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main content
김서지
[email protected]
매일같이 달라지는 세상과 발을 맞춰 걸어가고 있습니다. 익숙함보다는 새로움에, 관성보다는 호기심에 마음을 쏟는 기자가 되겠습니다.
EU 집행위원회, 인앱결제 강제한 애플에 5억 유로 '철퇴'
미국·유럽 중심으로 거세지는 '앱 마켓' 반독점 압박
국내 규제는 아직도 제자리걸음, 애플·구글은 "과징금 못 낸다" 
apple_appstore_20240219
유럽연합(EU)이 애플에 수천억원대의 과징금 부과를 추진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인앱결제(앱 자체에서 유료 콘텐츠를 결제하는 행위) 수수료를 중심으로 불거진 애플의 유럽 시장 독점 논란이 사실상 종지부를 찍은 것이다. 18일(현지시간) 파이낸셜타임스(FT), 블룸버그통신 등 외신은 EU 집행위원회 반독점 규제 당국은 다음 달 초 애플에 약 5억 유로(약 7,200억원)에 달하는 과징금 부과를 발표할 예정이라고 보도했다.
'출산장려금 분할 과세 혜택' 기대 확산, 기획재정부 "확정은 아냐"
분할 과세 시 출산장려금 '근로소득'으로 인정, 기업도 수급자도 호재
현금보다 '육아 환경'이 먼저다? 저출산 시대, 기업이 할 수 있는 일은
low_birthrate_money_20240219
정부가 기업 차원에서 지급하는 출산장려금에 분할과세 혜택을 적용할 것이라는 전망이 제기됐다. 분할과세를 허용해 출산장려금 수급자의 세 부담을 줄이는 한편, 출산장려금을 증여가 아닌 근로소득으로 간주해 기업의 법인세 경감 효과를 제고하겠다는 구상이다.
삼성전자와 LG전자가 러시아 내 가전 생산·판매를 줄줄이 중단한 가운데, 러시아 시장 내 국내 기업의 빈자리를 중국산 제품이 채운 것으로 확인됐다.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이후 강화한 서방국의 압박이 오히려 러시아·중국 산업계의 협력을 공고히 하는 '역효과'를 낸 것이다.
전국 아파트 매매가가 하락세를 이어가고 있다. 정부의 부동산 시장 부양 노력에도 불구, 고금리 기조 및 주택 경기 불확실성의 영향으로 매매 수요가 얼어붙은 것이다. 특히 팬데믹 당시 청년층의 '영끌' 수요가 몰렸던 노원구·도봉구·강북구를 중심으로 침체 기조가 본격화하는 양상이다.
북한 해킹 조직 김수키, 국내 보안 프로그램 가장해 악성코드 유포
인포스틸러 악성코드 활용, 정부 기관 공인인증서까지 탈취했나
교묘한 해킹 수법으로 정보 유출 피해 속출, 보안 대책 필요한 때
north_korea_hacking_20240216
북한의 해커 집단 '김수키(Kimsuky)'가 국산 보안 프로그램으로 위장한 악성코드를 유포한 정황이 확인됐다. 15일 사이버인텔리전스 전문기업 S2W는 김수키가 고(Go)언어 기반 정보 탈취형 악성코드 '인포스틸러(Info Stealer)'를 국내 소프트웨어 기업 SGA솔루션즈의 보안 프로그램 설치 파일로 위장·유포했다고 전했다. 국내 공공기관 내 정보 탈취를 목적으로 악성코드를 유포했을 가능성이 높다는 분석이다.
10대 SNS 사용은 '공중보건 위험'이다? 뉴욕시의 반(反)SNS 움직임
"공중보건 위협 비용 회수하겠다" SNS 플랫폼 5개사 상대로 소송 제기 
청소년 SNS 중독이 정신질환 낳는다? 최고 보건당국 PHSCC도 '경고'
tiktok_ban_20240215
미국 뉴욕시가 대형 소셜미디어(SNS) 플랫폼을 상대로 소송을 제기했다. SNS 플랫폼이 수익 확대를 위해 의도적으로 청소년의 정신건강에 위해를 가했다는 것이다.
마크 저커버그 메타 CEO, 인스타그램에 '비전 프로 체험기' 게재
"비전 프로보다 우리가 낫다" 메타 퀘스트에 대한 자신감 내비쳐
비전 프로 출시 이후 함께 주목받는 퀘스트, 시장 경쟁 시작됐다
apple_meta_vr_20240215
마크 저커버그 메타 최고경영자(CEO)가 애플의 MR(혼합현실) 기기 '비전 프로(Vision Pro)'에 대한 직접적인 견해를 밝혔다. 14일(현지 시각) 자신의 인스타그램 계정에 비전 프로와 메타의 VR(가상현실) 기기인 '메타 퀘스트3(Meta Quest 3, 이하 퀘스트3)'를 비교하는 영상을 게재, 메타의 퀘스트3이 한층 우월한 제품이라는 평가를 내놓은 것이다.
