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main content
DXVX 1차 유증 발행가액 1,368원 확정
전체 유증 규모 260억원으로 반토막
파이프라인 자금 축소, 추가 재원 조달 전망
DXVX TE 20240715 001

임종윤 한미사이언스 사내이사가 최대주주로 있는 디엑스앤브이엑스(DXVX)가 유상증자를 통해 계획했던 목표 자금 중 절반만 수혈하는 데 그칠 전망이다. 주가 하락세가 이어지면서 유증가액이 낮아졌기 때문이다. 이로 인해 주요 파이프라인들에 대한 연구개발(R&D) 지연도 불가피해졌다.

SK바이오, 코로나 팬데믹 이후 백신 수요 감소하며 실적 부진
기술력과 생산 거점 갖춘 기업과의 M&A 통해 영역 확장 추진
IDT 인수로 美 등 선진 시장 진출 발판, 글로벌 도약 단초 마련
bio money 20240627

SK바이오사이언스가 총 6,560억원 규모 기업가치로 평가받는 독일의 백신 생산 기업 IDT 바이오로지카(IDT Biologika GmbH)를 인수한다. SK바이오사이언스는 코로나19 팬데믹 당시 백신 위탁생산(CMO)으로 매출이 급증했지만, 엔데믹 이후 계약이 종료되면서 적자를 이어오고 있다. SK바이오사이언스는 이번 인수를 계기로 백신에 편중된 수익 구조를 개선하고 유럽과 북중미에 생산 거점을 확보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SK팜테코, 美 버지니아주 소재 공장 매각설 확산
인수자로 떠오른 '글로벌 인슐린 시장 1위' 노보노디스크
노보노디스크, 노스캐롤라이나주 등 美 현지 투자 확대
sk pharmteco 20240626
SK팜테코의 버지니아 생산 설비/사진=SK팜테코

SK그룹의 바이오의약품 위탁개발생산(CDMO) 계열사 SK팜테코가 미국 버지니아 공장을 글로벌 제약사 노보노디스크(Novo Nordisk)에 매각한다. 노보노디스크의 생산 시설 확충 움직임과 SK팜테코의 자산 효율화 시도가 맞물리며 논의가 빠르게 진전됐다는 전언이다.

산업바이오 투자 이어왔으나, GS칼텍스·GS에너지 매출 각각 17·16% 하락
재계 순위도 두 단계 하락, 1~10위 대기업 중 유일하게 공정자산 하락하기도
2022년 상장 시도 후 포기, 2년 만에 다시 상장 시도 중
4년 뒤 순익 추정치 100억원으로 목표가 산정
과거 4년 후 순익 추정치로 목표가 산정한 기술 특례 기업들 주가 1/4 토막 이하로 떨어져
파두 사건 이후 기술특례 상장에 대한 시장 비관론도 악영향

세포 유전자 치료제(CGT) 전용 배양배지 전문기업 엑셀세라퓨틱스가 4년 뒤 추정 실적을 근거로 기술특례상장에 도전한다. 엑셀세라퓨틱스의 4년 뒤 추정 실적은 100억 순익이다. 지난 2022년 상장 포기 후 누적 적자 속에서 공모 자금을 통해 완전자본잠식 상태를 벗어나려는 것으로 보인다.

11일 투자은행(IB) 업계에 따르면 엑셀세라퓨틱스는 지난 4일 정정된 증권신고서를 제출했다. 정정 사항에는 수요 예측 3주 연기와 함께 기업 가치 조정도 포함됐다. 엑셀세라퓨틱스가 기대하는 기업가치는 705억원에서 875억원 수준이다. 공모에 성공하면 엑셀세라퓨틱스엔 105억원에서 125억원의 현금이 유입된다.

롯데바이오, 2025년 완공 목표로 송도공장 착공
현금성 자산 700억원 그쳐, 모회사에 지원 요청
롯데건설, 플랜트 공사로 '캡티브 훈풍' 불까
Lottbio_001_TE_20240606
롯데바이오로직스 송도 메가플랜트 조감도/사진=롯데바이오로직스

롯데바이오로직스가 최근 국내 메가플랜트 착공에 돌입한 가운데 공사비 마련을 위해 자금 조달에 나섰다. 모기업인 롯데지주로부터 1,500억원의 자금을 추가 수혈하면서다. 바이오 사업에 방점을 두고 있는 그룹의 전폭적인 지원 아래 지금까지 받은 지원금만 5,700억원에 달한다.

