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 플랫폼 집토스 임대차 거래 분석
전세 사기 위험 부담 등으로 월세 선택
전세 종말 코앞, 월세 시대 도래
올해 단독·다가구 주택의 전세 거래 비중이 급감했다. 전셋값 상승과 전세사기 등으로 전세 수요가 감소하고, 안정적인 수익을 원하는 임대인과 단기 거주를 선호하는 임차인이 늘면서 월세로의 전환이 가속화되고 있는 것으로 풀이된다.
2020년 탈퇴 이후 가장 큰 관계 재편
브렉시트로 국경 생겨나 '수출 21%감소'
英 재무장관 "15년간 168조 경제적 효과"
19일(현지시간) 키어 스타머 영국 총리가 런던의 랭커스터 하우스에서 열린 영국-EU 정상 회담 후 가진 기자회견에서 답변하고 있다/사진=키어 스타머 총리 X
영국과 유럽연합(EU)이 브렉시트(Brex
외화 예금 폭증에 美 국채 편입
예금 비중 47%→11%로 축소
9월 보호한도 상향 앞둔 '선제 대응'
정부가 예금자 보호를 위한 예금보험기금을 원화와 함께 달러로도 쌓는 방안을 추진한다. 폭증하는 외화예금 수요에 대응하기 위한 조치로, 주로 은행 예금에 묶어놓은 기금을 채권 투자로 바꾸는 등 운용 방식을 대폭 손질하고 나섰다. 정부가 기금 운용 방식 개편에 나선 것은 예금보험공사가 설립된 이후 30년 만에 처음이다.
자기자본, 2년 만에 2조4,100억→610억
10년간 6차례에 걸쳐 매각 시도 모두 실패
공적 자금 쏟아부어도 밑 빠진 독에 물 붓기
KDB생명 사옥/사진=KDB생명
KDB생명보험이 지난해 말 기준 사실상 ‘완전 자본잠식’ 상태에 빠진 것으로 드러났다. KDB생명은 지난 10년간 매각을 추진했지만 실패해 산업은행 자회사로 편입됐다.
미국 관세 악몽에 주가 급락
올해 대규모 수익 감소 예상
현지 생산 확대로 타격 최소화 노력
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가 던진 ‘관세 폭탄’에 일본 자동차업계가 휘청이고 있다. 일본 주요 완성차 업체들은 실적 전망치를 대폭 낮추는 한편 구조조정에도 칼을 빼들었다. 불확실한 경제 상황 속에서 본격적인 ‘생존 모드’에 돌입한 것이다.
OECD 노인빈곤율 1위 한국
비자발적 자영업 진입 경계
"임금개편 담긴 계속 고용 필요"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가 15일 오후 세종시 반곡동 한국개발연구원(KDI)에서 열린 '초고령사회의 빈곤과 노동:정책 방향을 묻다' 주제로 열린 KDI-한국은행 공동 심포지엄에 참석, 환영사를 하고 있다/사진=한국은행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가 정치권의 ‘법정 정년
사우디 벤처펀드 출자 잠정 중단
올해 초 VC 접촉 5개월만
국제유가 하락 및 실적 악화 영향
사진=아람코
한국 유망 스타트업으로의 간접 투자를 예정했던 사우디아라비아 국영 석유기업 아람코(ARAMCO)가 벤처펀드 출자를 잠정 중단했다. 저유가로 인한 실적 부진 속 사우디 정부의 재정 압박이 심해지면서다.
미·중 관세 인하 전격 합의로
미·일 협상에 미칠 파장 주목
일본 ‘후순위 되나’ 우려 나와
지난 16일 미국 워싱턴 DC 백악관 집무실을 찾은 아카자와 료세이(오른쪽) 일본 경제재생상이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마주 앉아 선물 받은 빨간색 ‘마가(MAGA·미국을 다시 위대하게)’ 모자를 착용해보고 있다/사진=백악관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사우디 ‘킹 살만 자동차 산업단지’서 착공식
사우디 국부펀드 합작, 2026년 4분기 가동 목표
연 5만 대 생산 체계 구축, ‘300만 대 시장’ 공략 속도
14일(현지시간) 사우디아라비아 킹 살만 자동차 산업단지에 위치한 현대차 사우디 생산법인 부지에서 현대차와 사우디 정부, 국부펀드 관계자들이 착공식 후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관세 휴전에 中 공장 다시 돌리는 美 업체들
선적 재개, 중국산 재고 확보 총력
90일은 촉박, "수입 급증은 없을 것" 관측도
미·중 양국이 서로에게 부과했던 세 자릿수 관세를 대폭 낮추기로 하면서 양국 간 교역에 숨통이 트일 것으로 보인다. 일부 미국 업체들은 관세 전쟁 '휴전' 소식에 서둘러 중국 공장에서 생산을 재개하고 제품 수송에 나서는 등 발 빠르게 움직이고 있다.
