日, 1조 엔 투자해 국립 조선소 신설한다
선박 제작 기술·노하우 건재, 생태계는 녹슬어
전략적 제휴·현지 거점 확보 등에 속도 내는 韓 조선사들
일본 정부가 조선업 부활을 위한 청사진을 그리고 있다. 국립 조선소를 신설해 시장 점유율을 확보하고, 미국의 유지·정비·보수(MRO) 수요를 전면 흡수하겠다는 구상이다.
美, 2020~2024년 전 세계 무기 수출 43% 점유해
정부 지원 발판 삼아 러시아 완전히 꺾은 프랑스
'폴란드 특수'에 반짝 성장한 韓 방산, 향후 과제는
세계 무기 시장의 판도가 급변하고 있다.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등 세계 안보 위기가 이어지는 가운데, 각국 방산업계의 '희비'가 극명하게 교차하는 양상이다.
로봇·첨단설비 갖춰 내년부터 가동
전기차 年 150만대분 배터리 생산
中공세에 쪼그라든 K배터리 점유율
전기차 시장이 본격적으로 열린 2010년대 중반부터 지난해까지 한국의 텃밭이었던 유럽 배터리 시장이 하나둘 중국 손에 넘어가고 있다. 막대한 정부 보조금으로 체력을 쌓은 중국 기업들이 중국에 이은 ‘넘버2’ 배터리 시장인 유럽 총공격에 나서면서다.
SK이노, 고심 끝 IMM크레딧 잔여지분 매입 결정
SK엔무브 IPO 무산 따른 후속 조치
IMM 보유지분 매입 협상 중, 가치산정 핵심
SK이노베이션이 사모펀드(PEF) 운용사인 IMM크레딧앤솔루션(ICS)에 매각했던 자회사 SK엔무브 지분 30%를 약 9,000억원에 되사오는 방안을 검토 중이다.
美 관세 직격탄 맞은 한국GM
노사 갈등에 ‘내홍’까지
임금 협상 두고 노사 입장차 뚜렷
올해 임금·단체협상을 앞두고 한국GM 노사 갈등이 고조되고 있다. 사측이 비용 절감을 이유로 직영 정비센터 철수와 부평공장 부지 매각을 선언한 가운데, 노조는 납득할 수 없는 일방적인 구조조정 계획이라며 철회를 촉구하고 나섰다.
전기차 캐즘에 고전하는 충전 시장
사업 정리하거나 희망퇴직 칼바람
가격 중심 경쟁 구조, "버티기 힘들다"
전기차 보급 확대에 발맞춰 충전 사업에 뛰어든 대기업들이 고전을 면치 못하고 있다. 사업을 매각 또는 철수하는가 하면 일부는 장기간 적자에 빠져 출구조차 찾지 못하는 실정이다.
국내 자동차업계, 美 관세 폭탄에 '신음'
日도 미국에 자동차 관세 인하 요구
관세전쟁 진원지 美, 차량 가격 인상 부담 떠안아
국내 자동차업계에 '비상'이 걸렸다. 미국의 자동차 관세로 인해 직접 미국에 차량을 수출하는 완성차 업체들은 물론, 중소 부품 업체들까지 수익성 악화 위기를 맞닥뜨린 것이다.
동국제강 인천공장, 8월까지 생산 중단
포스코·현대제철, 지난해부터 줄줄이 공장 폐쇄 발표
올해 조강 생산량 6,000만 톤대 초반까지 하락 전망
동국제강 인천공장에서 철근이 생산되는 모습/사진=동국제강
동국제강이 1954년 창사 이래 71년 만에 처음으로 셧다운(폐쇄)을 발표했다.
獨 해운사, 中 조선사와 선박 발주 논의
LNG 컨선 6척, 한화오션 건조의향서 ‘무산’ 수순
미국 대중 규제 완화에 中 발주 재개
하파그로이드 컨테이너선/사진=하파그로이드
독일 해운사 하파그로이드(Hapag-Lloyd)가 중국 조선사와 선박 발주에 대한 논의를 다시 시작한 것으로 알려졌다.
BYD, 2027년 중 韓 출시 차량에 자율주행 기술 탑재 전망
韓, 中 전기차 기업들의 '선진국 진출 통로'로 낙점
현대차·기아 내수 시장 입지 축소 우려
중국의 전기차 제조사 비야디(BYD)가 한국 시장에서 영향력을 빠르게 확대하고 있다. 가성비 차종을 앞세워 한국 전기차 시장에 도전장을 던진 데 이어, 자율주행 기술 도입까지 예고하며 현대자동차·기아의 입지를 직접적으로 위협하는 양상이다.
사우디 ‘킹 살만 자동차 산업단지’서 착공식
사우디 국부펀드 합작, 2026년 4분기 가동 목표
연 5만 대 생산 체계 구축, ‘300만 대 시장’ 공략 속도
14일(현지시간) 사우디아라비아 킹 살만 자동차 산업단지에 위치한 현대차 사우디 생산법인 부지에서 현대차와 사우디 정부, 국부펀드 관계자들이 착공식 후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타밀나두 투투쿠디에 대형 조선소 설립 계획
韓 조선사들, 사업 참여 러브콜 받아
印 정부, 세계 5위 조선 강국 목표로 투자 인센티브 제공
인도 코친조선소 전경/사진=코친조선소
인도 정부가 대규모 조선·선박 수리 클러스터를 조성하기 위한 부지를 확보하며 본격적인 조선 산업 육성 전략에 시동을 걸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