수출 물질 반환에 주가 폭락한 큐라클, HLB도 FDA 승인 실패 악재
성과 부풀리기 등 '꼼수'에 얼룩진 바이오주, "투심 위축 당연한 수순"
지분 매각 본격화한 한미그룹, '급전' 마련 나선 이유는
매각 대상 지분 50%+α, 막판 쟁점은 경영권 보장 여부
바이오의약품 전환 계획에 자금 부족 가시화, '최종 결단' 내렸나
hanmiscience_TE_20240510

한미약품그룹 오너 일가가 스웨덴 발렌베리 가문 계열의 투자회사인 EQT파트너스에 50%가 넘는 한미사이언스 지분을 매각해 약 1조원을 확보할 예정인 것으로 알려졌다.

백신전문업체인 보령바이오파마가 세 번째 우선협상대상자를 선정한다. 현재 유진프라이빗에쿼티(유진PE)가 유력 후보자로 거론된다. 유진PE가 매각 금지 가처분을 제기한 기존 투자자들을 설득할 지 여부가 매각 성사의 관건이 될 전망이다.
한미약품그룹이 경영권 분쟁을 매듭지었다. 차남인 임종훈 사내이사는 송영숙 회장과 함께 한미사이언스 공동 대표로 올랐고, 장남인 임종윤 사내이사는 한미약품 대표를 맡을 예정이다. 이제 남은 건 임 형제가 언급했던 '바이오의약품 전환'을 얼마나 잘 이뤄내는가의 자기증명이다.
경영권 다툼 끝에 새롭게 이사진을 꾸린 한미사이언스가 오는 4일 오전 이사회를 열어 새로운 경영 체제 구축에 나선다. 시장에서는 상속세 해결 방안과 임원진 변동에 주목하고 있다. 증권 시장에서 제기되고 있는 오버행(잠재적 과잉 물량) 우려를 불식하고 경영권 분쟁으로 망가진 기업 이미지를 쇄신하는 일도 새 이사회가 해결해야 할 주요 과제다.
제과기업 오리온이 제약전문업체 레고켐바이오사이언스(레고켐) 최대 주주로 올라서면서 바이오 산업 교두보를 마련한다. 오리온그룹은 지난 1월 16일 발표한 대로 약 5,500억원을 투자해 레고켐 지분 25.73% 인수대금을 29일 납입할 예정이다. 레고켐 창업자인 김용주 대표이사 및 박세진 사장의 지분 3.85%를 약 787억원에 매입하며, 제3자 유상증자를 통해 기준가액 대비 5% 할증된 59,000원에 지분 21.88%를 약 4,700억원에 매입한다. 합계 25.73%를 취득해 최대주주로 등극하지만 김 대표를 비롯한 현 경영진의 운영시스템은 그대로 유지될 전망이다.
"9개월이나 심사 밀렸다" 피노바이오, 결국 상장예비심사 철회
파두 사태 등 변수로 심사 연달아 지연, 그동안 기업가치 변해
'코로나 거품' 붕괴하는 제약·바이오 시장, 기업가치 하락 불가피
bio_startup_IPO_20240214

항체-약물 접합체(Antibody-Drug Conjugate, ADC) 플랫폼 전문 바이오텍 기업 피노바이오가 코스닥 상장예비심사를 철회했다고 13일 밝혔다. 지난해 5월 상장예비심사 청구 후 '파두 사태' 등 대내외 변수로 심사가 지연되고 있는 가운데, 기업가치 평가절하 리스크를 고려해 철회를 결정했다는 설명이다. 한편 소식을 접한 업계는 이어지는 고금리 기조로 바이오 분야의 '거품'이 빠졌다는 점에 주목하고 있다.