BYD 아토3, 지난달 국내서 543대 판매
일본서는 테슬라 40% 수준까지 성장
헝가리 공장, EU 제재 ‘시험대’
지난 1월 16일 인천 중구 상상플랫폼에서 열린 '중국 BYD 승용 브랜드 런칭 미디어 쇼케이스'에서 전기차 아토3 등 차량이 공개되고 있다/사진=BYD
중국 전기차 제조사 BYD가 한국과 일본 등 동아시아 시장에서 보폭을 넓히고 있다
당초 “휴전 먼저” 고수했지만
트럼프 만남 압박에 입장 선회
15일 튀르키예서 협상 재개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이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과의 평화 회담에 임하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이는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즉각 회담 요구에 따른 것이다. 푸틴 대통령이 우크라이나에 직접 대화를 전격 제안하고 우크라이나도 이에 일단 응하기로 하면서 교착 상태이던 평화 협상 진전 여부에 관심이 쏠린다.
토마스 툴·마크 월터 개인 재산 53조원 모은 ‘TWG’
xAI, TWG·팔란티어 손잡고 금융 데이터 AI 도구 출시
슈퍼컴퓨터 활용해 금융 혁신 박차
영화 제작사 레전더리 픽처스 전 대표 토마스 툴(Thomas Tull)과 LA다저스 구단주이자 구겐하임 파트너스 최고경영자(CEO)인 마크 월터(Mark Walter) 두 부호가 인공지능(AI)을 앞세운 대규모 투자에 나섰다.
머스크 “함께 일해 영광” 사임 인사
테슬라 이사회, 머스크에 "회사 챙기라" 요구
머스크 “이사회 후임 CEO 물색” 보도 부인
일론 머스크 테슬라 CEO/사진=일론 머스크 X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1호 친구(First buddy)’로 불리며 미 연방정부 구조조정을 주도해 온 일론 머스크 미 정부효율부(DOGE) 수
건설사 미수금 1년 새 4조 증가
매출 채권 73% 지방에 집중
자금줄 끊겨 줄도산 위기
건설 경기 침체의 골이 깊어지는 가운데 지난해 국내 상위 20개 건설사의 공사 미수금이 15조원을 넘어선 것으로 나타났다. 불과 2년 새 4조원이나 늘어난 규모다. 지방 아파트와 지식산업센터 등 상업용 부동산을 중심으로 미분양이 늘어나면서 자금을 회수하지 못한 결과로 풀이된다.
개보위 전방위 조사, 고강도 징계 예고
"LG유플보단 과징금 상당히 많을 것"
SKT 과실 확인 땐 재무적 타격 불가피
유영상 SK텔레콤 CEO가 25일 진행된 고객보호 조치 강화 설명회에서 사과 인사를 하고 있다/사진=SK텔레콤
해킹 사태 여파로 SK텔레콤 가입자 수가 이틀 만에 7만 명 넘게 빠진 것으로 나타났다.
업황 부진에 사업 재편 속도
LG그룹, 알짜여도 비주력이면 매각
선제적 사업 재편 및 현금 확보 목적
LG화학 청주공장 전경/사진=LG화학
LG화학이 RO멤브레인(역삼투막) 필터를 생산하는 워터솔루션 사업 부문을 매각한다. 일본 도레이케미컬에 이어 세계 2위에 올라 있는 사업으로 매각가가 1조원을 넘는다.
'슈퍼 엔저' 종료, 일학개미 日증시 대탈출
엔화예금도 1조 엔 붕괴, 일본 자금 썰물
엔 캐리 청산 시 주가폭락 가능성은 낮아
‘슈퍼 엔저’가 막을 내리자 일학개미(일본 증시에 투자하는 개인)가 앞다퉈 일본 증시에서 자금을 빼내고 있다. 예상보다 길어진 엔저 현상으로 손실을 보던 투자자들이 원·엔 환율이 1,000원대를 회복하자마자 매도에 나선 것으로 풀이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