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main content
‘소상공인 맞춤형 금융’ 출사표 잇따라
안정적 자금 조달 위한 발걸음 가빠져
건전성 논란에 인가 기준 강화 가능성도
internetbank_venture_20240226

케이뱅크와 카카오뱅크, 토스뱅크에 이은 네 번째 인터넷전문은행 설립을 위한 업체 간 경쟁이 본격화하는 양상이다. 재무 건전성이 승부를 가를 것으로 예측되면서 최대한의 자본을 확보하려는 물밑 작업이 한창인 가운데, 은행업 노하우를 갖춘 시중은행과 손을 맞잡으려는 움직임 또한 치열해지고 있다.

애플 '비전 프로'에 시장 점유율 빼앗긴 메타, 출구전략은 LG전자?
'하드웨어 약점' 메타와 '하드웨어 명가' LG, 양사 협력 시너지 기대감↑
일각선 불안감도, "결국 중요한 건 양사 간 '빈틈' 얼마나 채워줄 수 있는냐일 것"
MarkElliotZuckerberg_Meta_20240226
메타의 MR 헤드셋 '퀘스트3'를 착용해 보고 있는 마크 저커버그 CEO의 모습/사진=메타

마크 저커버그 메타 CEO(최고경영자)가 이번 주 방한해 조주완 LG전자 CEO와 확장현실(XR) 헤드셋 공동 개발·출시 전략을 협의한다.

구글 검색 엔진 독점 진실은, MS 빙 매각 실패도 연관 있나
'공정 경쟁' 강조하는 구글, 정작 업계 반응은 "글쎄"
애플에 있어 빙은 '협상 카드'?, MS "사실상 이용당한 셈"
MS_Apple_20240226
사진=마이크로소프트, 애플

마이크로소프트(MS)가 자사 검색 엔진인 빙(Bing)의 애플 매각을 타진했다 품질 문제로 거절당했다는 구글 측 기록이 공개됐다. 이에 일각에선 애플이 빙을 거부한 건 빙을 직접 사들이는 것보다 구글의 경쟁자로 두는 편이 더 큰 이익을 불러오기 때문이라는 반응이 나온다. 업계에선 이미 애플과 구글 사이 밀월관계가 기정사실화된 분위기도 포착된다.

챗GPT 활용에 수임료 '반토막', AI 활용 가능 범위는?
신뢰도 문제 해결 못한 AI들, '할루시네이션' 어떡하나
일반 사회서도 신뢰도 '저점', AI 산업 저변 넓히려면
chatGPT_VE_202402232(2)

미국의 한 변호사가 자신의 고액 수임료를 정당화하고자 오픈AI의 생성형 AI 모델인 챗GPT의 답변을 활용했다 법원의 비판을 받았다. 업무에 대한 수임료율을 가늠하는 척도로 신뢰도 문제가 있는 AI를 활용한 건 부적절했다는 것이다. '괘씸죄'가 적용돼서인지 수임료도 원래 받고자 했던 금액의 절반을 받는 데 그쳤다. AI 산업의 큰 장애물로 꼽혀온 할루시네이션 문제가 다시 한번 가시화됐단 평가다.

지난 2년간 계속된 실리콘밸리 정리해고 폭풍, 올해 더욱 가속화
성장에서 효율로 선회한 빅테크 선두로 국내 기업들도 인력 감축
장밋빛 미래 낙관에 규모 불렸지만, 엔데믹 전환되자 수익성 '뚝'
LAYoffs-VE-20240219

페이스북 모회사 메타의 마크 저커버그 최고경영자(CEO)가 최근 테크 기업을 중심으로 해고가 잇따르고 있는 이유에 대해 '효율성' 때문이라고 밝혔다. 코로나19 팬데믹 시절 당시 장밋빛 전망에 취해 과잉 채용했던 것에 대한 정상화라는 설명이다. 실제로 최근 들어 메타를 비롯해 마이크로소프트(MS), 아마존, 구글 등 글로벌 빅테크 기업은 물론 국내 IT 업계에서도 전방위적 인력 규모 확장을 멈추고 '선택과 집중' 기조로 전환하고 있다.

