입력
수정
김동선 부사장, 파라스파라 서울 인수 검토 중 프리미엄 버거 '파이브가이즈' 투자 실패 만회 가능할까 "형제가 나란히 마이너스의 손" 김동관 부회장도 비판 직면

김동선 한화갤러리아 미래비전총괄 부사장이 한화호텔앤드리조트를 통해 5성급 리조트 인수를 추진 중이라는 소식이 전해졌다. 직접 지휘한 식음료(F&B) 사업 부문 투자가 실패로 돌아가자, 손실 만회를 위해 또 다른 베팅에 나선 것이다. 시장은 김 부사장이 이번 투자를 통해 '마이너스의 손(뭐든지 실패하는 사람을 빗대는 속어)'이라는 오명을 벗을 수 있을지 이목을 집중하고 있다.
김 부사장의 새로운 베팅
22일 호텔업계에 따르면, 최근 한화호텔앤드리조트는 서울 강북구에 있는 5성급 리조트 '파라스파라 서울' 인수 가능성을 검토하고 있다. 시장에서 예상하는 인수 가격은 2,000억원대이며, 인수 대상은 시행사인 정상북한산리조트 지분 100%다.
김 부사장이 파라스파라 서울 인수를 추진하는 것은 서울권 프리미엄 숙박 포트폴리오가 부재하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한화호텔앤드리조트의 숙박시설 포트폴리오는 대부분 서울 외 지역에 집중돼 있다. 한화호텔앤드리조트는 지난해부터 제주 애월과 통영에 조 단위 관광단지 신규 개발 사업 계획을 발표하고 관련 투자를 단계적으로 집행하고 있다. 올해 초에는 인천시 대규모 테마파크 조성 사업 계획을 발표하며 공격적 사업 확장 의사를 표명하기도 했다. 2024년 기준 리조트는 설악, 용인, 거제, 제주 등 전국 12곳에서 운영 중이다.
반면 서울 숙박시설 포트폴리오는 서울시청 인근에 위치한 더플라자 호텔뿐이다. 그마저도 노후화한 시설과 인프라 경쟁력 저하로 인해 주변 특급 호텔에 밀린다는 평가를 받고 있고, 객실 예약도 내년 3월까지만 가능해 일각에선 폐업설까지 제기되는 상황이다. 파라스파라 서울이 더플라자 호텔을 대체할 전략 자산으로 부상할 것이라는 관측에 힘이 실리는 이유다. 다만 파라스파라 서울 인수설과 관련해 한화호텔앤드리조트 측은 “인수 검토만 했을 뿐 정해진 것은 없다”며 “더플라자 호텔 영업 종료도 사실무근”이라고 밝혔다.

가라앉는 파이브가이즈
김 부사장이 호텔·리조트 사업에 힘을 싣는 배경에는 외식업 등 타 사업 부문의 부진이 있다. 특히 한화갤러리아의 100% 출자 자회사이자 파이브가이즈를 운영하는 에프지코리아를 매각하기로 한 결정이 이번 인수전의 발화점이 된 것으로 보인다. 에프지코리아는 최근 매각 주관사로 삼일회계법인을 선정하고, 일부 사모펀드(PEF) 운용사에 투자안내서를 발송한 상태다.
파이브가이즈는 2023년 6월 김 부사장이 미국에서 직접 들여온 브랜드다. 김 부사장은 파이브가이즈 국내 론칭 전 홍콩에서 매장 운영 교육을 수료하고 출점을 직접 진두지휘하는 등 열의를 보였으나, 불과 2년 만에 사업체를 매물로 내놓게 됐다. 시장에선 본사에 지급하는 로열티, 마케팅 수수료 등 수익 구조의 비효율성을 철수 원인으로 꼽는다. 외형 성장과는 별개로 내실에 대한 불확실성이 지나치게 컸다는 분석이다.
국내 프리미엄 버거 시장의 치열한 경쟁 역시 악재로 작용했다. 최근 몇 년 동안 쉐이크쉑, 모스버거, 고든램지버거 등 프리미엄 버거 브랜드가 국내에 대거 진출하면서 파이브가이즈가 설 자리를 잃은 것이다. 이에 더해 소비 트렌드의 변화도 수익성 악화 배경으로 지목된다. 코로나19 엔데믹 이후 찾아온 불황으로 소비자들의 씀씀이가 줄어들며 프리미엄 버거 대비 가격대가 낮은 프랜차이즈 버거가 시장 수요를 흡수하기 시작했기 때문이다.
한화 일가 '손실 행진'
주목할 만한 부분은 김 부사장뿐만 아니라 그의 형제인 김동관 부회장 역시 투자 실패로 인해 자본시장과 업계 안팎에서 따가운 시선을 받고 있다는 점이다. 김 부회장의 대표적 실패 사례로는 미국 수소트럭 스타트업 니콜라(Nikola) 투자가 꼽힌다. 앞서 지난 2018년 한화에너지와 한화임팩트는 1억 달러(약 1,380억원)를 투자해 니콜라 지분 6.13%를 확보했다. 하지만 창업자 트레버 밀턴의 사기 혐의로 주가가 폭락하며 한화는 2023년까지 지분을 전량 매각했고, 막대한 손실을 떠안게 됐다.
김동관 부회장이 주도한 또 다른 대형 투자인 미국 폴리실리콘 제조사 REC실리콘 인수 역시 실패로 귀결됐다. 한화솔루션과 ㈜한화는 2022년 총 3,791억원을 투입해 REC실리콘 지분 33.34%를 확보했다. 해당 지분의 2024년 1분기 기준 장부가액은 348억원으로 인수 당시 대비 10분의 1토막이 났다. 한화솔루션은 투자금 2,423억원 중 92.78%를 잃었고, ㈜한화의 투자 원금도 87.4%가 손실됐다. 품질 인증 실패로 미국 워싱턴주 모지스레이크 공장이 가동을 중단하면서 사업 기반이 붕괴된 결과다. 한화는 REC실리콘을 100% 자회사로 편입하기 위해 1,270억원을 추가 투입할 예정이다.
이 밖에도 한화시스템이 2,000억원 이상을 투자한 미국 UAM(도심항공모빌리티) 업체 오버에어 역시 2025년 상반기 기준 순자산가치가 -1,880억원까지 미끄러지는 등 사업화에 실패했다. 478억원이 투입된 위성통신 벤처 카이메타도 2024년 기준 1,396억원의 순손실을 기록하는 등 좀처럼 힘을 쓰지 못하고 있다. 시장 곳곳에서 한화 일가는 ‘마이너스의 손’이라는 비판이 쏟아져 나오는 이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