멈췄다는 방증"
대안 준비하는 이커머스 기업들, 무신사의 선택은 '고객층 확보'
16일 무신사 홍대 오프라인 플래그십 스토어 오픈을 기념해 한문일 무신사 대표이사가 무신사의 오프라인 비즈니스 전략을 발표하고 있다/사진=무신사

온라인 패션 플랫폼 1위 무신사가 서울 중심가에 매장을 내는 등 오프라인 진출에 속도를 내고 있다. 특히 자체 브랜드(PB)인 무신사 스탠다드 오프라인 매장을 내년 30호점까지 늘리겠다는 계획이다.

세계 최대 이커머스 업체인 아마존과 세계 최대 소셜미디어 기업 메타가 파트너십을 체결한다. 커머스 업계에서 시장 점유율 확보 및 시장 확대를 위해 커뮤니티를 활성화하는 것과 일맥상통하는 행보로 보인다.
국내 최초의 오프라인 가전 양판점 전자랜드가 유료 회원제 '랜드500'(LAND500) 서비스 확대에 팔을 걷었다. 전국에 위치한 주요 오프라인 매장에서 매주 특정 품목을 선정해 온라인 최저가보다 낮은 가격에 판매하는 것이 핵심 내용이다. 전자랜드는 이를 통해 쿠팡을 비롯한 대형 이커머스로 발길을 돌린 소비자들을 자사의 오프라인 매장으로 되돌리겠다는 방침이다.
쿠팡의 성공 이후 당연한듯 새벽배송 서비스를 제공하던 국내 이커머스 기업들이 하나 둘 서비스를 종료하기 시작했다. 주간보다 단가가 높은 야간 배송인력 인건비, 직매입·직배송을 위한 자체 물류창고 건립 등 막대한 지출로 인해 적자 규모가 커졌기 때문이다.
빠르게 저물어 가는 홈쇼핑의 자리를 인스타그램 쇼핑과 틱톡 등 SNS 숏폼 채널이 대체하고 있다. 온라인 구매 채널의 패러다임이 바뀌고 있는 것이다. 이제 기업체들은 마케팅 전략 수립 시 유통 채널을 홈쇼핑에 주력하는 대신, 최신 트렌드에 맞춰 유통 채널을 다각화하는 전략이 요구된다.
틱톡이 미국에서 이커머스 서비스인 '틱톡샵(TikTok Shop)'을 공식 론칭했다. 2021년 애플의 앱 추적 투명성(ATT) 정책 이후 인스타그램을 비롯한 SNS 플랫폼들이 속속 이커머스 시장으로 뛰어드는 가운데, 틱톡의 활주는 어디까지 이어질까.
1일 서울중앙지법 민사합의22부(재판장 최욱진)는 머지포인트 이용자 A씨 등 148명이 운영사 머지플러스를 상대로 낸 2억원 규모의 손해배상 청구 소송에서 원고 일부승소 판결을 내렸다. 업계에서는 머지포인트의 사례가 '군중심리'의 위험성을 입증했다는 지적이 나온다.
민간 배달앱의 높은 수수료를 문제 삼으며 각 지방자치단체가 앞다퉈 내놓던 공공배달앱이 점차 사라지고 있다. 중소 자영업자의 부담을 줄여주겠다던 기존의 정책 목표는 달성하지 못한 채 혈세 낭비만 한 꼴이 됐다는 비판이 쏟아진다. 업계에선 소비자의 편익이 아닌 자영업자의 편익에만 중심을 두고 설계된 공공배달앱이 성공하기란 애초부터 어려웠다는 목소리가 나온다. 민간 앱에 비해 현저히 낮은 수수료를 적용해도 정작 소비자들이 공공배달앱을 외면하면서 자영업자들도 이 앱들을 사용할 이유가 없어졌다는 것이다.
카카오모빌리티와 티맵모빌리티가 인수한 화물운송중개 플랫폼들이 연속 적자를 면치 못하고 있다. 이 가운데 카카오 모빌리티는 화물기사의 운송 업무 효율화를 돕는 '카카오T 트럭커' 서비스 출시를 예고하며 수익성 개선에 나섰지만, 업계에선 부정적인 관측이 나오고 있다. 일각에선 대기업 플랫폼들이 화물운송 업계에서 살아남기 위해선 물류업계 시장의 벨류체인을 직접 다루는 등 보다 장기적인 관점에서 접근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크라우드펀딩 플랫폼 와디즈가 올해 상반기에만 7,000개가 넘는 프로젝트를 진행한 것으로 알려졌다. 우수한 기술력을 보유한 스타트업 및 소상공인의 크라우드펀딩을 진행하며 불황 속에서도 성장을 거듭해 온 와디즈는 최근 패션, 식품 브랜드의 새로운 유통 채널로 주목받고 있다.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 등지에서 알음알음 인기를 끌던 '공동구매'가 유통 시장의 주목을 받고 있다. 국내 주요 대형마트가 줄줄이 B2C(Business to Customer) 공동구매 서비스를 출시하며 유통가 내 '최저가 경쟁'에 불을 붙인 것이다.
GS리테일과 BGF리테일의 주가는 연초 이후 각각 24.3%, 22.1% 하락했다. 코로나19 팬데믹과 고물가 시기에 큰 폭의 성장세를 보였던 국내 편의점 업계의 거품이 빠지고 있다는 진단이 나온다.
코로나19 이후 온라인이 주요 소비 채널로 부상하면서 홈쇼핑 업체들은 TV에서 모바일로 옮겨야 하는 과제를 안고 있다. 동 시기 유통업계는 가상인간 모델에 꾸준한 관심을 보여왔다. 롯데홈쇼핑은 국내 홈쇼핑 업계에서 가상 모델을 최초로 도입한 선두 주자다.
그동안 미국과 유럽, 인도 등에서 제재 대상에 오른 중국 숏폼(짧은 동영상) 공유 플랫폼 틱톡이 동남아시아 시장으로 눈을 돌렸다. 틱톡 모회사인 바이트댄스는 인도네시아, 싱가포르 등 동남아시아 지역에 수십억 달러 규모의 투자 계획을 발표했다.
매일유업이 치즈와 곡물음료 등 제품의 가격을 약 19% 인상하기로 했다. 최근 사룟값 인상 등으로 낙농가의 생산 부담이 늘어나면서 우유 원유(原乳) 가격 인상이 불가피해지자, 유업체들도 가격을 올리게 된 것으로 보인다. 일각에선 이미 지난해 11월 원유 기본 가격을 인상 한 차례 있었다는 지적과 함께 올해 한 차례 더 원유 가격 인상을 예고한 국내 낙농업계에 대한 비판이 제기된다.
배달 대행 플랫폼 ‘부릉(VROONG)’운영사인 메쉬코리아가 사명을 변경하고 공동 대표 체제로 전환한다. 부릉은 메쉬코리아가 지난 10년 간 지역 상점과 기업에 제공한 프리미엄 실시간 배송 서비스 브랜드로, 메쉬코리아는 인지도가 높은 부릉을 사명으로 정해 이륜차 배송 시장에서의 영향력을 넓혀나간다는 계획이다.
공정거래위원회가 싱가포르 이커머스 기업 큐텐(Qoo10)의 인터파크커머스 인수 건과 관련한 기업결합 심사에 착수했다. 큐텐이 지난 3월 말 인터파크커머스(쇼핑 사업부문)의 주식 전량을 매입한 지 한 달여만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