머스크, SNS 통해 스페이스X 법인 소재지 텍사스로 이전 발표
"테슬라도 법인 등록지 텍사스로 이전할 것" 주주 투표 실시
'제2의 실리콘밸리' 텍사스에 삼성전자, 애플 등 다수 기업 포진
Elon-Musk_X_VE_20240216-1
사진=일론 머스크 소셜미디어 X 계정 캡처

일론 머스크 테슬라 최고경영자(CEO)가 자신이 설립한 우주기업 스페이스X의 법인 소재지를 델라웨어주에서 텍사스주로 옮겼다. 테슬라에서 받기로 한 560억 달러(약 74조원) 스톡옵션 보상 약정이 델라웨어 주 법원에서 무효화되자 회사 이전으로 불만을 드러낸 것이다.

손잡은 네카오, 한국 최대 규모 블록체인 플랫폼 탄생
불안정성 위기 아래 침체기 접어든 암호화폐 시장, 결합이 동력 되살릴까
'쌍끌이 전략' 시사한 네카오, 오르내리는 비트코인 사이 안정 찾을 수 있나
KAKAONAVERCOIN_20240216

한국 최대 규모 블록체인 플랫폼이 탄생했다. 네이버 관계사인 라인과 카카오가 각각 개발한 블록체인 플랫폼의 통합을 결정하면서다. 두 플랫폼이 통합하면 시가총액 기준 약 1조5,000억원 규모의 블록체인 플랫폼이 출범하게 된다. 시장 활용성에 대한 고려 없이 '돈 놓고 돈 먹는' 수단으로 전락한 블록체인이 대기업의 손 아래 변화의 바람을 맞을 수 있을지 업계의 관심이 쏠린다.

마크 저커버그 메타 CEO, 인스타그램에 '비전 프로 체험기' 게재
"비전 프로보다 우리가 낫다" 메타 퀘스트에 대한 자신감 내비쳐
비전 프로 출시 이후 함께 주목받는 퀘스트, 시장 경쟁 시작됐다
apple_meta_vr_20240215

마크 저커버그 메타 최고경영자(CEO)가 애플의 MR(혼합현실) 기기 '비전 프로(Vision Pro)'에 대한 직접적인 견해를 밝혔다. 14일(현지 시각) 자신의 인스타그램 계정에 비전 프로와 메타의 VR(가상현실) 기기인 '메타 퀘스트3(Meta Quest 3, 이하 퀘스트3)'를 비교하는 영상을 게재, 메타의 퀘스트3이 한층 우월한 제품이라는 평가를 내놓은 것이다.

'가성비'로 먹고 살던 중국 제품, "이젠 품질도 안 밀린다"
삼성·LG 앞지르기 시작한 중국산, 로봇청소기 분야는 이미 중국이 '우위'
서비스센터 개설한 TCL, A/S 서비스마저 중국에 밀리나
TCL_115int_TV_115QM89_TCL_20240214
TCL이 공개한 115인치 괴물 TV '115QM89'의 모습/사진=TCL

그간 '가성비' 하나로 연명하던 중국산 TV가 글로벌 톱클래스에도 밀리지 않는 기술력을 선보이기 시작했다.

2023년 3월 이후 최대 해고 규모
“계절적 요인 아닌 전략적 측면 해고”
채용 정상화-업무 자동화 겹쳐, 일자리 추가 감소 전망
fired_venture_20240213

전 세계 빅테크 기업들이 생성형 인공지능(AI) 분야 투자를 늘리기 위해 기존 인력 재조정에 나서면서 올해 들어서만 3만 명이 넘는 근로자가 일자리를 잃은 것으로 드러났다. 업계는 기업들의 AI 투자 확대가 팬데믹 기간 이뤄진 과잉 채용을 정상화하려는 움직임과 맞물려 대규모 해고 가속화를 이끌 것이라고 내다봤다.

