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G에너지솔루션 이후 기업공개(IPO) 시장 '최대어'로 꼽히던 LG CNS가 증시 입성 당일 호된 신고식을 치렀다. 높은 구주매출 비중과 물량 부담으로 인해 상장 첫날 주가가 공모가를 한참 밑도는 수준까지 미끄러진 것이다. 부진한 주가 흐름이 지속되는 가운데, 시장에서는 향후 LG CNS의 인수합병(M&A) 행보, 내부거래 비중 변화 등이 LG CNS 주가의 향방을 좌우할 것이라는 전망에 힘이 실린다.

ARM이 글로벌 반도체 시장의 판도를 뒤흔드는 '게임 체인저'로 급부상하고 있다. 반도체 설계 IP(지식재산)를 제공하는 수동적 역할에서 벗어나 직접 칩을 설계하겠다는 의지를 내비치면서다. 시장에서는 향후 ARM이 전략적인 인수합병(M&A)과 일본 정부의 지원사격 등을 통해 글로벌 시장에서 경쟁력을 확보해 나갈 것이라는 전망이 제기된다.

기업공개(IPO)를 준비 중인 컬리의 기업가치가 과거 대비 10분의 1 수준까지 미끄러진 것으로 확인됐다. 매출 성장세가 둔화하고 영업이익이 급감하며 시장 기대가 꺾인 것으로 풀이된다. 이에 업계에서는 컬리가 향후 비우호적 환경이 조성된 국내 증시를 과감히 포기, 스팩(기업인수목적회사, SPAC)을 통해 미국 증시에서 우회상장을 시도할 수 있다는 전망이 나오고 있다.

미국과 중국의 관세 전쟁이 본격화했다. 미국이 중국산 제품에 10% 추가 관세를 부과하기 시작한 가운데, 중국이 보복 관세 부과와 미국 기업에 대한 반독점 조사 등을 단행하며 '맞불'을 놓은 결과다. 다만 일각에서는 양국이 대화 의지를 분명히 피력하고 있는 만큼, 향후 극적 합의가 이뤄질 가능성을 배제할 수는 없다는 분석도 나온다.

정부의 2024 회계연도 세입·세출 마감이 목전까지 다가온 가운데, 전년도 세수 결손액이 정부의 공식적 전망치를 웃돌 것이라는 전망이 제기됐다. 경기 침체로 인해 내수가 위축되고 법인세 수입이 감소하며 결손 규모가 확대된 결과다. 정부는 각종 기금과 지방 재원을 동원해 지난해 세수 부족분을 충당하겠다는 방침이다.

카카오가 챗GPT 개발사인 오픈AI와 인공지능(AI) 분야 협력에 나선다. AI 시장 후발 주자로 꼽히는 카카오가 외부 협력을 등에 업고 경쟁력 확보에 속도를 내기 시작한 것이다. 양 사 협력 소식을 접한 시장은 ‘소버린(sovereign, 주권이 있는) AI’를 앞세우는 네이버와 정반대 전략을 채택한 카카오가 국내 AI 시장 주도권을 거머쥘 수 있을지 이목을 집중하고 있다.

챗GPT 개발사 오픈AI의 샘 올트먼 최고경영자(CEO)가 오픈소스에 대한 전향적인 의견을 피력했다. 중국의 인공지능(AI) 스타트업 '딥시크(DeepSeek)'가 시장에 불러온 파문을 고려, 파격적인 경영 전략 전환을 시사한 것으로 풀이된다. 이 밖에도 오픈AI는 경량화 AI 모델을 무료 배포하고, 대규모 투자 유치에 착수하는 등 시장 내 입지를 굳히는 데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자국 우선주의' 행보로 인해 세계 곳곳에서 잡음이 발생하고 있다. 그는 행정명령을 통해 멕시코만(Gulf of Mexico)의 공식 명칭을 '미국만(Gulf of America)'으로 변경했으며, 향후 파나마 운하·그린란드의 통제권 확보를 위해 군사 및 경제적 강압을 마다하지 않겠다는 입장을 밝힌 상태다. 이 같은 미국의 영토 확장 압박을 직면한 국가들은 즉각 반발 의사를 표명하고 나섰다.

도널드 트럼프 2기 행정부 출범 이후 미국의 기술 분야 투자 열기가 한층 더 뜨거워질 것이라는 전망이 제기됐다. 미국 정부 주도 하에 인공지능(AI)을 비롯한 첨단 기술 분야 투자가 눈에 띄게 확대될 것이라는 분석이다. 시장에서는 미국이 자국 투자를 확대함과 동시에 첨단 기술 관련 대중국 제재를 강화하고 있는 만큼, 향후 글로벌 첨단 기술 시장이 양분될 수 있다는 분석도 나온다.

백악관이 인플레이션감축법(IRA)의 전면 폐지 가능성을 일축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취임 직후 반(反)전기차 행보를 본격화하며 IRA 폐지에 대한 시장 우려가 가중된 가운데, 백악관이 직접 여론 진화에 착수한 것이다. IRA 폐지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충격을 우려하던 관련 업계는 안도의 한숨을 내쉬고 있다.

