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main content
전기차 보급대수 늘어났지만 충전 인프라 여전히 부족
공공 충전소에 공유차량까지 전기차 충전 시장 성장세
글로벌 완성차 업체, 국내 대기업, 스타트업의 '삼파전'
ev_20240506

전 세계 전기차 시장의 성장세가 둔화하고 있지만, 충전기 시장은 오히려 호황기를 맞고 있다. 오는 2030년 전기차 충전 시장이 6조원을 넘어설 것으로 전망되는 가운데 중소기업 영역이었던 충전 시장에 대기업들이 속속 뛰어들고 있다. 전기차 시장이 성장하는 것보다 충전 인프라 확충 속도가 더딘 상황에서 해당 시장을 선점하겠다는 의도로 풀이된다.

해외 직구 특송화물 연간 600만 건 처리 기대
막대한 예산 들였지만 X-Ray 1세트 멈춰 있어
60세 이상 경영자 31%, 상속세 부담에 매각·폐업 선택
특별법 제정해 '가업 승계'를 '기업 승계' 개념으로 확대
이통 3사 번호이동 담합 조사 마무리, 과징금 수조원대 추산
"방통위 지시 따랐는데 과징금이라니" 반발하는 이통 3사
지속 누적돼 온 통신업계 담합 사례, 수백억원대 과징금 부과도
mobile-carrier_20240430

공정거래위원회가 이동통신 3사(이하 이통 3사) 번호이동 담합 의혹에 대해 제시한 과징금 규모가 수조원에 달할 것이라는 전망이 제기됐다. 공정위가 집계한 번호이동 관련 매출 규모를 고려하면 상당액의 과징금이 부과될 수 있다는 분석이다. 한편 업계에서는 공정위와 방송통신위원회의 관련 법률 해석이 대립하고 있으며, 이로 인해 발생한 잡음이 시장 전반에 혼란을 야기하고 있다는 비판이 흘러나온다.

고금리·경기 침체 장기화에 공장 낙찰가율·낙착률 '뚝뚝'
경기 불황기 가시화, 한국 제조업 생산지수도 3.9% 하락
글로벌 제조업 경기도 악화 일로, "거시적인 대책 마련 필요한 시점"
down_factory_PE_20240429

고금리와 경기 침체가 장기화하면서 경매시장에 매물로 나온 공장이 늘었지만 수요 부족으로 매물 3건 중 2건은 주인을 찾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국내 제조업 산업이 전반적인 침체기를 겪고 있는 영향이 크다. 특히 최근엔 글로벌 제조업 산업도 부진을 겪고 있어, 업황 부진을 타개하고 공장 수요를 끌어올리기 위해선 국내외 산업 환경을 직시하고 보다 거시적인 정책을 타진할 필요가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삼성 반도체 공장 짓는 테일러에 국내 소부장 기업 동행
동진쎄미켐·솔브레인 등 핵심소재·부품·장비 공급 예정
지역 내 반도체 생태계 구축 위해 소부장 기업 유치전도
texas_20240426
미국 텍사스주 테일러시에 건설 중인 삼성전자 공장/사진=경계현 사장 SNS

삼성전자의 최첨단 파운드리(반도체 위탁 생산) 공장이 들어서는 미국 텍사스주 테일러시가 첨단 제조업의 허브로 급부상하고 있다. 미국 정부와 텍사스주가 대형 팹과 함께 반도체 소재·부품·장비(소부장) 기업들에 대한 유치전을 벌이고 있는 가운데 국내 기업들도 잇따라 미국 현지 진출을 본격화하고 있다.

알리익스프레스, 국내 쇼핑앱 순위 2위 등극
정부, 연초부터 대책 마련 나섰지만 조사만 지속
중국 시장 떠나 실적 개선하는 화장품 제조 업체들
K뷰티, 한류 열풍 확산하는 동남아시아 등지에서 인기
모델도 패키지도 바꾼다, 화장품 제조사의 '중국 지우기'
China-Exodus_20240426

K뷰티 대표 기업들이 수출 시장 다변화를 통해 중국 시장 의존도를 낮추면서 속속 '실적 턴어라운드'에 성공했다. 한류 열풍으로 K뷰티 제품 선호도가 높아진 가운데, 동남아시아·북미·일본 등 글로벌 뷰티 시장을 적극 공략하며 수요층 확대에 나선 결과다.

한주 소금 제조 공장에서 '작업자 사망' 중대재해 발생
국내 정제염 공급 책임지는 공장 가동 중단, 업계 '비명'
공장 가동 중단 장기화할 경우 정제염 가격 치솟을 수 있어
hanju_20240425
사진=한주

식품업계가 정제 소금(정제염) 부족으로 제품 생산에 난항을 겪고 있다. 국내 유일 정제염 공급업체가 중대재해 사고로 인해 열흘째 멈춰 서 있기 때문이다. 업계에서는 정제염 공급 중단 사태가 장기화할 경우 국내 식품업계 전반이 생산에 난항을 겪을 수 있다는 우려가 흘러나온다.