야심 차게 준비한 비전 프로, 정작 시장선 "단점 너무 명확해"
대응 앱 부족이 '치명적', 높은 가격은 '거들 뿐'
유튜브 앱 출시가 전환점, "하루빨리 콘텐츠 풀 늘려야"
비전프로_애플_20240123
애플의 MR 헤드셋 '비전 프로'/사진=애플

구글이 애플의 MR(혼합현실) 헤드셋인 비전 프로용 유튜브 애플리케이션을 제공하겠단 계획을 발표했다. 넷플릭스, 스포티파이 등 기업들이 비전 프로용 앱 개발에 소극적인 가운데 구글이 애플의 구원타자로 나선 것이다.

찬바람 몰아치는 IT 업계, 글로벌 빅테크까지 줄줄이 구조조정
빅테크 경쟁과 함께 급성장한 AI, 인간 빈자리까지 메꾼다?
중국 경기 침체로 빅테크 매출 직격탄, 새로운 성장이 고용 낳는다 
fired_venture_20240205

미국 IT 업계에 '구조조정 칼바람'이 몰아치고 있다. '초거대 시장' 중국의 침체로 글로벌 IT 기업의 매출이 줄줄이 급감하는 가운데, 위기를 감지한 기업들이 AI(인공지능) 등으로 인력 공백을 대체하며 다운사이징(downsizing)을 단행한 것으로 풀이된다. 업계 전반에 찬바람이 몰아치자, 일각에서는 IT 기업들이 새로운 '기회의 땅'을 찾아 나설 때라는 분석이 제기된다.

유튜브, 모바일 플랫폼 이용자 수 1위 등극
앞서 멜론 1위 자리도 유튜브에 내준 카카오
유튜브 다음 행보는 ‘라이브 커머스' 쇼핑업계 긴장
Youtube_venture_20240205

유튜브가 국내 앱(애플리케이션) 이용자 수에서 카카오톡을 제치고 처음 1위에 올랐다. 30대 이용자가 쇼츠로 강화된 유트브로 대거 유입되면서 변화가 생긴 것으로 풀이된다. 지난해 12월 유튜브뮤직이 멜론을 따돌리며 음원 플랫폼 시장에서 왕좌를 꿰찬 데 이어 이번엔 전체 앱 순위에서도 1위를 차지하자, 업계에서는 사실상 구글이 국내 앱 시장을 장악한 것이란 분석이 나온다.

'반짝' 초기 수요에 기대 샀던 비전 프로, 실제 사용해 보니 '애매'
콘텐츠 부족으로 실제 활용도 낮아, '공간 컴퓨팅' 매력 어필 실패
스마트폰도 출시 초기에는 외면받았다? 애플 차후 행보에 주목
vision_pro_apple_20240205
사진=애플

애플이 2014년 애플워치 이후 9년 만에 선보인 신제품 MR(혼합현실) 기기 '비전 프로(Vision Pro)'가 시장의 혹평에 휩싸였다. 출시 직후 시장 관심을 끌어모으는 데는 성공했지만, 초기 생태계 형성 및 콘텐츠 확보에 차질을 빚으며 이렇다 할 '매력'을 드러내지 못한 것이다.

‘네이버’ 지난해 매출 9조7,000억원, 영업이익 1조5,000억원
콘텐츠‧커머스가 호실적 견인, 커머스 매출 전년 대비 41’.4%↑
실적 발표 이후에도 주가는 주춤, 다만 증권가 전망은 ‘긍정’
NAVER_logo_VE_20240206

네이버가 연 매출 10조원 시대에 성큼 다가섰다. 지난해 콘텐츠와 커머스(상거래) 부문 매출이 큰 폭으로 상승하면서 매출과 영업이익이 역대 최대치를 기록했다. 다만 고금리 기조 장기화를 비롯해 생성형 인공지능(AI)의 도전 등 대내외 환경의 영향으로 주가는 소폭 상승에 그쳤다. 한동안 부진을 면치 못했던 네이버 주가가 다시 회복할 수 있을지 주목된다.

