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신한·하나·우리' 등 4대 은행, 3분기 누적 신탁수수료 이미 1,470억원 미국 은행권 비이자수익 비중 70%대인 반면, 국내 은행은 10%도 안 돼 홍콩 ELS 손실 논란 커지자, 일부 은행은 ‘타 ELS 갈아타기’ 수수료 면제 등 검토 이복현 금융감독원장이 지난달 29일 서울 여의도 금융투자협회에서 열린 ‘자산운용사 CEO 간담회’에서 발언하고 있다/사진=금융감독원 올해 대형은행의 주가연계증권(ELS) 판매수수료가 포함된 신탁수수료 수익이 전체 은행 수수료 수익의 20%에 달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Read More횡재세 등 '은행 때리기' 열중하는 정치권, "지원 강화 필요할 듯" '은행 종노릇' 발언으로 시작된 초과이익 환수 논의, 하지만? 은행권 부담 '여전', "상생금융으로 잠시 발 뺀 정도에 그쳐" 김주현 금융위원장(오른쪽)과 이복현 금융감독위원장(왼쪽)의 모습/사진=금융위원회 대표적인 배당주로 주주 친화 정책을 펼쳐 연말이면 강세를 보이던 은행주가 최근 부진한 흐름을 이어가고 있다. 여전한 호실적 아래 '횡재세' 등 이익 환수에 대한 폭탄을 안고 있기 때문이다. 이런 가운데 은행권은 최근 자영업자와 소상공인의 대출 금리를 낮춰주는 상생 방안을 마련하기로 했다.
Read More횡재세 등 '은행 때리기' 열중하는 정치권, "지원 강화 필요할 듯" '은행 종노릇' 발언으로 시작된 초과이익 환수 논의, 하지만? 은행권 부담 '여전', "상생금융으로 잠시 발 뺀 정도에 그쳐" 김주현 금융위원장(오른쪽)과 이복현 금융감독위원장(왼쪽)의 모습/사진=금융위원회 대표적인 배당주로 주주 친화 정책을 펼쳐 연말이면 강세를 보이던 은행주가 최근 부진한 흐름을 이어가고 있다. 여전한 호실적 아래 '횡재세' 등 이익 환수에 대한 폭탄을 안고 있기 때문이다. 이런 가운데 은행권은 최근 자영업자와 소상공인의 대출 금리를 낮춰주는 상생 방안을 마련하기로 했다.
Read More대형, 중소형 가릴 것 없이 실적 부진 ‘뚜렷’ 지속된 고금리 여건 속 각종 충당금 적립에 따른 이익 감소가 원인 잇따른 실적 하락에 직원 전체 ‘성과급’ 줄일 거란 전망도 증권사들의 실적 감소가 3분기에도 이어졌다. 증권사 전반에 걸쳐 해외 부동산 투자 손실이 늘고 고금리 장기화, 유동성 감소 등 외부 변수에 따른 충당금 적립이 늘어난 영향이다. 주요 증권사들이 일제히 실적 감소를 겪자 연말 성과급 시즌을 앞두고 전체 이연성과급 제도 도입을 검토 중인 증권사마저 나타난 가운데, 이연되는 성과보수 규모가 커질 가능성이 높다는 관측이 나오면서 직원들의 불안감이 커지고 있다.
Read More공매도 금지 조치 일주일, 투자처 찾아 갈팡질팡하는 투자자들 '패닉 상황' 아님에도 무작정 금지? 코스피 반짝 상승 이후 재차 미끄러져 PBS 사업 직격탄 맞은 증권사, 외국인들은 국내 증시 손 뗀다 지난 6일 공매도 전면 금지 조치가 발표된 이후 증권 시장의 변동성이 커지고 있다. 개인 투자자들의 기대와 달리 공매도 금지 이후로도 증시가 좀처럼 맥을 추지 못하면서다. '글로벌 위기'가 아닌 이례적인 시기에 공매도 전면 금지 조치가 시행된 가운데, 업계에서는 각종 증권사·운용사의 수입 감소 및 차후 외국인 투자자의 자금 유입 위축에 대한 우려를 드러내고 있다.
