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main content
김서지
seoji.kim@giai.org
매일같이 달라지는 세상과 발을 맞춰 걸어가고 있습니다. 익숙함보다는 새로움에, 관성보다는 호기심에 마음을 쏟는 기자가 되겠습니다.
저축은행과 시중은행 간 예금(수신)금리가 고작 0.1%포인트(p) 차이로 좁혀졌다.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리스크, 대출 연체율 상승 등 악재를 떠안은 저축은행들이 자금 운용 전략을 보수적으로 전환한 결과다. 
미국 백화점 업계가 쇠퇴하고 있다. 쇼핑 문화의 변화, 대형 할인 매장의 급성장 등 악재가 누적되며 백화점의 시장 입지가 좁아진 결과다. 이에 미국 최대 백화점 체인인 메이시스(Macy’s)는 인력 감축, 폐점 등 대규모 구조조정을 단행하며 활로 모색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
지난해 고용보험 가입자 수가 1997년 이후 역대 최저 증가율을 기록한 것으로 확인됐다. 경기 침체 장기화, 경제 불확실성 확대 등 악재가 누적되며 고용 시장 전반이 얼어붙은 것으로 풀이된다.
시중은행권에서 가산금리 인하 조짐이 감지됐다. 최근 들어 은행권 가계대출 잔액이 감소세를 보이는 가운데, 신한은행을 시작으로 금리 정책 전환 흐름이 본격화하는 양상이다.
미국 외국인투자심의위원회(CFIUS)가 일본제철과 미국 철강 기업 US스틸의 인수합병(M&A) 관련 시한을 연장하는 데 동의했다. 양 사가 인수 중단을 명령한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 등을 상대로 소송을 제기한 가운데, 법적 이의를 검토할 시간을 확보하기 위해 인수 계획 파기 기한을 조정한 것으로 풀이된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당선인의 경제 고문으로 활동할 스티븐 미런 백악관 경제자문위원회(CEA) 위원장 내정자가 동맹국에 강력한 관세를 부과할 필요가 있다고 주장했다. ‘안보 동맹’을 무기로 동맹국 대상 관세 압박을 본격화해 보호무역주의 기조를 강화하겠다는 구상이다.
미국이 뉴욕시 맨해튼 도심부로 진입하는 차량을 대상으로 혼잡통행료 부과 프로그램을 시행한다. 혼잡통행료 징수를 통해 자동차 통행량을 줄이고 시민들의 대중교통 이용을 유도, 교통 체증 문제를 해소하겠다는 구상이다.
국민연금이 최근 2개월간 인쇄회로기판(PCB) 생산 업체 이수페타시스 주식 200만여 주를 처분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수페타시스가 무리한 유상증자를 강행하면서 주가가 급락한 영향으로 풀이된다.
미국 이미지 게티이미지뱅크를 운영하고 있는 게티이미지홀딩스가 동종업체인 셔터스톡과 손을 잡는다는 소식이 전해졌다. 인공지능(AI) 이미지 생성기가 보편화하며 이미지 유통 사이트 수요가 감소하는 가운데, 합병을 통해 활로를 모색하겠다는 구상으로 풀이된다.
캐나다가 우라늄 생산 확대 드라이브를 걸고 있다.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이후 우라늄 공급 부족 우려가 가시화한 가운데, 자체적으로 생산량을 확대해 시장 주도권을 확보하겠다는 전략으로 풀이된다.
무안국제공항에서 발생한 제주항공 여객기 참사로 인해 항공권 예약 취소 건수가 급증하고 있다. 이에 따라 약 2,600억원에 육박하는 선수금을 보유하고 있는 제주항공은 대규모 현금 유출 리스크를 떠안을 위기에 놓이게 됐다.
미국 철강 대기업 US스틸 인수를 추진 중인 일본제철이 인수 승인을 위한 '강수'를 뒀다. 향후 US스틸의 생산 능력 축소 시 미국 정부가 거부권을 행사할 수 있도록 하는 방안을 제안, 안보 위협에 대한 우려를 일축한 것이다. US스틸 측 역시 매각 성사를 위해 꾸준히 목소리를 내며 반대 여론 진화에 힘을 싣고 있다.
'챗GPT' 개발사인 오픈AI가 영리 법인 전환을 추진하는 가운데, 실리콘밸리 곳곳에서 관련 의견이 충돌하고 있다. 일론 머스크 테슬라 최고경영자(CEO), 마크 저커머크 메타 CEO 등 주요 빅테크 기업의 수장들이 속속 오픈AI의 영리 법인 전환에 반기를 들며 잡음이 거세지는 양상이다.
미국 고용 시장의 근로자 수요가 점진적으로 줄어들고 있다는 분석이 나왔다. 2주 이상 실업수당을 신청하는 계속 실업수당 청구 건수가 3년 만에 최고 수준까지 치솟으면서다. 다만 근로자가 창출하는 부가가치를 측정하는 지표인 노동 생산성은 오히려 상승곡선을 그리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국내 석유화학 업계의 불황이 장기화하고 있다. 중국의 저가 물량 과잉 공급, 글로벌 경기 침체 등 악재로 인해 수익성이 악화한 결과다. 과거 조 단위 영업이익을 기록하며 우수한 실적을 자랑하던 4대 석유화학 기업(LG화학 화학 부문, 롯데케미칼, 한화솔루션 케미칼부문, 금호석유화학)의 실적도 줄줄이 미끄러진 것으로 확인됐다.
MBK파트너스가 과거 두산공작기계(현 DN솔루션즈)를 중국에 매각하려 했다는 최윤범 고려아연 회장 측 주장을 반박하고 나섰다. 중국의 기계 업체들이 인수에 관심을 보였던 것은 사실이나, 실제 두산공작기계를 인수한 것은 국내 우량 기업이라는 것이다. 시장에서는 MBK가 적대적 M&A에 대한 반감으로 국내 시장 여론이 악화하고 있다는 점을 고려해 적극적으로 해명에 나섰다는 평이 나온다.
중국의 인공지능(AI) 시장이 인재 부족으로 골머리를 앓고 있다. '생성형 AI 붐' 이후 중국 기업들의 AI 인재 수요가 폭증하는 가운데, 중국 내 AI 인재 다수가 해외로 이탈하며 고용 시장 불균형이 본격화한 것으로 풀이된다.
국제통화기금(IMF)가 비트코인의 위험성을 강조하며 엘살바도르에 관련 정책 축소를 주문했다. 엘살바도르는 세계 최초로 비트코인을 법정 통화로 인정한 국가로, 전략적으로 비트코인을 비축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진다.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가 내년 금리 인하 속도 조절을 시사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당선인의 취임이 목전까지 다가온 가운데, '관세 장벽' 등에서 발생할 금융 시장 충격을 고려해 관망세를 유지하는 양상이다.
미국의 핵융합 발전 전문 스타트업 코먼웰스퓨전시스템이 최초의 '상업용 핵융합 발전소' 건설 계획을 발표했다. 자체 소형 핵융합 장치 '스파크(SPARC)'를 활용, 2030년 완공을 목표로 상업용 핵융합 발전소를 구축하겠다는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