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main content
김차수
[email protected]
정확성은 신속성에 우선하는 가치라고 믿습니다. 다양한 분야에 대한 신선한 시각으로 여러분께 유익한 정보를 전달하기 위해 항상 노력하겠습니다.
토스뱅크·광주은행 첫 공동대출 상품 선 보여토스서 대출 신청 시 양사 분담 비율로 집행금리 부담 완화 및 시중銀 과점구조 개선 기대
toss_bb_FE_20240516
인터넷은행인 토스뱅크와 지방은행 광주은행이 공동으로 개발한 금융상품이 첫선을 보일 전망이다. 토스뱅크의 모객력과 광주은행의 자금력이 결합된 형태로 운영될 예정으로, 업계에서는 5대 시중은행에 집중된 은행업 과점 구조를 완화하는 시발탄이 될 수 있다는 기대가 나온다.
최대 형량 9→12년, 초범도 실형 적용징벌적 손해배상 한도 3→5배로 확대


대통령실 브리핑 발표, 韓 국민·기업 이익 최우선 강조“反日은 도움 안 돼, 정치권 초당적 협력해야"


일본 정부, 라인야후 지배력 확대 의지소프트뱅크, 라인야후 요청으로 지분 협의韓 정부는 뒷짐만, "네이버가 원하는 방향대로"
KR_LINE_JP_PE_20240510_001
네이버가 라인야후의 경영권을 잃을 위기에 처하면서 정부의 적극적인 대응이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네이버가 라인야후의 지주회사인 A홀딩스의 지분을 매각할 경우 인수합병(M&A) 등에 활용할 수 있는 자금을 받을 수 있지만 아시아 대표 테크 기업으로 성장하려는 계획은 수정이 불가피하기 때문이다.
미국 정부, 첨단 AI 소프트웨어에 중국 접근 막는다 '클로즈드 소스' AI 모델 수출 제한, 새로운 규제 검토한국, 대만 등 동맹국에 대중국 제재 동참 압박할 수도
US_CN_TE_20240509_0001
미국 정부가 챗GPT 등 첨단 인공지능(AI) 소프트웨어에 중국이 접근하지 못하도록 제한하는 ‘가드레일’을 두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중국 견제가 미 통상정책의 최우선 순위며 대중국 투자 등을 통해 얻는 상업적 이익보다 국가안보가 더 중요하다는 점을 분명히 한 것으로 풀이된다.
여야 소득대체율 ‘43% vs 45%’ 합의 결렬결승선 눈앞서 멈춘 연금개혁, 해외 출장도 취소연금개혁 쟁정화 막고 여야 대타협 이뤄야
NPS_PE_001_20240508
국민연금개혁과 관련한 국회 협상이 여야 갈등 끝에 결국 좌초됐다. 이로써 21대 국회도 2007년 이후 17년간 표류한 연금개혁을 매듭짓지 못하게 됐다. 이에 따라 공은 오는 30일 열리는 22대 국회로 넘어가게 됐고, 사실상 제로베이스에서 재논의가 시작될 것으로 보인다.
고용노동부, 실업급여 반복 수급자 전년 대비 7.8% 증가3회 이상 실업급여 반복 수급 외국인, 4년새 2배 이상 늘어


테슬라, 충전망 담당 인력 대부분 정리 해고머스크 "전기차 충전소 완만한 속도로 추진할 것"


