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main content
LS전선 “20년간 1조 투자해 기술 개발, 유출 사실이면 법적 조치”
대한전선 “2009년부터 해저케이블 개발, 자력으로 설비 역량 갖춰”
롯데그룹 화학3사 임원들, 자사주 매입 나서
'7만 전자' 탈출 위해 삼성전자도 자사주 매입 카드
SK텔레콤 임원들도 회사 권유로 자사주 추가 매입
lottechem_001_TE_20240612
롯데케미칼 여수 공장 전경/사진=롯데케미칼

롯데그룹 화학3사(롯데케미칼·롯데정밀화학·롯데에너지머티리얼즈) 임원들이 자사주 매입에 나섰다. 이는 책임경영의 일환으로, 롯데 화학군 임원들이 같은 날 한꺼번에 자사주를 사들인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중고차업계 내 영향력 강화한 케이카, 정작 매각 시장선 '찬밥 신세'
올 1분기 매출 16.8%·영업이익 33.4% 증가, 대당 마진도 꾸준히 '상승세'
한앤컴퍼니 엑시트 최적 시점 도래, 배당금 수익으로 엑시트 부담도 줄어
Junginguk_K-Car_20240530
정인국 케이카 대표/사진=케이카

중고차 매매 플랫폼 케이카(K-Car)가 올해 인수합병(M&A) 시장의 공식 매물이 될 것이란 전망이 나왔다. 케이카의 실적이 대폭 개선된 데다 최대주주인 사모펀드 한앤컴퍼니가 6년이 넘는 투자 기간 동안 막대한 배당 수익을 올렸다는 이유에서다.

광산기업 앵글로아메리칸, '드비어스' 지분 85% 매각 추진
'랩그로운 다이아몬드' 인기에 천연 다이아몬드 가격 급락
핵변환 기술, 스위스 국영 기관에 인정받았다
현실화 위해선 ADS 가속기 등 추가 연구 필요
핵폐기물 부담 경감 기대, 높은 초기 비용은 걸림돌
switzerland-nuclear_20240527

스위스 당국이 원자력발전소에서 배출되는 방사성 폐기물을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는 '핵변환' 기술을 승인했다. 장기간 연구 단계에서 횡보하던 기술이 최초로 정부 차원의 인정을 받은 것이다.

전선업계 빅2 'LS전선·대한전선' 생산라인 풀가동
인공지능 개발 및 노후 전력망 교체 수요 폭증 영향
올해는 전력 '슈퍼 사이클' 원년, 구리 가격도 맑음
LS_TAIHAN_TE_20240521_001

인공지능(AI) 산업 발달과 노후 전력 인프라 교체 수요가 맞물리면서 전력 산업 슈퍼 사이클에 가속도가 붙고 있다. 이에 국내 전선업체들도 연일 호실적 행진을 이어가고 있는 모습이다. 특히 LS전선·대한전선 등은 넘쳐나는 주문에 생산라인을 풀가동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AI 데이터센터 증설 및 전 세계 전력 수요 증가로 전선업계에 훈풍이 부는 가운데, 이같은 호황기가 장기화할 것이란 전망이 쏟아진다.

중국 나우라, 세계 반도체 장비 업계 상위 10위 안에 진입
2022년 대비 매출 50.3% 늘어난 220억7,945만 위안 기록
AMEC 작년 매출액도 전년 대비 32.1% 증가, 미국 제재 효과
NAURA_20240520_001
사진=나우라

중국 반도체기업 나우라가 세계 반도체 장비 업계 상위 10위 안에 진입했다. 미국의 첨단 반도체 장비 규제 속 중국이 자체적으로 반도체 공급망을 구축하면서 성장한 결과다. 미국 규제가 풍선효과로 중국 반도체 장비 산업 발전을 촉진시키는 모습이다.

한화솔루션, 총차입금 10조원대 최초 돌파
1분기 영업손실 1,871억원, 유동성 줄어든다
美의 중국산 태양광 규제가 실적 개선의 열쇠?
hanhwa_money_20240520

한화솔루션이 단기차입금과 기업어음(CP)을 늘려 유동성을 확보하고 있다. 대규모 설비 투자로 인해 지출 부담이 급증한 와중에 실적이 급격히 악화하며 자본금이 부족해진 결과다. 차입금을 중심으로 한화솔루션의 재무 부담이 점차 가중되는 가운데, 업계에서는 미국의 중국산 태양광 제품 규제가 재무 위기를 해소할 '열쇠'가 될 것이라는 분석이 제기된다.