뉴럴링크 개발 ‘텔레파시’ 첫 이식 
학문적 수준에 그쳤던 BCI, 2020년대 들어 비약적 발전
윤리적 문제 해소 및 안전성 확보는 과제로
neuralink_official_20240201
뉴럴링크의 뇌 이식 칩/사진=뉴럴링크

전기 자동차 업체 테슬라의 최고경영자(CEO) 일론 머스크가 인간의 뇌에 컴퓨터 칩을 이식하는 데 성공했다고 밝혔다. 이를 통해 생각만으로 컴퓨터나 스마트폰 등 복잡한 기기를 조작할 수 있다는 설명이다.

15일부터 야간·휴일 비대면 진료 초진 허용, 소비자 수요 몰렸다
급증한 주말 비대면 진료, 미비한 제도로 처방약 관련 혼란 이어져
의구심 거두지 않는 의료계, 비대면 진료 위험성 강조하고 나서
비대면진료-반대_v

비대면 진료 시범사업 확대의 효과가 본격적으로 나타나고 있다. 시범사업 확대 이후 첫 휴일이었던 지난 주말, 각 플랫폼에서 비대면 진료 예약 요청이 쇄도한 것이다. 20일 비대면 진료 플랫폼 '나만의닥터'를 운영하는 메라키플레이스는 15일부터 주말 사이 비대면 진료 접수 건수가 전주 동기 대비 6,700% 증가한 2,000여 건을 기록했다고 밝혔다. 잠들어 있던 소비자의 비대면 진료 수요가 입증된 가운데, 비대면 진료에 반대하는 의료계의 우려는 커져만 가고 있다.

'비침습성 산소포화도 측정기' 개발한 미국 의료기기 제조사 마시모
애플에 도용당한 '맥박 산소포화도 측정 기술', 특허 분쟁서 승소
韓 시장에 환자 관리용 의료기기 납품도, "매년 100%씩 성장할 것
1722-마시모-매출-추이

최근 애플의 인기 제품인 애플워치 시리즈9이 미국에서 판매 중단됐다. 애플워치에 포함된 '혈중 산소포화도 측정 센서'의 핵심기술을 두고 벌어진 미국 의료기기 제조사 마시모(Masimo)와의 특허 분쟁에서 패배한 데 따른 것이다. 이에 애플을 상대로 특허 지키기에 성공한 '마시모'에 업계 관계자들의 이목이 쏠리고 있다.

한 VC 관계자는 최근 비대면 진료가 재진 이후로 한정되면서 관련 스타트업들이 소형 개인 병원들의 디지털 전환 사업에도 관심을 보이고 있다고 답했다. 대형 병원들은 이미 상당부분 디지털화가 진행됐지만, 소형 병원들의 경우 여전히 외부 서비스에 의존할 수밖에 없는 상황에서 비대면 진료 서비스가 사실 상 중단되니 고민이 많아졌다는 것이다.
플랫폼 종속'을 우려하는 의료계가 비대면 진료 시장에 플랫폼 기업이 진입해서는 안 된다는 입장을 고수하고 있다. 보건복지부의 비대면 진료 플랫폼을 향한 '규제 드라이브'가 좀처럼 멈추지 않는 가운데, 일각에서는 '공공 플랫폼' 관련 논의까지 흘러나오기 시작했다.
대한민국 혁신 성장의 대표로 각광받던 국내 원격의료 산업이 붕괴 직전에 놓였다. 국내 비대면진료 플랫폼 업계 1·2위를 다투던 닥터나우와 나만의닥터가 이달 말 사실상 사업을 접기로 결정한 것이다. 이들은 정부의 제한적인 시범 사업으로 인해 사업을 접게 됐다고 말한다. 다만 일각에선 "비대면진료 플랫폼들이 자구 노력을 제대로 하지 않은 점이 스스로를 몰락시킨 것 아니냐"는 비판의 목소리도 나온다.
지난 3개월간 실시된 비대면 진료 시범 사업에 대해 의사·약사들은 부정적인 의견을 다수 갖고 있다는 점이 설문조사 결과를 통해 확인됐다. 비댇면 진료의 범위를 더욱 늘려 편의성을 제고해야 한다는 취지다. 다만 비대면 진료 시범 사업 확대에 대해선 찬반 논의가 뜨겁다. 비대면 진료 반대 측에선 '안전은 불편함을 수반한다'는 논리를, 찬성 측에선 '어디까지나 대면 진료 보완재로 정착할 필요가 있다'는 주장을 펼치는 모양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