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하이브 주가, 방 의장 비밀 계약 논란에 '휘청' 방 의장, PEF와 차익 공유 계약 체결해 4,000억원 벌었다 사생활 리스크·뉴진스 전속 계약 해지 등 악재 누적돼

하이브 투자자들의 한숨이 깊어지고 있다. 하이브 최대주주인 방시혁 하이브 의장과 사모펀드(PEF) 운용사가 상장 과정에서 맺었던 4,000억원 이면계약, 기획펀드 의혹이 수면 위로 드러나며 시장 여론이 악화한 탓이다.








한미사이언스 최대주주 연합, 한미사이언스 밸류업 공시에 의문 제기
재원 확보 위해 유상증자 단행할 경우 주주 타격 불가피
"투자자 모으기 어렵지 않다" 한미사이언스, 외부 자금 수혈 시사

한미사이언스가 오는 2028년 8,150억원을 투자해 매출 2조원 이상을 도출하겠다는 계획을 발표한 가운데, 최대주주 3인 연합(신동국 한양정밀 회장·송영숙 한미약품그룹 회장·임주현 한미사이언스 부회장) 측이 자금 확보 방법에 대한 의문을 제기했다. 이에 한미사이언스는 한미사이언스에 관심을 보이는 투자자가 많다며 외부 자금 수혈을 통해 투자 재원을 마련하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롯데호텔앤리조트, 장기 근속자 중심으로 희망퇴직 접수
세븐일레븐·롯데온 등 유통 부문도 줄줄이 희망퇴직 단행
'신성장 동력' 롯데헬스케어, PB 사업 철수

호텔롯데의 롯데호텔앤리조트 부문이 희망퇴직을 시행한다. 지난 2020년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4년 만이다. 롯데그룹이 비상경영체제에 돌입하며 체질 개선에 속도를 내는 가운데, 계열사 곳곳에 구조조정 '칼바람'이 몰아치는 양상이다.

롯데온·롯데면세점·세븐일레븐, 연달아 희망퇴직 단행
롯데호텔앤리조트도 4년 만에 명예퇴직 검토 중
석유화학 부문 계열사 롯데케미칼, 기초화학 사업 '덩치 줄이기'

롯데그룹에 '구조조정 칼바람'이 불고 있다. 업황 부진으로 인해 신음하는 유통 계열사들이 줄줄이 희망퇴직을 단행하는 가운데, 롯데호텔앤리조트·롯데케미칼 등 여타 부문 계열사 역시 체질 개선에 속도를 내는 양상이다.

토스, 내년 증시 입성 목표로 IPO 일정 잡는다
동종업계 기업 케이뱅크, 수요예측 부진으로 상장 연기
계열사 만성 적자·카뱅 전례에 난색 표하는 시장

토스가 내년 중 IPO(기업공개) 일정을 마무리한다. 증권사들의 높은 기업가치 평가, 실적 성장세 등을 발판 삼아 상장 움직임을 본격화하겠다는 계획이다. 다만 시장에서는 △케이뱅크의 상장 철회 △계열사들의 대규모 적자 △카카오뱅크의 실패 전례 등 각종 악재의 영향으로 토스의 IPO가 순항하지 못할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소노인터내셔널, 에어프레미아 2대 주주 자리 오른다
단순 사업 시너지 강화인가, 경영권 노린 행보인가
원매자 찾는 에어프레미아 최대 주주 AP홀딩스, 제주항공 등 참전 가능성

대명소노그룹이 에어프레미아의 실질적 2대 주주로 올라섰다. 사모펀드(PEF) 운용사 JC파트너스의 에어프레미아 지분을 대거 인수하며 굳건한 항공 사업 진출 의지를 드러낸 것이다. 업계에서는 차후 대명소노그룹이 에어프레미아 최대 주주 AP홀딩스의 지분 매수에 나서며 경영권 확보 움직임을 본격화할 수 있다는 전망이 제기된다.

스테이블 코인 찾는 무역 시장, 외환 거래 편의성 부각
"테라도 스테이블 코인이었다" 시장 불신은 여전
한국은행·기획재정부, 스테이블 코인 대응에 속도

암호화폐 '스테이블 코인(stable coin)'이 실물 경제에 미치는 영향이 점차 커지고 있다. 외환 거래가 잦은 무역 시장을 중심으로 스테이블 코인 거래가 활성화한 결과다. 다만 일각에서는 스테이블 코인의 성장세가 △지난 2022년 테라-루나 폭락 사태 이후 본격화한 시장의 불신 △각국 정부·중앙은행의 견제 움직임 등으로 인해 한계에 부딪힐 수 있다는 분석이 제기된다.

SK컴즈 처분 나서는 SK그룹, 매각 주관사 선정 착수
지난 2015년 IHQ와의 매각 거래 한 차례 결렬돼
자진 상장폐지 등 경영 효율화 노력 이어왔지만 적자 여전

SK그룹이 포털 사이트 '네이트'와 메신저 서비스 '네이트온' 등을 운영하는 계열사 SK커뮤니케이션즈(이하 SK컴즈)를 처분한다. 지난 2015년 엔터테인먼트 기업 IHQ와의 매각 거래가 무산된 이후 9년 만에 매각 재추진에 나선 것이다. 업계에서는 SK그룹이 리밸런싱(구조조정)을 위해 SK컴즈 매각 움직임을 본격화했다는 평이 나온다.

LG디스플레이, 2조원에 마지막 LCD 패널 생산 공장 처분
中 기업들이 지배하는 LCD 시장, 국내 기업들 줄줄이 사업 철수

하이브-두나무, 교환 지분 양도 제한 기간 11월에 종료
파트너십 체결 이후 3년 동안 양 사 주가 나란히 급락, 손실 막심해
"NFT 거품 빠졌다" 양사 합작 자회사, 적자 기업으로 전락

두나무와 하이브가 3년 전 지분 맞교환을 통해 구축했던 '동맹 관계'가 흔들리고 있다. 양 사의 주가 부진, NFT 합작사의 실적 악화 등으로 인한 손실이 꾸준히 확대된 결과다.

AK그룹 투자 기업들 부진 지속
AK홀딩스에도 악영향, 순익 280억 불과
AK플라자도 4년째 적자로 그룹 부담 가중

AK그룹이 사업을 다각화하기 위해 투자했던 기업들이 부진한 실적을 이어가면서 지주사인 AK홀딩스에까지 악영향을 미치고 있다. 특히 일부 기업은 인수 당시 투자했던 금액보다 가치가 크게 떨어지면서 지분투자에 실패한 것 아니냐는 지적이 제기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