입력
수정
삼성SDI, 제너럴모터스와 합작 법인 설립 본계약 체결
하이니켈 배터리 생산으로 시장 경쟁력 확보 노리나
'전기차 캐즘' 속에서도 흔들리지 않는 북미 시설 투자 의지
삼성SDI와 제너럴모터스(GM)가 미국 내 전기차 배터리 합작 법인 설립을 확정했다. 전기차 시장을 덮친 캐즘(일시적 수요 둔화) 현상으로 인해 경쟁사가 줄줄이 투자 규모를 줄여나가는 가운데, 오히려 선제적인 설비 투자를 진행하며 북미 시장 내 영향력 확보에 힘을 쏟는 양상이다.
삼성SDI-GM 합작 법인 설립 본격화
28일 삼성SDI는 GM과 미국 내 전기차 배터리 생산을 위한 합작 법인 설립 본계약을 맺었다고 밝혔다. 지난해 3월 메리 바라(Mary Barra) GM 회장과 최윤호 삼성SDI 대표이사(사장)가 합작 법인 설립 업무협약(MOU)을 맺은 이후 약 1년 반 만이다. 합작 법인은 인디애나주 뉴칼라일의 277만㎡(약 84만 평) 규모 부지에 설립될 예정이다.
총투자 금액은 35억 달러(양사 합계, 약 4조6,767억원)이며, 삼성SDI의 지분율은 50.01%다. 삼성SDI는 합작 법인에 오는 10월부터 2028년 3월까지 총 17억3,200만 달러(약 2조2,930억원)를 투자할 예정이다. 합작 공장의 목표 양산 시기는 2027년, 초기 생산 규모는 연간 27GWh(기가와트시) 수준이며, 향후 증설을 거쳐 36GWh까지 확대될 예정이다. 생산한 배터리는 GM 전기차에 탑재된다.
양사는 앞으로도 시장 상황을 예의주시하며 전략적인 협력을 이어가겠다는 방침이다. 바라 회장은 “삼성SDI와의 합작 법인은 미국 전기차 시장 혁신을 주도하려는 GM의 확고한 의지를 보여주는 것”이라며 “전기차 시장과 GM의 전기차 판매는 계속 성장할 것”이라고 말했다. 최 대표는 “삼성SDI만의 초격차 기술력을 담은 배터리 제품으로 GM이 전기차 시장 리더십을 강화하는데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고부가가치' 하이니켈 배터리 생산 예정
삼성SDI와 GM의 합작 법인에서 제조하는 배터리는 니켈·코발트·알루미늄(NCA) 양극재 기반 고성능 하이니켈 각형 배터리다. 하이니켈 배터리는 알루미늄을 사용해 제조한 배터리로, 니켈·코발트·망간(NCM) 양극재 등 여타 삼원계 배터리 대비 에너지 밀도가 높다는 특징이 있다. 한 완성차 업계 관계자는 "하이니켈 배터리는 중국산 저가 리튬인산철(LFP) 배터리 공세 속에서도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는 고부가가치 제품"이라며 "삼성SDI 역시 하이니켈 배터리 양산에 속도를 내고 있는 것으로 알고 있다"고 전했다.
실제 삼성SDI는 이전부터 니켈 공급망 확보를 위해 움직이며 하이니켈 배터리 개발에 대한 열의를 드러내왔다. 올해 연초 '캐나다니켈'의 주식 8.7%를 1,850만 달러(약 245억원)에 인수하는 계약을 체결한 것이 대표적인 예다. 캐나다니켈은 캐나다 소재 광산 기업으로, 현재 캐나다 온타리오주 동부에서 진행 중인 니켈 광산 프로젝트 '크로퍼드' 지분 10%를 1억500만 달러(약 1,405억원)에 매입할 권리를 취득한 상태다.
이외로도 삼성SDI는 현대자동차가 유럽 시장에 출시할 차세대 전기차에 최신 각형 배터리 제품인 'P6(니켈 함량 91%)'을 2026년부터 2032년까지 공급할 예정이다. 삼성SDI는 P6에 실리콘 소재를 적용해 리튬 이온 층간 삽입이 용이하도록 음극을 개발했으며, 전극 내 리튬 이온 이동 경로를 단축해 최적의 설계를 이뤄냈다. 아울러 저항 성분 분포를 균일화함으로써 급속 충전 기술을 구현해냈다.
삼성SDI의 공격적 설비 투자
삼성SDI는 GM과의 합작 법인 설립 이외 북미 지역 생산 기지 확대에도 힘을 쏟고 있다. 현재 삼성SDI는 미국 인디애나주 코코모시에에서 스텔란티스와의 전기차 배터리 합작사 스타플러스에너지(StarPlus Energy) 1공장(연산 33기가와트시(GWh) 규모)을 건설 중이며, 같은 지역에 스타플러스에너지 2공장(연산 34GWh) 신설도 추진하고 있다. 삼성SDI는 기존 2025년 1분기 완공 예정이었던 1공장을 11월 초부터 조기 가동하는 안을 검토 중인 것으로 전해진다.
지난 3월에는 삼성SDI가 북미 자체 공장 설립을 추진하고 있다는 소식이 전해지기도 했다. 당시 최 대표는 정기 주주총회 이후 기자들과 만나 경쟁사 대비 미국 생산능력이 적다는 질의에 대해 "지속적으로 시장이 성장할 것으로 전망된다"며 "합작 법인을 확대할 예정이고, 단독 공장도 준비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에 업계에서는 지금까지 단독 공장 없이 완성차 기업과의 합작만을 준비해오던 삼성SDI가 '노선 전환'에 나섰다는 평이 나온다. 다만 단독 투자 시기는 아직 확정되지 않은 상태다.
이에 대해 한 전문가는 "삼성SDI가 전기차 캐즘 속에서도 공격적인 생산 설비 투자를 이어가고 있다는 점이 눈에 띈다. 경쟁사들은 시장 침체를 우려해 오히려 투자를 줄이고 있는 상황"이라며 "(삼성SDI가) 북미 지역 시장의 성장 가능성을 고려해 선제적인 투자를 이어가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고 평가했다. 실제 삼성SDI는 올해 상반기에만 이미 지난해 대비 2배 수준의 투자를 단행, 시장에서의 존재감을 꾸준히 키워가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