도널드 트럼프 2기 행정부의 ‘정부효율부’(DOGE) 공동 수장으로 내정됐던 인도계 사업가 출신 비벡 라마스와미가 돌연 사퇴한 가운데, 현지 매체가 라와스라미가 함께 공동 수장을 맡은 일론 머스크 테슬라 최고경영자(CEO)와의 갈등으로 인해 자리에서 물러났다는 분석을 내놨다. 트럼프 2기 행정부 내에서 머스크의 영향력이 강화되며 곳곳에서 '내분'이 발생하는 양상이다.

구글이 검색 결과와 유튜브 동영상에 팩트체킹 기능을 추가하지 않겠다는 입장을 유럽연합(EU)에 전달했다. 앞서 페이스북, 인스타그램의 모기업인 메타가 '팩트체커' 정책 폐지를 선언한 이후 약 2주 만이다. 구글은 EU 측이 요구한 팩트체킹 도입이 자사 서비스에 적합하지 않다고 판단한 것으로 알려졌다.

아모레퍼시픽이 11년 만에 뷰티 디바이스 신제품을 출시하며 뷰티테크 시장 공략에 나선다. 소비자들의 기기를 활용한 피부 관리 수요가 급증하며 관련 시장이 급성장할 것으로 전망되는 가운데, 여타 K뷰티 기업들의 행보에 발맞춰 시장에 출사표를 던지는 모습이다. 시장은 아모레퍼시픽이 뷰티 디바이스 시장의 치열한 생존 경쟁을 뚫고 신성장 동력을 갖출 수 있을지 주목하고 있다.

중국이 자국은 무역 흑자를 추구하지 않으며, 향후 균형 있는 무역을 위해 수입을 확대할 의향이 있다는 입장을 밝혔다. 지난 수년간 수출 및 무역 흑자 확대에 총력을 기울이던 중국이 '노선 전환'을 선언한 것이다. 이에 시장에서는 중국이 미국의 대중국 수입 축소 및 보호무역주의 강화 기조를 고려해 자세를 낮췄다는 분석에 힘이 실린다.

마이크로소프트(MS)가 개인·가정용으로 판매하는 소프트웨어 ‘MS 365’에 인공지능(AI) 기능을 탑재하면서 12년 만에 가격을 대폭 인상한다. 최근 수년간 AI 부문 투자가 급증하며 관련 비용 부담이 확대된 가운데, 지지부진한 수익성을 개선하기 위해 소비자 반발을 무릅쓰고 '강수'를 둔 것으로 풀이된다.

롯데카드가 인수 후보군을 대상으로 티저레터(투자안내서) 발송 작업을 시작하며 새 주인 찾기에 나섰다. 지난 2022년 한 차례 매각에 실패한 이후 재차 인수·합병(M&A) 시장에 도전장을 던진 것이다. 다만 시장에서는 롯데카드의 매각이 순항하기는 어려울 것이라는 전망에 힘이 실린다. 금융지주들의 보수적 태도, 높은 매각가, 불안정한 실적과 재무 건전성 등이 향후 '장애물'로 작용할 것이라는 평가다.

미국이 중국의 조선업 지배력을 견제하기 위한 제재에 착수한다. 미국 무역대표부(USTR)는 중국이 해양·물류·조선 분야에서 불공정 무역 행위를 지속해 왔으며, 향후 무역법 301조에 따라 대응하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다만 시장에서는 중국이 이미 전 세계 조선 시장에서 압도적인 경쟁력을 확보한 만큼, 미국의 제재가 중국 조선업계에 미칠 영향은 사실상 제한적일 것이라는 분석이 나온다.

IT 서비스 기업 LG CNS가 공모주 시장의 '최대어'로 떠올랐다. 최근 진행된 기관투자자 대상 수요예측에서 100대 1이 넘는 경쟁률을 기록하며 흥행에 성공한 결과다. 다만 시장에서는 무작정 기업공개(IPO) 이후 LG CNS의 주가 흐름을 낙관할 수는 없다는 평이 나오고 있다. LG CNS의 부실한 밸류업 로드맵, 높은 그룹 계열사 매출 의존도 등이 향후 주가 상승을 막는 '족쇄'가 될 수 있다는 분석이다.

중국 정부가 미국산 성숙 공정 반도체(범용 레거시 반도체) 제품에 대한 반덤핑·반보조금 조사에 나선다. 미국이 중국 현지에서 성숙 공정 반도체 제품을 저가로 판매하고, 자국 반도체 제조 업체에 불공정 보조금을 지급했다는 이유에서다. 시장에서는 중국이 이번 조사를 통해 수년간 이어져 온 미국의 대중국 성숙 공정 반도체 제재에 '맞불'을 놨다는 평이 나온다.

이마트가 병행수입 제품 관련 검수 체계를 강화한다. 향후 이마트에서 병행수입 상품을 판매하고자 하는 협력사에 별도의 진품 인증을 요구하겠다는 계획이다. 최근 불거진 수차례의 가품 논란으로 소비자 신뢰 훼손 위기가 본격화한 가운데, 납품 업체의 품질 검증 의무를 강화해 유사 사태 재발을 방지하겠다는 구상으로 풀이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