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 종합 마케팅 기업 FSN의 자회사 핑거랩스가 40억원 규모의 시리즈 A 투자를 유치했다. 핑거랩스는 투자를 통해 확보한 자금을 바탕으로 글로벌 시장 진출과 NFT(대체불가토큰) 생태계 확장을 더욱 가속할 방침이다. 핑거랩스에 투자를 단행한 기업들이 모두 글로벌 블록체인 시장에서 나름의 경쟁력을 지닌 기업들인 만큼 큰 시너지가 발휘될 것으로 기대된다.
볼보자동차그룹이 자사의 벤처 투자 조직인 볼보 테크펀드를 통해 인공지능 스타트업 ‘코액션즈(CorrActions)’에 600만 달러(약 80억원) 규모의 투자를 진행한다고 25일 밝혔다. 이번 투자는 차세대 안전 기술을 개발하기 위한 전략적 투자의 일환으로, 볼보는 “코액션즈가 보유한 탐승자 인지 상태 감지 등의 안전 기술을 통해 운전자가 운전에 더욱 집중할 수 있도록 돕고, 충돌 사고의 위험을 줄여 궁극적으로 충돌 사고가 더 이상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고 설명했다.
프롬프트 엔지니어에 대한 미래를 두고 ‘한 철 장사’라는 평가 등 업계 내 회의론이 불거지고 있다. 이들은 생성형 인공지능(generative AI) 기술을 활용한 서비스들의 대중화 가능성이 커짐에 따라 높은 연봉을 제시 받아왔지만, 생성형 AI의 자연어 처리와 이해도가 고도화될 거란 전망이 나옴에 따라 이들의 설 자리가 사라질 거란 주장도 제기됐다.
디지털 콘텐츠 번역 솔루션 전문기업 트위그팜이 10억원 규모의 프리시리즈 A 브릿지 투자를 유치했다. 트위그팜은 4개 분야 번역에서 구글의 번역기를 이기며 '구글을 이긴 한국의 스타트업'이라는 별칭을 얻었다. 그러나 트위그팜의 기술력은 여전히 모자라다. 트위그팜이 단순한 몽상가에서 멈춰설지 더 나아가 혁신가로 발돋움할 수 있을지, 앞으로의 미래는 온전히 트위그팜의 손에 달렸다.
알리익스프레스가 직접 한국 시장 진출을 자신 있게 선언할 수 있는 배경에는 이미 '광저우 옷'에 빼앗긴 동대문 시장이라는 속사정이 있기 때문이다. 5일 배송, 빠를 경우 3일 배송이 가능한 시점이 된 만큼, 이제 중간 상인조차 거치지 않고 직접 한국 소비자들에게 판매를 시도하겠다는 것이 '광저우 옷' 판매 선봉에 선 알리익스프레스 관계자들의 속내다.
로봇 공급자와 수요자를 이어주는 온라인 플랫폼 서비스 '마로솔(마이로봇솔루션)’을 운영하는 빅웨이브로보틱스가 98억원 규모의 시리즈 A 투자를 유치했다. 마로솔은 이번 투자를 통해 정보의 비대칭성이 있는 로봇 시장을 개척하기 위해 출시한 플랫폼 홍보와 로봇 대중화에 앞장서기 위한 점차적인 사업확장에 나설 것으로 보인다.
나우로보틱스가 40억원 규모의 시리즈 A 투자를 유치했다고 5일 밝혔다. 현재 나우로보틱스는 자동차 부품, 전자부품 제조에 사용되는 플라스틱 사출 로봇을 생산·판매하고, 직교·다관절·스카라 로봇 등 다양한 산업용 로봇 제품을 적용한 스마트 팩토리 솔루션을 공급하고 있다.
마이크로소프트(MS)가 '뉴빙(Newbing)' 서비스에 광고를 붙이기 시작했다. 당초 뉴빙은 상업화된 검색엔전 사이에서 새로운 대안이 될 수 있으리란 기대를 받고 있었다. 그러나 이젠 기존 포털보다 더 심하다는 평가가 나온다. 고작 출시 두 달 만에 광고 기능을 삽입한 탓이다.
중소기업 주요 지원 기관들이 중소기업의 ESG 경영을 지원하기 위해 스타트업 ESG 지수나 농어촌 ESG 지수 등 저마다 특화된 신규 지표를 신설하고 있다. 정부도 지난 2021년 ‘K-ESG 가이드라인’을 제시한 상황이지만, 업계에선 획일화되고 통일된 지표로 기업을 평가하기 어렵다는 지적이 꾸준히 제기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