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main content
‘헤어질 결심’ 골든글로브 수상 불발, ‘OTT 오리지널’ TV부문 석권
Picture

Member for

5 months 4 weeks
Real name
안현정
Position
연구원
Bio
[email protected]
정보 범람의 시대를 함께 헤쳐 나갈 동반자로서 꼭 필요한 정보, 거짓 없는 정보만을 전하기 위해 노력하겠습니다. 오늘을 사는 모든 분을 응원합니다.

수정

제80회 골든글로브 시상식
박찬욱 감독 '헤어질 결심' 비영어권 작품상 불발
스티븐 스필버그, '더 파벨먼스'로 2관왕
'블랙 버드'-'다머'-'오자크' 등 OTT 오리지널 TV 부문 석권
사진=제80회 골든글로브 시상식 캡처

박찬욱 감독의 영화 <헤어질 결심>이 제80회 골든글로브 시상식에서 아쉽게 트로피를 놓쳤다. 이로써 한국계 콘텐츠 4년 연속 골든글로브 수상은 기록하지 못했지만, <헤어질 결심>은 3월 예정된 미국 아카데미 시상식(오스카상)에서 다시 한번 영광에 도전한다.

현지시각 10일 미국 로스앤젤레스에서 제80회 골든글로브 시상식이 열렸다. 이날 시상식에서는 스티븐 스필버그 감독이  <더 파벨먼스>로 영화 부문 드라마 작품상과 감독상을 수상하며 영광의 주인공이 됐다. 마틴 맥도나 감독의 <이니셰린의 밴시>는 영화 부문 뮤지컬 코미디 작품상, 각본상, 남우주연상을 거머쥐며 가장 많은 트로피를 가져갔다.

이번 골든글로브 시상식에서 국내 영화 팬들의 가장 큰 이목이 쏠린 곳은 바로 비영어권 작품상. 2020년 봉준호 감독이 <기생충>으로 비영어권 작품상(구 외국어 영화상)으로 골든글로브 수상 릴레이를 시작한 후 2021년에는 정이삭 감독, 윤여정-스티븐 연-한예리 주연의 <미나리>가 영광을 이었고, 지난해는 넷플릭스 오리지널 <오징어 게임>의 오영수가 남우조연상을 거머쥐며 한국계 콘텐츠는 3년 연속 골든글로브 트로피를 들어 올렸다. 올해는 <헤어질 결심>이 그 영광을 이어갈 수 있을지 많은 이목이 쏠렸다.

사진=CJ ENM

<헤어질 결심> 향한 팬들의 응원, 티빙-넷플릭스 내 인기로 입증

<헤어질 결심>은 이번 시상식에서 아르헨티나 영화 <아르헨티나, 1985>(감독 산티아고 미트레)에 트로피를 양보했다. 해당 부문 후보에는 두 영화를 비롯해 <서부 전선 이상 없다>(감독 에드워드 버거), <클로즈>(감독 루카스 돈트), <RRR: 라이즈 로어 리볼트>(감독 SS 라자몰리) 등 쟁쟁한 후보들이 올랐다. 이 때문에 <헤어질 결심>의 골든글로브 수상 불발에 대한 안타까움보다는 오는 3월 예정된 제95회 아카데미 시상식에서의 트로피 도전에 더 큰 응원이 쏟아지고 있다.

박찬욱 감독이 영화 <아가씨> 이후 6년 만에 선보인 작품 <헤어질 결심>은 산에서 벌어진 변사 사건을 수사하게 된 형사가 사망자의 아내와 만난 후 의심과 관심을 동시에 느끼며 시작되는 이야기를 아름다운 영상미로 담아내 국내외 평단의 호평을 받았다. 제75회 칸 영화제 감독상을 시작으로 아시아 태평양 시네마&TV, 한국영화평론가협회상, 청룡영화상 등 유수의 영화제를 휩쓸며 작품성을 인정받았고, 극장 상영 후에는 국내 OTT(온라인동영상서비스) 티빙을 통해 공개되며 안방극장을 공략했다. 글로벌 OTT 넷플릭스 역시 지난해 말 <헤어질 결심>을 비롯한 430여 편의 한국 영화를 공개하며 라이브러리를 확대했다. 11일 현재 <헤어질 결심>은 [오늘의 OTT 통합 랭킹] 10위를 차지하며 국내외 OTT 모두에서 화제를 이어가고 있다. <아르헨티나, 1985>는 아마존 프라임비디오가 독점 공개하고 있어 국내 팬들을 만날 때까지는 다소 시간이 걸릴 전망이다.

