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main content
반보조금 조사 시작한 EU, 미국도 중국산 전기차 규제 가능성 시사
중국 반발에도 아랑곳 않는 규제, 설상가상 '규제 확산' 낌새도
우리나라도 '대중 규제' 시작, '탈중국' 가속화에 중국은 '울상'
americachina_20240205

미국 정부가 안보 리스크를 이유로 중국산 전기차에 대한 규제 가능성을 시사했다. 지난해 EU(유럽연합)의 반(反)보조금 조사 이후 미국마저 규제 움직임을 보이기 시작한 것이다. 중국산 전기차 규제가 전 세계로 확대되는 양상을 보이고 있는 만큼 전기차 업계 내 중국의 영향력은 갈수록 줄어갈 것으로 전망된다.

우크라이나 농산물 '무관세 수입' 이어오던 EU, 수입량 통제 나선다
우크라이나산 저가 농산물로 흔들리는 시장, 유럽 농민들 '격분'
농산물 분쟁이 무기 지원까지 끊었다? 폴란드의 '태세 전환'
Ukraine_wheat_20240202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개전(2022년 2월 24일)으로부터 약 2년이라는 시간이 흘렀다. 끝을 알 수 없는 지지부진한 싸움이 이어지는 가운데, 서방국들의 '아낌없는' 우크라이나 지원에도 본격적인 한계가 찾아왔다. 31일(현지시간) 마르가리티스 스히나스 EU 집행위원회 부집행위원장은 벨기에 브뤼셀에서 열린 기자회견에 참석, 우크라이나 농산물 수입량을 사실상 통제하겠다는 뜻을 내비쳤다.

11월 대선 앞둔 바이든 정부, 신규 LNG 수출 프로젝트에 '급제동'
성명 통해 '기후 위기 대응' 수차례 강조, 핵심 지지층 반발 의식했나
세계 LNG 공급 대거 흡수하는 중국, 수출 확대하면 중국만 이득?
LNG_Export_20240201

미국 정부가 신규 액화천연가스(LNG) 수출 시설에 대한 승인을 전면 보류하고 나섰다. 백악관은 지난 26일(현지시간) 홈페이지에 공개한 성명에서 "정부는 계류 중인 LNG 수출 관련 프로젝트들의 승인을 일시 중지한다"고 밝혔다. 11월 대선을 앞둔 바이든 행정부가 '친환경 정책'에 본격적으로 힘을 싣기 시작한 것이다.

대선 앞두고 바이든 변했다? "이민자 급증 시 국경 폐쇄해야" 주장
급증한 불법 이민자에 유권자 여론 악화, 트럼프 전 대통령도 '맹공격'
유화 정책으론 못 이긴다, 11월 '리턴 매치' 앞두고 결국 항복

오는 11월 대선을 앞둔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이 불법 이민자 문제에 대한 입장을 번복했다. 바이든 대통령은 26일 성명을 통해 "국경에 난민이 많이 몰리면 국경을 폐쇄할 수 있는 긴급 권한을 가진 새로운 국경법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몰려드는 불법 이민자에 불만을 품는 유권자들이 급증한 가운데, 지금까지의 정책 실패를 인정하고 강경한 대응책을 마련하겠다는 뜻을 내비친 것이다.

30·40대 자산가 비중 크게 늘어
꾸준한 성장 가능성에 연이은 투자 행렬
이민자 자산으로 亞 최대 금융시장 발돋움
Singapore_policy_20240129-2

싱가포르로 주거를 옮기거나 싱가포르에 법인을 설립하는 한국인 자산가의 수가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이른바 ‘베이비붐’ 세대라 불리는 1960년대생들의 은퇴가 본격화하면서 상속이나 증여 등에 따르는 막대한 세금 부담을 줄이려는 움직임으로, 싱가포르 정부는 역내 투자 활성화를 위한 방안으로 지난 2008년 상속세와 증여세를 전면 폐지한 바 있다.

교통위반 딱지 93%가 위조됐다? 중국 '벌금경제' 기조 심화
억지 범칙금 부과에 '범칙금 월정액' 판매, 중국 어디까지 가나
제로 코로나 지출·부동산 침체 '2연타'로 재정 말라붙은 결과
중국_지방정부_파산_20240123

일부 중국 지방정부가 재정 확보를 위해 무분별하게 교통 법규 위반 딱지를 발급·위조한 것으로 드러났다. 23일 홍콩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에 따르면, 중국 국무원(한국의 행정부 격)은 중국 허베이성 섭현(涉縣) 교통국이 지난해 발급한 교통 법규 위반 티켓의 93% 이상에 위조 서명을 했다고 발표했다.

