입력
수정
사우디아라비아와 아랍에미리트(UAE)가 인공지능(AI) 모델 개발을 위해 엔비디아의 고사양 그래픽처리장치(GPU) 칩을 대량 매입한 것으로 전해졌다. 최근 미국과 중국을 비롯한 주요 정보기술(IT) 기업들이 개방형 대규모언어모델(LLM)을 개발하기 위해 공급 부족 상태인 엔비디아의 AI 반도체 확보 경쟁을 벌이는 가운데, 중동 국가들도 생성형 AI 개발을 위한 인프라 확보에 본격적으로 나서고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사우디, AI칩에 ‘1억2,000만 달러’ 쏟아부어
14일(현지 시간) 파이낸셜타임스(FT)에 따르면 사우디는 킹압둘라대학(KAUST)을 통해 엔비디아의 최고급 AI 반도체 'H100' 칩을 최소 3,000개 구매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는 1억2,000만 달러(약 1,605억원)에 달하는 규모로, 주문 물량은 올해 말까지 사우디에 인도될 예정이다.
지난해 출시된 H100은 AI 개발의 핵심 부품으로 꼽히는 고성능 GPU다. 개당 가격은 4만 달러(약5,300만원)로 하위 버전인 A100보다 학습 속도가 9배 이상 빠르다. 과거에는 A100 약 1만 개가 오픈AI '챗GPT' 기반 모델인 GPT-4에 활용된 바 있다.
UAE도 엔비디아의 AI 반도체 확보 경쟁에 뛰어들고 있다. FT에 따르면 UAE는 최근 자체 개발 중인 개방형 LLM인 '팰컨(falcon)'의 성능 향상을 위해 엔비디아 반도체 수천 개를 확보한 것으로 알려졌다. UAE는 이미 2017년부터 세계 최초로 AI 전담 부처를 설립하고, 관련 분야를 선도하기 위한 노력을 지속해 왔다. UAE 산업개발국 관계자에 따르면 이번 AI칩 구매는 정부가 주도하는 LLM모델과 클라우드 서비스 개발에 활용될 계획이다.
FT는 두 석유 부국의 이 같은 행보를 두고 “전 세계 기업들의 엔비디아 칩 확보 전쟁에 뒤처지지 않기 위한 판단에서 비롯됐다”고 평가했다. 특히 최근 텐센트, 알리바바, 바이두, 바이트댄스 등 중국 4대 빅테크는 미국의 대중 반도체 수출 규제 항목에 아직 포함되지 않은 고성능 칩을 선점하기 위해 내년까지 50억 달러(약 6조6,975억원)에 달하는 엔비디아 반도체 주문 계획을 발표한 바 있다.
글로벌 IT 시장의 허브로 부상 중인 ‘중동’
전 세계에서 평균 연령이 가장 낮은 중동은 새로운 주요 IT 시장으로 떠오르고 있다. IT 산업과 관련된 국제 전시회와 포럼이 매년 개최되고 있다는 점도 이를 대변한다. △UAE의 GITEX △사우디의 LEAP, BIBAN △이집트의 Cairo ICT △터키의 Mobile Fest 등은 IT 관련 최신 기술을 소개하고 자국의 IT 산업을 홍보하는 중동의 대표적인 국제 전시다.
현재 사우디와 UAE를 필두로 중동 국가들은 국가 차원에서 교육, 물류, 헬스케어, 공공 영역 등의 분야에서 디지털 전환을 추진 중이다. 작년 중동 국가의 IT 관련 예산 규모는 총 133억 달러(약 17조8,153억원)로, 2021년 대비 IT 서비스와 소프트웨어 부문에서 각각 9.6%, 8.0%씩 예산이 증가했다.
중동의 IT 분야 성장은 앞으로도 더욱 가파를 것으로 보인다. 특히 중동에서 가장 중요한 IT 및 통신 시장으로 평가받는 사우디는 지난 2019년부터 2만5천개의 ICT 관련 직업을 창출하고 IT 기술 개발을 전폭 지원하는 ICT 전략을 도입해 왔다. 특히 ICT 기술을 기반으로 하는 '비전 2030', '네옴시티' 등 정부 주도의 거대 프로젝트까지 진행되고 있는 만큼, 앞으로도 IT 산업에 막대한 자금이 지속 투입될 것으로 기대된다.
UAE 역시 정부 주도로 IT 산업 경쟁력 강화를 위해 나선 국가 중 하나다. UAE는 1999년 정부 주도로 두바이 인터넷 시티, 두바이 실리콘 오아시스, 자유무역지대 등을 설립해 ICT 산업을 전문으로 하는 산업 클러스터를 구축해 왔다. UAE 산업개발국 관계자에 따르면 향후 2026년까지 IT 산업 내 클라우드 컴퓨팅 분야에 최대 10억 달러(약 1조3,420억원)의 추가 투자가 이뤄질 예정이다.
지금 중동은 ‘석유 없는 미래’ 준비 중
미국산 셰일 가스의 점유율 상승, 유럽의 친환경 에너지 전환 운동 등에 따라 중동산 석유의 영향력이 갈수록 줄어들고 있다. 최근 이러한 에너지 시장의 변화에 따라 중동 국가들도 ‘석유 없는 미래’를 준비 중이다.
현재 중동에선 ICT 산업 외에도 다양한 산업군에 대한 투자가 지속되고 있다. 우선 사우디에선 빈 살만 왕세자의 문화 개방 정책을 통해 국가 전반 개혁이 진행되고 있다. CNN 등 외신 보도에 따르면 지난해부터 사우디 문화부는 음악·연극·영화 등 문화 예술과 관련한 11개 분야를 관리 감독하면서 문화 생태계 개발을 위한 변혁을 주도하고 있다.
전통적 문화 산업 외에도 게임이나 메타버스, 대체불가능토큰(NFT) 등 신사업에 대한 개혁도 진행 중이다. 특히 왕세자는 직접 게임사 인수에 나서는 등 게임 콘텐츠에 대한 관심을 드러낸 바 있으며, 그가 운영하는 국부펀드 퍼블릭인베스트먼트(PIF)도 지난해 엔씨소프트와 넥슨 등 국내 게임 관련 주식에 대규모 자금을 투자했다.
중동 내 문화 산업에 대한 적극적인 개혁 붐이 일어나면서 국내 기업들도 다양한 기회를 잡을 것으로 보인다. 특히 전문가들은 'K-콘텐츠'를 기반으로 문화 강국으로서 위상이 높아진 지금이 기회라고 말한다. 이러한 분석대로 이미 국내 게임사와 엔터기획사들은 일찍이 중동의 정부 부처들과 양해각서(MOU)를 체결하는 등 중동시장 진출을 위한 기반을 마련하고 있다. 사우디의 네옴시티 프로젝트가 본격 가동되고 UAE가 지식기반산업을 차세대 주력산업으로 추진하는 상황에서 더 많은 국내 기업이 제2의 도약을 할 수 있길 기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