코로나 팬데믹 이후 대중국 화장품 수출 감소세 
올해 1분기 LG생활건강 등 '빅3' 中 수익성 개선
美·日 비중 증가, 인도·튀르키예·멕시코 등 유망
cosmetic_20240517
사진=게티이미지뱅크

국내 화장품 업계가 올해 1분기 일제히 호실적을 이뤄냈다. 대중국 수출 회복세, 북미와 일본 시장에서의 성장 등에 힘입어 실적 반등에 성공하면서다. 팬데믹 이후 중국 시장의 수요가 부진하면서 어려움을 겪었던 국내 화장품 산업은 최근 미국, 일본을 비롯해 태국 등 동남아시아 시장을 공략하며 성장세로 돌아서는 모습이다.

적자 부담 떠안은 샤프, 일본 내 마지막 LCD 공장 멈춘다
가격 경쟁력 앞세워 LCD 시장 과점한 중국
美 에너지부(DOE)로부터 1,365억원 투자세액공제
미국 해저케이블 공급망 절대적으로 부족한 상황
SK이노베이션이 '그린 포트폴리오' 중심 긴축 경영에 착수한다. 경기 위축으로 인해 수요 전반이 침체한 가운데, 고금리·글로벌 신용 등급 강등 악재가 겹치며 자금 확보가 어려워진 탓이다. 추후 SK이노베이션은 위기를 넘기기 위해 매년 대규모 투자금이 투입되던 배터리 부문 자회사인 SK온의 투자 속도를 조절할 예정이다.
영국 광산업체 앵글로아메리칸이 세계 최대 광산기업 BHP의 인수합병(M&A) 제안을 거부했다. BHP는 인수를 통해 전 세계 구리 생산량의 약 10%를 차지하려 했으나, 결과적으로 인수가 거부되면서 세계 구리 시장의 1인자로 올라서지는 못했다. 이런 가운데 여타 광산 업체와 제련소들도 구리 광산 인수에 관심을 보이기 시작하면서 BHP 입장에선 다른 출구전략을 세울 필요성이 늘었단 평가가 나온다.
SK그룹의 친환경(ESG)·건설기업 SK에코플랜트가 기업공개(IPO) 목표 기업가치 하향을 검토하고 있다는 소식이 전해졌다. 공격적인 투자로 인해 실적이 미끄러지고, 기존 목표 기업가치에 대한 시장의 의구심이 점차 커지자, 자체적으로 밸류에이션 눈높이를 낮춘 것이다.
방위산업업체 LIG넥스원이 새 근태 관리 시스템 도입을 두고 직원들의 반발에 부딪혔다. 20분간 마우스가 움직이지 않으면 비업무 모니터링 시스템에 시간이 적립되는 게 시스템의 골자인데, 직원들은 "PC 활용이 적은 직원들까지 PC로 근무 여부를 판단하는 건 불합리하다"는 목소리를 쏟아내는 모양새다. LIG넥스원이 일부 직원의 일탈 행위에 따른 책임을 지나치게 타 직원에까지 전가하고 있다는 비판도 있다. 근태의 책임은 직원에게 있으나 근태 관리의 책임은 기업에 있음이 분명한 만큼, LIG넥스원은 직원 의견 수렴 과정을 고쳐 보다 고차원의 정책을 다시 짜낼 필요가 있을 것으로 보인다.
SK그룹 핵심 계열사 SK이노베이션이 전기차 배터리 자회사 SK온의 자금 조달 과정에서 홍역을 치르고 있다. SK온에 대규모 자금을 투입하며 SK이노베이션의 실적과 주가가 줄줄이 뒷걸음질친 가운데, 정작 실적 악화의 원인인 SK온이 이렇다 할 성과를 내지 못하면서다.
SK이노베이션이 SK온과 SK엔무브의 합병 후 상장 추진설을 부인하고 나섰다. SK엔무브와 SK온의 합병 및 상장 소식을 다룬 특정 매체의 보도를 공식적으로 반박한 것이다. 관련 업계는 합병 후 상장 추진설의 현실화 가능성에 촉을 곤두세우고 있다.
테슬라와 옛 트위터인 X가 일론 머스크 최고경영자(CEO)에 의한 오너 리스크로 내홍을 겪고 있다. X의 경우 머스크의 정치적 발언 등으로 기업가치가 폭락했으며, 테슬라는 머스크의 잇따른 마약혐의와 지분확대 이슈 및 그에 따른 머스크의 이탈 가능성으로 우려를 사고 있다.
삼성증권이 LG에너지솔루션에 대해 올해 1분기 어닝쇼크를 예상했다. 직전년도 동기 대비 91% 줄어든 994억원의 영업이익을 기록할 것이라는 예상이다. 업황 악화를 예상한 시장 추정치보다 9% 낮은 수치다.
글로벌 시장이 한국 드론 산업에 대한 비관적 전망을 쏟아내고 있다. 정부의 관련 산업 지원이 사실상 정체돼 있는 가운데, 자체 드론 기술력이 부족한 '깡통 기업'이 급증하며 시장 경쟁력 전반이 쇠퇴하고 있다는 지적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