국내 가구업계 실적 악화 기조 본격화, 감원 이어져
빌트인 가구 담합하다 '931억원' 과징금까지 짊어져
미국 등 글로벌 가구시장에서도 정리해고·폐업 사례 속출
PE_LAYOFF_20240423

고금리·분양가 급등 등으로 부동산 수요 전반이 위축된 가운데, 국내 가구업계가 줄줄이 대규모 감원을 단행하고 있다. 전방 산업인 부동산 매매 시장이 얼어붙으며 실적이 급속도로 악화한 결과다.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드리운 경기 침체의 먹구름이 좀처럼 가시지 않는 가운데, 업계에서는 글로벌 가구업계 전반이 한동안 위기에서 벗어나지 못할 것이라는 우려가 흘러나온다.

국산 자리 꿰찬 중국산 게임들, 원인은 '규제'?
엄격한 규제 이어가는 중국, 업계 가로막는 장애물의 실체는
'한강의 기적' 끝났다
70년대 군사독재 시절 '정부 지원 기반 제조업 개발 전략' 수명 다했다는 지적
연이은 정책 실패로 인한 경제 성장 동력 상실, 저출산·고령화라는 인구문제로 돌아와
평준화 중심의 교육, 수학·과학 교육 방기로 교육 경쟁력 상실한 인재만 길러내고 있어
교육 시스템 회복에 수십년, 그 사이 한국이 글로벌 기술 선진국 될 가능성 낮다는 전망
Miracle_over_PE_20240422

파이낸셜 타임스(FT) 아시아판 지면에 '한강의 기적'이 수명을 다 했다는 지적이 나왔다.

윤석열 정부의 'R&D 효율화' 방침에, SW 업계 "타격 너무 심해"
일각선 "오히려 기회, 사업 세분화 등 단계적 정책 수렴 이뤄야"
산업은행, 금융채권자 설명회 개최 
태영건설 기업개선계획 등 논의
금융지원 시 경영정상화 가능 전망
taeyoung_PE_20240419
태영건설 여의도 사옥/사진=태영건설

태영건설의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사업장 가운데 브릿지론 단계에 머물러 있는 사업장 10여 곳이 정리될 전망이다. 태영건설의 주채권은행인 산업은행은 워크아웃(기업구조개선)을 진행 중인 태영건설 기업개선계획이 이행되면 내년부터 안정적으로 유동성을 확보할 수 있을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영화 티켓 부담금 폐지한 정부, 티켓값 인하까지 덩달아 추진
객단가 문제가 '발목',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정상화도 못 이뤄"
"대중 기대 못 맞추면 역풍 맞을 수도, OTT 시대에 티켓값 인하 효용 있나"
cinema_ticket_price_PE_20240418

정부가 영화 티켓 부담금(주말 상영 기준 약 500원) 폐지에 맞춰 영화 티켓 가격을 최대 1,000원 안팎으로 인하하는 방안을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사실상 상영관 측도 가격 인하에 동참하라는 취지로 풀이된다.

태영건설 PF 사업장 정리 시작, 자본잠식 해소 방안도 제시
자충수 둔 시공사 적지 않아, "업계 내부 리스크 관리 역량 필요해"
해수부 '해운산업 경영안정 및 활력제고 방안' 발표
2030년 '세계 탑4 친환경 해운국가' 도약 목표 제시
정부, 토종 음원 플랫폼에 가족 요금제 주문해
사실상 요금 인하 압박, 수익성 악화 우려 확대
유튜브 뮤직은 규제 사각지대에, 경쟁력 격차 벌어져
youtube_music_melon_20240415

정부가 멜론과 플로, 지니뮤직 등 주요 국내 음원 플랫폼 업체에 ‘가족 요금제’ 형태의 결합 요금제를 만들 것을 요구하고 나섰다. 계정 하나에 해당하는 구독료를 납부한 뒤 4~5명이 함께 이용할 수 있도록 조치하라는 주문이다. 이에 음원업계에서는 정부의 '가격 인하' 압박이 토종 업체들에만 향해 있다는 호소가 흘러나오고 있다.

금융위, '금융부문 망분리 TF' 1차 회의
개선 과제 적극 발굴, 후속 조치 신속 추진
AI·클라우드 기술 대응 어려운 낡은 규제 걷어낸다
Network_separation_001_PE_20240415

정부가 비(非) 전자금융거래업무를 처리하는 금융사 정보시스템을 망분리 의무에서 제외하는 방안을 추진한다. 아울러 이를 골자로 상반기 중 '금융부문 망분리 규제 합리화 방안'도 마련하기로 했다. 이는 생성형 인공지능(AI), 클라우드 등을 금융업무에 원활히 도입하기 위한 것으로 2013년 망분리 규제가 시행된 이후 가장 큰 규모의 규제 완화조치가 나올 것으로 예상된다.

IFRS17 연착 노리는 금융당국, 계도 기간 운영 등 혼란 방지책 추진
업계선 비판 여론 급증, "'오락가락'하는 당국 태도부터 고쳐야"
자율성 낮추고 세부 가이드라인 덧붙인 당국, "당분간 압박 이어질 듯"
IFRS17_PE_20240415

신회계제도(IFRS17)가 시행되면서 금융당국이 새로운 제도에 따른 혼란을 방지하기 위한 보험부채 평가 관련 가이드라인을 제시하는 등 조치를 추진한다. 보험업계의 신뢰를 제고할 수 있도록 감독과 지원을 병행하겠단 취지지만, 업계에선 "제도 안착을 위해선 금융당국의 처신 결정이 더 우선돼야 할 것"이란 비판이 나온다. IFRS17 도입 이후 금융당국의 갈팡질팡하는 모습으로 인해 보험업계가 적잖은 피해를 입은 탓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