지난해 줄줄이 호실적을 기록한 국내 일부 LCC가 본격적인 수익성 개선에 착수했다. 위탁수하물 수수료를 신규 도입·인상하며 추가 수입원을 마련한 것이다. 업계에서는 코로나19 팬데믹 전후 업황 악화로 신음하던 LCC 업계가 새로운 '터닝 포인트'를 맞이했다는 분석이 흘러나온다.
'미국 불법 입국 시도' 중국인 불법 이민자 3만7,000명까지 폭증 
'제로 코로나' 이후 경기 침체 기조 본격화, 중산층 자리 잃었다
부동산 침체로 국가도 가계도 휘청여, 중국에 드리운 먹구름
china_escape_20240214
미국으로 불법 입국을 시도하다 구금된 중국인 이민자 수가 1년 사이 10배가량 폭증한 것으로 확인됐다. 13일 일본 니혼게이자이신문은 미국 세관국보호국(CBP) 데이터를 인용, 지난해 미국 남부 국경에서 구금된 중국인 불법 이민자가 3만7,000여 명으로 집계됐다고 보도했다. 중국 내 경기 침체 기조가 점차 심화하는 가운데, 삶의 터전을 잃고 새로운 '활로'를 모색하는 중국인이 급증한 것으로 풀이된다.
"9개월이나 심사 밀렸다" 피노바이오, 결국 상장예비심사 철회
파두 사태 등 변수로 심사 연달아 지연, 그동안 기업가치 변해
'코로나 거품' 붕괴하는 제약·바이오 시장, 기업가치 하락 불가피
bio_startup_IPO_20240214
항체-약물 접합체(Antibody-Drug Conjugate, ADC) 플랫폼 전문 바이오텍 기업 피노바이오가 코스닥 상장예비심사를 철회했다고 13일 밝혔다. 지난해 5월 상장예비심사 청구 후 '파두 사태' 등 대내외 변수로 심사가 지연되고 있는 가운데, 기업가치 평가절하 리스크를 고려해 철회를 결정했다는 설명이다. 한편 소식을 접한 업계는 이어지는 고금리 기조로 바이오 분야의 '거품'이 빠졌다는 점에 주목하고 있다.
R&D 예산 삭감 유탄 날아온다, 이공계 대학원 연구비 대폭 감소
대학원생 임금 삭감 릴레이, 처우 악화에 인재 이탈 우려 심화
성과 위주 장학금으로 공백 메꾸는 정부, 체질 개선 가능할까
graduate-student_pay_cut_20240213-1
국내 이공계 대학원이 올해 정부 연구개발(R&D) 예산 삭감의 '직격탄'을 맞았다. 프로젝트 연구비 등이 대폭 줄어들며 대학원생들의 임금이 줄줄이 삭감되기 시작한 것이다. 미충원으로 몸살을 앓던 국내 학계 전반에 짙은 먹구름이 드리운 가운데, 학계는 처우 악화 및 의대 정원 확대 등으로 인한 이공계 우수 인재 이탈에 대한 우려를 드러내고 있다.
문 정부 당시 계속운전 신청 시기 놓쳤다, 원전 6기 '가동 중단' 위기
"에너지 안보·탄소 중립 잡아라" 탈원전 기조 뒤집는 세계 각국
원전 확대 선언한 윤석열 정부, 사업 확대·제도 개선 속도 내나
nuclear_stop_20240213
국내 원전업계의 '에너지 수급 불안'이 가시화하고 있다. 문재인 정부 당시 탈원전 정책의 영향으로 다수의 원전이 가동 중단 위기를 맞이했기 때문이다. 주요 원전 가동이 연쇄적으로 중단될 경우, 대체 발전을 위한 부담이 가중되며 시장 전반에 혼란이 발생할 가능성이 크다. 세계 각국이 에너지 안보를 위해 탈원전 기조를 과감히 내려놓기 시작한 가운데, 관련 업계에서는 우리나라 역시 신규 원전 건설 및 제도 개선에 속도를 낼 필요가 있다는 지적이 제기된다.
클린에너지 글로벌 거래 플랫폼 씨너지, 30억원 투자 유치
REC·자발적 탄소배출권 등 글로벌 환경 상품 거래 플랫폼 운영
미국·유럽 진출 목표하는 시너지, 11월 대선 리스크 주의 필요
CnerG_20240208
사진=씨너지 홈페이지
클린에너지 글로벌 거래 플랫폼 씨너지가 30억원 규모의 투자 유치를 완료했다고 8일 밝혔다. 이번 투자는 2022년 프리시리즈 A와 2025년 진행 예정인 시리즈 A 사이 브릿지 성격의 라운드로 △한화투자증권 △퀀텀벤처스코리아 △SGC파트너스-DSN인베스트먼트(공동투자) △브라이트에너지파트너스 등 4개 기관이 참여했다.