사진=유니버셜 픽쳐스

스티븐 스필버그 2관왕, <이니셰린의 밴시> 3관왕

스티븐 스필버그 감독의 자전적인 이야기를 통해 이번 시상식에서 작품상과 감독상 2관왕을 거머쥔 영화 <더 파벨만스>는 지난해 11월 미국을 비롯한 북미에 개봉해 약 1,400억 달러의 매출을 기록했다. 올해 상반기 한국 개봉을 논의 중이며, 극장 상영 일정 논의 후 OTT 플랫폼 및 일정이 확정될 예정이다.

가장 많은 트로피를 들어 올린 <이니셰린의 밴시>는 지난해 10월 부산국제영화제(이하 부국제)를 통해 국내에 소개되며 영화 <신비한 동물사전>, <애프터 양>으로 익숙한 배우 콜린 파렐의 열연으로 눈길을 끈 작품이다. 지난해 10월 북미와 유럽 등에 개봉했지만 한국에서는 역시 올해 상반기 개봉을 목표로 일정을 논의 중이다. 월트디즈니컴퍼니가 배급을 맡아 향후 OTT 디즈니+를 통한 공개에 무게가 실렸다.

미국 이민자 에블린의 시선을 빌려 멀티버스 안에 수많은 자신이 살아가고 있다는 사실을 알게 되며 벌어지는 이야기를 다룬 <에브리씽 에브리웨어 올 앳 원스>는 양자경의 영화 뮤지컬코미디 여우주연상과 키 호이 콴의 영화 남우조연상 수상으로 2관왕을 기록했다. 역시 지난해 부국제에 초청돼 "웃음과 눈물이 공존하는 걸작"이라는 극찬을 받았으며, 이후 극장 상영을 거쳐 OTT 웨이브를 통해 서비스되고 있다. 오늘(11일) [오늘의 OTT 통합 랭킹] 2위에 오르며 화제를 이어가고 있다. 해외에서는 프라임비디오를 통해 공개됐다.

이 외에 배우 오스틴 버틀러에게 남우주연상을 선사한 영화 <엘비스>는 웨이브와 쿠팡플레이에서 단건 결제 서비스를 제공 중이며, 여우조연상(안젤라 바셋)을 거머쥔 <블랙팬서: 와칸다 포에버>는 오는 2월 1일 디즈니+를 통해 공개된다. 특유의 액션은 물론 음악까지 빛난 <RRR: 라이즈 로어 리볼트>는 넷플릭스에서 서비스되고 있다.

장편애니메이션상에 빛나는 <기예르모 델토로의 피노키오>는 넷플릭스 오리지널 작품. 기예르모 델토로 감독 특유의 상상력이 많은 이들의 사랑을 받은 목각 인형 '피노키오'의 마법 같은 모험을 스톱 모션 애니메이션으로 구현했다. 현실의 한계를 뛰어넘어 새 생명을 불어넣는 강력한 사랑의 힘을 그린 이 작품은 지난해 12월 공개 후 "피노키오라는 캐릭터를 단순히 거짓말을 해서 코가 길어진 아이가 아닌, 온갖 고난 속에서도 사랑을 포기하지 않는 아름다운 아이로 기억하게 해준 작품"이라는 극찬을 받았다. 특히 같은 주제로 실사화 영화를 선보인 디즈니+와의 경쟁에서도 압도적인 승리를 거두며 작품성과 흥행 두마리 토끼를 모두 잡았다.

사진=넷플릭스, 애플TV

TV 부문 휩쓴 OTT 오리지널 파워

TV 부문 수상작은 대부분 작품이 TV 방영 후 OTT를 통해 공개됐으며, 넷플릭스와 애플TV+의 오리지널 시리즈도 다수 눈에 띄었다. 가장 큰 영광인 작품상은 <하우스 오브 드래곤>에게 돌아갔다. 인기 시리즈 <왕좌의 게임> 시리즈의 프리퀄로 눈길을 끈 이 드라마는 방영 내내 원작의 인기를 뛰어넘으며 화제를 모았다. 미국 TV 채널 HBO 방영 후 OTT HBOmax를 통해 공개됐으며, 한국에는 웨이브가 독점 공개 중이다.