2020년 5억 명 웃돌던 中 중산층, 코로나 이후 전체 인구 30% 그쳐
현지 관영매체도 이례적으로 중산층 감소 위험성 지적
주택 가격 하락에 허리띠 졸라매는 중산층, 경제 위기 가속할 우려 
상하이_게티이미지뱅크_20240122
사진=게티이미지뱅크

2020년 5억 명에 육박하던 중국의 중산층이 4억 명 밑으로 축소될 위기에 놓였다. 제로코로나 정책 등 경제적 충격에 따라 소득이 줄고 고용 불안이 심화한 영향이다. 여기에 가계 자산에서 주택이 차지하는 비중이 70%에 이르는 중국의 경제 구조상 지속되는 부동산 시장 침체도 중산층에 큰 타격을 입혔다.

그린워싱·강제 노동 제동 건 EU, ESG 규제 강화에 박차
공급망 속 숨은 그린워싱·강제 노동, '가짜 ESG' 잡아라
ESG 규제 부족한 한국, 글로벌 시장 생존하려면 손질 필수적
esg_그린워싱_20240122

유럽연합(EU)이 그린워싱(greenwashing, 위장환경주의)·강제 노동 제품 수입을 금지하는 '에코 디자인 규정 개정안'(ESPR)을 최종 승인했다. ESG 경영이 글로벌 기업의 '주요 경쟁력'으로 급부상한 가운데, 세계 각국의 그린워싱 규제에도 속도가 붙고 있는 것으로 풀이된다. 이에 국내 산업계에서는 우리나라의 지지부진한 그린워싱 규제에도 '변화'가 필요하다는 주장이 흘러나오고 있다.

日 집권 여당 '자민당' 파벌 3곳 해산 결단, 파벌정치 막내리나
해산 발표에도 "못믿겠다", 기시다 내각 지지율 최저 수준
반복돼 온 부패 스캔들과 파벌 부활, 제도적 쇄신 없인 척결 불가 
기시다_타임지_20240122
사진=타임지 캡처

기시다 후미오 일본 총리가 자신이 이끌던 파벌인 '기시다파'를 해산하겠다고 공표했음에도 내각 지지율은 최저 수준에서 반등하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저출산·고령화 직면한 한·중·일, 인구 비중 20% 이하까지 떨어져
인구 정책 실패로 저출산 타격 입은 중국, '양적 성장' 전략 버렸다?
질적 성장으로 성장 엔진 교체, 과도기 고통 넘어설 수 있을까
korea_japan_china_low-birth-rate_20240126

한·중·일의 글로벌 성장을 견인하던 '인구 경쟁력'이 무너지고 있다. 유엔인구기금(UNFPA)이 발표한 '2023 세계 인구 현황 보고서'에 따르면, 2023년도 전 세계 인구(약 80억4,500만 명) 중 한·중·일 인구 비중은 약 19.9%(약 16억74만 명)에 그쳤다.

후티, 미국 공습에 곧바로 반격, 홍해 향하는 상선에 포격 재개
후티 억제 실패한 미국, '외국 테러단체'에 후티 재지정 임박
장기전으로 갈수록 미국이 손해, 확실한 결단 필요한 시점
홍해-위치_구글맵_20240117.001
사진=구글맵

예멘의 친이란 반군인 후티가 미국 국적의 선박을 공격하며 홍해 일대 긴장이 최고조로 치닫고 있다.

美 군함에 미사일 발사한 예멘 후티 반군
후티, 새로운 중동전쟁 불씨 당기나, 미국vs이란 확전 가능성 부상
美 전쟁 억지력 잃으면 국제사회는 대혼란을 맞이할 것, 결단 필요

국제사회가 테러단체로 간주하는 3H(하마스·Hamas, 헤즈볼라·Hezbollah, 후티·Houthi)가 세계를 전쟁의 소용돌이 속으로 빠트리고 있다. 3H가 이란과 러시아 등의 지지를 업고 미국, 유럽 등 서방과 대치 국면을 넓히고 있단 얘기다. 문제는 전쟁이 저강도 장기화 국면으로 접어들며 미국의 전쟁 억지력에 적신호가 켜졌단 점이다. 이런 가운데 잠재적 분쟁국으로 분류되는 우리나라를 비롯해 대만 등도 긴장 고조를 피할 수 없게 됐다.