해외 직구 특송화물 연간 600만 건 처리 기대막대한 예산 들였지만 X-Ray 1세트 멈춰 있어


알리익스프레스, 국내 쇼핑앱 순위 2위 등극정부, 연초부터 대책 마련 나섰지만 조사만 지속


일본 정부, '스타트업 육성 5개년 계획' 추진은행, 기관들도 잇따라 투자, 스타트업에 쏠리는 뭉칫돈국내 스타트업 39% "일본 시장 진출했거나 고려 중"
JP_Startup_PE_20240424
일본 정부가 스타트업을 미래 성장동력으로 정하고 파격적인 지원책을 쏟아내는 가운데 현지 은행 및 글로벌 벤처캐피털들의 자금이 스타트업으로 모이고 있다. 일본 정부가 외국인 창업 규제도 완화함에 따라 한국 스타트업들의 일본 진출도 증가하고 있다.
30대 이하·40대 비율 하향세
50대 이상 당첨자는 매년 증가
가점 불리 및 분양가 부담 지적
property_PE_20240423
청약 당첨자 가운데 50대 이상 장년층 비율이 거듭 늘어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령대의 비중은 2021년 이후 매년 증가 추세로 올해는 더 큰 폭으로 상승했다. 여기에는 높은 분양가에 부담을 느낀 젊은층이 청약시장보다 급매물이 나오는 기존 부동산 시장으로 이동한 영향이 작용한 것으로 분석된다.
산업은행, 금융채권자 설명회 개최 태영건설 기업개선계획 등 논의금융지원 시 경영정상화 가능 전망
taeyoung_PE_20240419
태영건설 여의도 사옥/사진=태영건설
태영건설의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사업장 가운데 브릿지론 단계에 머물러 있는 사업장 10여 곳이 정리될 전망이다. 태영건설의 주채권은행인 산업은행은 워크아웃(기업구조개선)을 진행 중인 태영건설 기업개선계획이 이행되면 내년부터 안정적으로 유동성을 확보할 수 있을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임원 주 6일 근무제, 전자 계열사로 확대반도체 실적 부진에 노조 리스크까지임원진 위기 의식 공유하자는 취지
samsumg_001_20240418
삼성전자 본사 전경/사진=삼성전자
삼성그룹 모든 계열사 임원들이 이르면 이번 주부터 ‘주 6일 근무’를 시작한다. 삼성전자 등 주력 계열사의 실적이 예전만 못한 상황에서 환율, 유가 등 경영 환경의 불확실성이 커지자 사실상 ‘비상경영 체제’에 돌입한 것이다. 여기에 최근 노사 간 임금협상이 결렬되고 양측 의견이 좁혀지지 못하면서 창사 이래 처음으로 파업 위기에도 직면했다.
차이나모바일, 연내 5G 어드밴스드 상용화 선언5G 어드밴스드 시대 임박, 기술 리더는 '화웨이'자동차 공장에도 적용, 무선 자동화 시대 앞당긴다
5G-Advanced_20240417
사진=차이나모바일 홈페이지
중국이 차세대 이동통신기술 5G 어드밴스드(5.5G) 연내 세계 최초 상용화를 선언했다. 미국을 중심으로 6G 개발에 박차를 가하고 있는 가운데 중국이 5G 시장의 주도권을 지키는 데 집중하고 있는 모양새다.
‘똘똘한 한채’ 선호 현상에 빌라는 찬밥 신세"전셋값 밑으로 내놔도 안 팔린다" 무너지는 빌라 시장대항력 있어도 진퇴양난, 결국 막대한 손실 HUG가 안아
property_auction_001_20240415
수도권 아파트 매맷값이 상승 추세로 돌아섰고 서울 아파트는 전고점을 넘보는 단지가 나왔지만 빌라 시장은 연일 악화일로를 걷고 있다. 2022~2023년 전세사기와 역전세 등으로 초토화됨에 따라 거래가 끊기면서 전세가와 매매가가 동시 내림세다. 경매 시장에서도 낙찰률이 10%대로 주저앉았다. 빌라 소유자들은 “아무도 찾지 않고 가격은 계속 내려가는 최악의 상황으로 가고 있다”면서 “빌라 시장을 정상화해 달라”고 호소하고 있다.
방중 美 재무 장관, 러시아-우크라 전쟁 관련 경고"中 은행, 러에 군수품판매 지원 시 제재받을 것""배터리,태양광패널 지원이 미국 등 신산업 파괴" 비판도
Yellen_PE_20240409
재닛 옐런 미국 재무부 장관/사진=미국 재무부 홈페이지
중국을 방문 중인 재닛 옐런 미국 재무장관이 중국 금융기관이 러시아 전쟁을 지원할 경우 제재를 단행하겠다고 밝혔다. 또한 리창(李强) 국무원 총리를 만나 중국의 과잉 생산 문제를 재차 제기하기도 했다.
SK네트웍스, 계열사 매각으로 현금확보 나서사업 유지 비용 투입 불가피 및 업황 영향 커실적 늘어도 금리 인상 탓에 이자비·부채비율↑
sk_rent_20240408
사진=SK렌터카
SK네트웍스가 계열사 SK렌터카 매각을 추진한다. 이를 위해 복수의 사모펀드(PEF)와 접촉한 것으로 알려졌다. SK렌터카의 실적 호조세에도 미래 신사업에 집중하기 위해 이 같은 결단을 내렸다. 다만 현금이 아쉬운 현 상황에서 SK렌터카 매각은 계륵과도 같은 상황이라는 분석이 나온다.
중국 제치고 아시아 주요 거점으로 자리매김한 인도현대차·기아 인도 합산 순이익, 3년간 3,100억원씩 증가현지 상장 추진도, '역대 최대 규모의 공모 사례' 전망
hd_india_20240405
현대차 인도법인 전경/사진=현대자동차그룹
인도가 중국을 제치고 현대차·기아의 아시아 주요 거점 자리를 꿰찼다. 현대차의 중국 시장 내 사업 부진으로 충칭, 창저우 공장 등 현지 공장의 철수가 이어지고 있는 가운데 인도법인(HMI·KIN)은 실적 경신을 이어가고 있기 때문이다. 또한 3% 초반이던 순이익률을 3년 만에 7% 중반대로 끌어올리면서 수익성 개선에도 성공했다.
농림축산식품부 ‘과수산업 경쟁력 제고 대책' 발표
스마트과수원·신규 산지 육성해 사과 50만톤 이상 생산
“햇과일 출하 전까지는 가격 강세 지속” 전망
mafra_apple_02_20240402
박수진 농림축산식품부 식량정책실장이 1일 정부세종청사 농식품부 기자실에서 과수산업 경쟁력 제고 대책을 발표하고 있다/사진=농림축산식품부
정부가 잡힐 듯 확 잡히질 않는 사과·배 가격을 안정화시킬 단기대책과 중장기 계획을 함께 내놨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