그레이엄 의원 "의도 없었어도 결과적으로 당신 손에 피 묻혀"
페북 아동 성착취 콘텐츠 논란, 저커버그 "피해 가족에 사과"
청문회 단골 손님 '빅테크 CEO'들, 표심 잡기 목적이란 지적도
meta_2019_venture_20240201
마크 저커버그 메타 CEO가 2019년 하원 청문회에 출석해 의원의 질문을 듣고 있다/사진=C-SPAN 생중계 캡처

페이스북 모기업인 메타의 마크 저커버그 최고경영자(CEO)가 온라인상 아동 폭력 피해 가족들에게 “사과드린다”며 고개를 숙였다.

출혈경쟁 속 깃발 꽂은 스테이지엑스, 최종 입찰액 '4,301억원'
재무 건전성 논란에도, "2024년엔 흑자로 턴어라운드할 것"
여전한 '승자의 저주' 우려, 스테이지엑스 역량은 어디까지?
stagefive_20240201
사진=스테이지파이브

스테이지엑스(스테이지파이브 주도 컨소시엄)가 5G 28㎓ 주파수 경매의 최종 승자가 됐다. 4,300억원의 거금을 쏟아부은 결과다. 경매 낙찰 소식에 스테이지엑스 측은 축배를 터뜨리는 분위기지만, 아직은 기대보다 우려가 더 큰 상황이다. 통신 3사가 사업성이 낮다는 이유로 포기한 주파수를 당시 가격의 두 배 이상을 주고 사들인 셈이기 때문이다.

리벨리온 등, 주력 제품 앞세워 대규모 투자 유치
글로벌 팹리스 시장 내 韓 기업 점유율 1% 미만
“‘파두 사태’ 잊었나, 기술 검증 선행돼야”
atom_rebellions_20240131
사진=리벨리온

얼어붙은 벤처투자 시장에서 유독 인공지능(AI) 반도체 팹리스 분야에 투자자들의 자금이 몰리는 모습이다. 전 세계 AI 반도체 수요가 지속적으로 증가할 것이란 시장의 기대감이 짙게 작용한 가운데, 지나친 낙관론에는 주의가 필요하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아마존-아이로봇, 시장 독점 우려 있어" EU 집행위 인수 불허
미국 FTC도 인수 반대, 단단한 규제 장벽에 결국 거래 불발
수년째 경영난 시달려온 아이로봇, 실적 침체 속 '생사의 기로'
amazon_irobot_20240130

유럽연합(EU)의 규제 장벽을 넘어서지 못한 아마존이 결국 청소기 제조사 아이로봇 인수 의사를 철회했다. 29일(현지시간) 아마존은 아이로봇 인수를 더 이상 추진하지 않겠다고 발표했다. 아이로봇 역시 규제 승인 문제로 인해 인수합병(M&A) 협상을 중단한다고 밝혔다. 수년간 이어져 온 협상이 수포로 돌아간 가운데, 경영난 속 1조9,000억원 규모 '빅딜'을 놓친 아이로봇은 순식간에 낭떠러지 끝까지 몰렸다.

테일러 스위프트 얼굴이 포르노에? 딥페이크 영상 일파만파
유명인 얼굴·목소리 덧입힌 딥페이크 콘텐츠, 곳곳에서 악용
일반인 대상 범죄부터 가짜 뉴스 생산까지, 제도적 울타리 시급
Taylor_Swift_deepfake_20240126

미국의 유명 팝 가수 테일러 스위프트(Taylor Swift)가 딥페이크 피해에 직면했다. 26일(현지시간) 테크크런치 등 외신은 최근 테일러 스위프트의 사진을 악용한 불법 딥페이크 포르노 영상이 X(옛 트위터) 등 SNS를 통해 확산하고 있다고 보도했다. 한 게시물은 삭제되기 전까지 2만4,000회가량 공유되며 4,500만 회 이상의 조회수를 기록한 것으로 확인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