미니시리즈 작품상을 받은 <화이트 로투스>, 젠데이아 콜먼에게 드라마 여우주연상을 안긴 <유포리아> 역시 HBO와의 콘텐츠 제휴를 맺은 웨이브가 서비스 중이다. 케빈 코스트너가 남우주연상을 거머쥔 <옐로우스톤>은 티빙을 통해 시청 가능하다. 배우 에반 피터스는 넷플릭스 오리지널 <다머 - 괴물: 제프리 다머 이야기>로 남우주연상을 품에 안았고, 여우주연상 아만다 사이프리드의 <드롭아웃>은 디즈니+를 통해 서비스되고 있다.

남우조연상에 빛나는 <블랙버드>는 실화를 바탕으로 제작된 애플TV+의 오리지널 시리즈다. 이 외에  <애봇 엘리멘트리>는 <애봇 초등학교>라는 제목으로 디즈니+에 소개됐고, 시즌4를 거듭하며 탄탄한 마니아층을 형성한 넷플릭스 오리지널 시리즈 <오자크>는 올해도 줄리아 가너의 여우조연상 수상으로 영광을 이어갔다.

제80회 골든글로브 시상식 주요 수상작(자)

■ 영화 드라마 작품상=더 파벨먼스
■ 영화 뮤지컬코미디 작품상=이니셰린의 밴시
■ 영화 감독상=스티븐 스필버그(더 파벨먼스)
■ 영화 각본상=마틴 맥도나(이니셰린의 밴시)
■ 영화 드라마 여우주연상=케이트 블란쳇(타르)
■ 영화 드라마 남우주연상=오스틴 버틀러(엘비스)
■ 영화 뮤지컬코미디 남우주연상=콜린 패럴(이니셰린의 밴시)
■ 영화 뮤지컬코미디 여우주연상=양자경(에브리씽 에브리웨어 올 앳 원스)
■ 영화 남우조연상=키 호이 콴(에브리씽 에브리웨어 올 앳 원스)
■ 영화 여우조연상=안젤라 바셋(블랙팬서: 와칸다 포에버)
■ 영화 음악상=저스틴 허위츠(바빌론)
■ 영화 주제가상='나투나투'(Naatu Naatu)(RRR: 라이즈 로어 리볼트)
■ 영화 비영어권 작품상='아르헨티나, 1985'(감독 산티아고 미트레)
■ 장편애니메이션상=기예르모 델 토로(기예르모 델토로의 피노키오)
■ 세실 B. 데밀 상=에디 머피

■ TV 드라마 작품상=하우스 오브 드래곤
■ TV 뮤지컬코미디 작품상=애봇 앨리멘트리
■ TV 미니시리즈 작품상=화이트 로투스
■ TV 드라마 여우주연상=젠데이아 콜먼(유포리아)
■ TV 드라마 남우주연상=케빈 코스트너(옐로우스톤)
■ TV 뮤지컬코미디 여우주연상=퀸타 브런슨(애봇 엘리멘트리)
■ TV 뮤지컬코미디 남우주연상=제레미 앨런 화이트(더 베어)
■ TV 미니시리즈, 영화 남우주연상=에반 피터스(다머)
■ TV 미니시리즈, 영화 여우주연상=아만다 사이프리드(드롭아웃)
■ TV 미니시리즈, 영화 남우조연상=폴 월터 하우저(블랙 버드)
■ TV 미니시리즈, 영화 여우조연상=제니퍼 쿨리지(화이트 로투스)
■ TV 남우조연상=타일러 제임스 윌리엄스(애봇 엘리멘트리)
■ TV 여우조연상=줄리아 가너(오자크)

Picture

Member for

5 months 4 weeks
Real name
안현정
Position
연구원
Bio
[email protected]
정보 범람의 시대를 함께 헤쳐 나갈 동반자로서 꼭 필요한 정보, 거짓 없는 정보만을 전하기 위해 노력하겠습니다. 오늘을 사는 모든 분을 응원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