설을 앞두고 산업계 곳곳에서 '성과급' 관련 분쟁이 불거지고 있다. 경기 침체로 인해 산업계 전반에 먹구름이 드리운 가운데, 비용 절감이 절실한 사측과 높은 급여를 보장받고자 하는 근로자의 이해관계가 충돌한 것으로 풀이된다. 특히 △현대자동차·기아 △LG에너지솔루션 △삼성전자 등 성과급에 따라 급여 수준이 크게 달라지는 대기업을 중심으로 갈등이 격화하는 양상이다.
각 지사에 '직무별 중요도' 재평가 지시한 테슬라, 감원 카드 꺼내나
테슬라 4분기 영업이익 47% 급감, 성장 둔화로 비용 절감 절실해
질주 이어가던 중국 전기차까지 휘청인다, '캐즘' 맞이한 전기차 시장
TESLA_fire_20240208
글로벌 전기차 업계의 '선두 주자' 테슬라가 시장 침체 타격에 휘청이고 있다. 블룸버그통신은 7일(현지시간) 테슬라 내부자들을 인용, 테슬라 본사 관리자들이 전 세계 지사에 직원들의 '직무별 중요도' 재평가를 주문했다고 보도했다. 업계 곳곳에서는 이 같은 테슬라 본사의 움직임이 대규모 해고를 위한 사전 작업이라는 분석이 쏟아지고 있다.
실수요자의 사랑을 독차지하며 소위 '국민평형'으로 꼽히던 전용면적 84㎡의 입지가 위태로워지고 있다. 고물가 기조로 인해 건설 자재 가격이 급등하며 아파트 분양가가 치솟자, 전용면적 60㎡ 이하 소형 아파트에 1순위 청약자가 몰리기 시작한 것이다.
LFP 앞세워 질주하는 중국 배터리 시장, 글로벌 영향력 확장
선도지능 등 소재·부품·장비 기업 고속 성장, 국내 시장까지 진출
"중국은 싸고, 일본은 기술력 있는데" 입지 모호해진 한국 시장
lfp_battery_china_20240207
중국 배터리 소재·부품·장비 업계의 국내 시장 침투에 속도가 붙고 있다. 양극재 전구체, 분리막 등 소재 부문에 국한되던 중국 기업의 영향력이 장비와 부품 부문까지 확대되기 시작한 것이다. 중국이 가격이 저렴한 LFP(리튬인산철) 배터리를 중심으로 경쟁력 확보에 성공한 가운데, 보다 '저렴한 배터리'를 제작하고자 하는 글로벌 배터리 제조사 수요가 중국 기업으로 집중되는 양상이다.
직원에 1억원 출산장려금 지원하는 부영그룹, "세 부담 과하다" 주장
무조건 돈 쥐어주면 된다? 현금성 저출산 지원책 실효성 의문
돈으론 해결하지 못하는 것이 있다, '육아 인프라' 확충의 효과
low_birthrate_money_20240206
기업 차원에서 지급하는 '출산장려금'에 과도한 세금이 매겨지고 있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2021년 이후 태어난 자녀가 있는 직원들에게 자녀 명의로 1억원의 출산장려금을 지원하는 '부영그룹'의 세 부담 문제가 수면 위로 떠오른 것이다. 곳곳에서 현금성 저출산 지원책에 대한 논의가 벌어지고 있는 가운데, 일각에서는 무조건적인 현금성 지원을 실시하기보다 육아 인프라 정비를 우선시해야 한다는 지적도 제기된다.
정부, 전기 승용차 성능보조금 깎고 '차등 지급' 늘린다
'LFP 배터리' 사용하는 중국산 전기차 견제 움직임 본격화
"보조금 따라 산다" 중고·고가 전기차는 약세 보일 가능성 커
electric_car_20240206
전기차 구매보조금이 또다시 수술대에 올랐다. 환경부는 6일 '2024년 전기차 구매보조금 개편 방안'을 발표했다. 성능보조금을 전반적으로 줄이되, 1회 충전 기준 주행 거리가 길고 배터리 성능이 높은 차량에 추가적으로 보조금을 지급하는 것이 골자다. 이번 개편안에 따른 대형 승용차 기준 최대 지원금은 지난해(680만원) 대비 30만원 감소한 650만원이다.
글로벌 시장 공략에 박차 가하는 네이버웹툰, 올해 하반기 상장 전망
일본 서비스 '라인 망가' 대흥행, 6년간 쌓인 적자까지 벗어던져
IPO 노리고 달리던 카카오엔터테인먼트, 경영진 리스크로 '휘청'
naver_kakao_webtoon_20240205-1
네이버웹툰이 글로벌 시장 공략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네이버웹툰의 모회사 ‘웹툰엔터테인먼트'가 올해 하반기 중 미국 증시 IPO(기업공개)에 도전할 것이라는 전망에 힘이 실리는 가운데, 오리지널 IP(지식재산권) 사업 확장을 통한 '덩치 불리기'에 총력을 기울이는 양상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