부총통 출신 총통 탄생, 정책 일관성 예상
中 “하나의 중국”, 대만해협 긴장감 고조
호텔신라 4분기 실적 추정치 반토막, 중국인 관광객 회복세 더딘 탓
리오프닝·단체 관광 허용에도 좀처럼 늘지 않는 중국인 관광객
심각한 디플레이션에 빠진 중국 경제, '관광 여유' 없어진 중국인들
줄어드는 중국인 관광객수_20240117.001

한국에 방문하는 중국인 관광객 수가 코로나19 이전에 비해 더딘 회복세를 보이고 있다. '큰손' 중국 단체 관광객들이 기대만큼 돌아오지 않자, 중국의 리오프닝(경제 활동 재개)과 단체 관광 허가 조치로 매출 상승을 꿈꾸던 국내 관광 업계는 직격탄을 맞는 모양새다.

기업 3곳·개인 1명 제재, 항공기 4대 자산 동결
젤렌스키 “세계 평화 위협 독재자에 교훈 남겨야”
동남아 무기 시장 장악한 한국에 우려의 시선도
토니_국무부_20240112
토니 블링컨 미국 국무부 장관/사진=미국 국무부

러시아가 우크라이나를 무력 침공하는 데 북한에서 개발·생산된 탄도미사일을 사용한 것으로 드러난 가운데, 미국 정부가 북한산 탄도미사일을 러시아로 이전하는 과정에 개입한 러시아 기업 및 개인에 대한 제재에 돌입했다. 국제사회는 우리나라를 비롯한 방산 국가들이 의도치 않게 러시아의 무기 공급원이 될 수도 있다는 점에 깊은 우려를 표하고 있다.

“토마호크 쐈다” 미·영, 후티 반군 본거지 공습 개시
홍해 선박 공격에 미 유조선 나포까지, 중동 긴장 격화
이-하 전쟁 개입보단 존재감 과시 및 이스라엘 견제 목적
미전투기출격_미중부사령부_20240112
美 항공모함에서 전투기가 이륙하는 모습/사진=미국 중부사령부 X 캡처

미국과 영국이 예멘의 친이란 반군 '후티'의 본거지에 대규모 폭격을 가했다. 후티 반군이 홍해를 지나던 민간 선박을 공격하고 이란이 미국 유조선까지 나포하자 보복 공습에 나선 것이다.

러시아 '드론 폭격'에 떠는 우크라이나군, 대반격 작전 실패 
폭격 위협에 차량 활용도 불가능, 물자·병력 조달 줄줄이 난항
병력보다 무기가 먼저다, 첨단 기술 앞세운 '현대 전쟁'
러시아_우크라이나_20240110

우크라이나 일대에 러시아의 '드론 폭격'이 쏟아지고 있다. 8일(현지시간) 뉴욕타임스(NYT)에 따르면, 우크라이나군은 1,000km에 이르는 전선 대부분 지역에서 방어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 러시아군의 공격적인 자폭 드론 공세로 발길이 묶이면서다. 우크라이나군 기계화 여단 병사들은 NYT에 "폭탄이 날아올 땐 제트기가 떨어지는 듯한 소리가 난다"며 "마치 지옥문이 열리는 것 같다"고 호소했다.

부동산 가격 하락에도 갈 곳 없는 노동자들
中 정부는 시장 구조 개혁에 ‘지나치게 신중’
중국 '군 현대화' 주역이었던 로켓군, 부정부패에 잠식당했다
로켓군·방산기업 수뇌부 대규모 숙청, 前 국방부장도 명단에
끝나지 않는 반부패 운동, '횡령'에 좀먹히는 중국 공직사회
중국_시진핑_20240108

중국 인민해방군 산하 핵미사일 부대를 관할하는 로켓군(軍) 내에서 각종 부정부패 정황이 포착됐다. 미국 블룸버그 통신은 미 정보기관 분석을 인용, "로켓군 전력에 잡음이 발생하고 있다"며 이같이 보도했다. 시진핑 국가주석의 '반부패 운동'이 10년 이상 이어지고 있음에도 불구, 사회 전반에 만연한 비리 문제가 좀처럼 해소되지 않는 양상이다.

반유대주의에 '애매한 답변' 남긴 하버드 총장, 논란의 불 지폈다
이-하 전쟁에 '파국' 치닫는 서구권, 갈라치기 '횡행'
정치적 이해관계에 왜곡되는 사상들, 경직된 사회의 단면
클로딘_하버드_20240104
클로딘 게이 하버드대 총장/사진=하버드대학교

미국 명문 하버드대학교의 클로딘 게이 총장이 결국 사임했다. 반유대주의에 대한 애매모호한 입장을 밝혀 논란이 된 뒤 이사회의 재신임을 받았으나 최근 논문 표절 논란이 지속되며 소송에 직면하자 전격적으로 자리에서 물러난 것이다. 이스라엘-하마스 전쟁 발발 이후 유독 경직성이 강화된 미국 사회의 단면을 보여주는 사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