Read More공매도 금지 조치 일주일, 투자처 찾아 갈팡질팡하는 투자자들 '패닉 상황' 아님에도 무작정 금지? 코스피 반짝 상승 이후 재차 미끄러져 PBS 사업 직격탄 맞은 증권사, 외국인들은 국내 증시 손 뗀다 지난 6일 공매도 전면 금지 조치가 발표된 이후 증권 시장의 변동성이 커지고 있다. 개인 투자자들의 기대와 달리 공매도 금지 이후로도 증시가 좀처럼 맥을 추지 못하면서다. '글로벌 위기'가 아닌 이례적인 시기에 공매도 전면 금지 조치가 시행된 가운데, 업계에서는 각종 증권사·운용사의 수입 감소 및 차후 외국인 투자자의 자금 유입 위축에 대한 우려를 드러내고 있다.
Read More기준금리 동결에 시장 기대감↑, "고용 지표도 둔화 흐름" 연준 "인플레이션 안 잡히면 금리 인상 가능성 있어" 제각각 노는 시장 전망, "결국 완전한 정답은 없다" 제롬 파월 미 연준 의장의 모습/사진=연준 유튜브 채널 캡처 미국 중앙은행인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의 기준금리 동결로 미 국채금리가 하락하는 가운데 기관 투자가들이 이에 앞서 국채금리 하락에 대규모 자금을 투자한 것으로 확인됐다. 장기간 금리가 인하할 것으로 전망해 이자를 지급하지 않는 무이표채(Zero Coupon Bond)를 대거 매입한 것이다.
Read MoreKB·신한·하나·우리은행 고정이하여신 3분기 들어 2조원 넘게 증가 은행권, 가계 부실채권 빠르게 털어내고 있으나 캠코도 물량 소화하기 쉽지 않아 신속한 기업 구조조정 위해 금융권 및 국회선 '기촉법' 되살리기 추진 중 KB·신한·하나·우리 등 4대 금융지주의 부실채권이 3분기 들어 2조원 넘게 증가했다. 이는 시중 금리가 가파르게 늘면서 은행 빚을 제때 갚지 못한 가계가 크게 늘어난 탓이다. 이에 자산 건전성에 균열이 생기는 것을 우려한 은행권은 부실채권을 털어내고 있으나, 쏟아지는 부실채권을 사 줄 민간 기업이 사실상 없는 데다, 그간 매물을 매입해 왔던 한국자산관리공사(캠코)마저 최근 급증하는 부실채권 물량에 큰 부담을 느끼고 있는 상황이다.
Read More중·저신용자 대출 비중 늘리라는 정부의 압박 인터넷은행들 저신용자에게 4.6%, 고신용자에게 7% 금리로 대출 정부 압박에 인터넷은행 수익성, 건전성만 악화 금융 당국의 압박에 국내 주요 인터넷전문은행이 신용대출 금리를 고신용자보다 저신용자에게 더 낮춰 책정하는 기현상이 나타났다. 일반적으로 신용이 낮을수록 고금리를 책정하는데, 정부 압박에 은행들이 합리적인 선택을 할 수 없었기 때문이다. 금융 당국은 인터넷은행의 설립 목적이 중·저신용자 대출 확대인 만큼 지난 8월부터 고신용자 대출 비중을 낮추라는 압력을 행사했고, 결국 '금리 역전' 현상이 벌어졌다는 것이 관계자들의 설명이다. 정부의 과도한 규제 탓에 인터넷은행의 수익성과 건전성만 악화된 꼴이라는 것이다.
Read More은행권 법인세에 초과이득세 신설 및 일부 수익 사회 환원하는 내용의 법안 추진 이미 유럽선 지난해부터 '횡재세' 법안 논의·도입하고 있는 상황 다만 관련 법안 국내 도입은 신중해야 한다는 지적도 국회가 은행권을 대상으로 '횡재세(windfall tax)'를 부과하는 법안 도입을 추진하고 있다. 고금리에 서민 고통이 가중되는데도 불구, 은행권이 과도한 이자 장사를 이어 나가고 있다는 배경에서다. 그러나 전문가들 사이에선 국내 은행권에 대한 횡재세 법안 도입은 신중해야 한다는 분석이 나온다. 은행권이 초과 수익에 대한 세금 부담을 회피하기 위해 대출 금리를 더욱 끌어올릴 수 있다는 것이다.
Read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