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main content
유럽 '역대급 한파'에 가스 비축량 고갈, '에너지 리스크' 고조
Picture

Member for

2 months 3 weeks
Real name
남윤정
Position
기자
Bio
[email protected]
금융 산업에서의 경험을 바탕으로 정확하고 이해하기 쉬운 기사를 쓰겠습니다. 경제 활력에 작은 보탬이 되기 바랍니다.

수정

러·우크라 가스관 중단에 한파가 새로운 위기로
유럽 가스 비축량은 3개월 새 24%포인트 감소
노르웨이 LNG 설비까지 멈춰 가스 가격 오름세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으로 촉발된 공급망 교란에 역대급 한파가 맞물리면서 유럽의 가스 비축량이 급감하고 있다. 전력 수요가 급증한 상황에서 가스 재고가 줄어들자 가스 가격도 폭등했다. 유럽연합(EU) 차원에서 에너지 리스크 개선을 위해 미국, 카타르 등 공급망 다변화에 나섰지만, 당장의 위기를 해소하기에는 역부족이다.

올겨울 유럽 가스 가격, 2배 이상 치솟을 수도

8일(현지 시각) 영국 일간 텔레그래프는 "EU의 가스 비축량이 2018년 이후 가장 빠른 속도로 감소하고 있다"며 "고점과 비교해 약 25%포인트 줄었다"고 보도했다. 가스 비축량은 저장 시설 총용량 대비 현재 저장된 물량으로 산출하는데 올해 1월 초 유럽의 가스 비축량은 70% 수준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 기록한 86%보다 16%포인트 하락했다. 특히 지난해 10월 94.36%를 기록했던 저장량이 불과 3개월 만에 24%포인트나 줄어들면서 시장의 우려가 커지고 있다.

가스 재고 감소와 함께 역대 최고 수준의 한파가 닥치면서 가스 가격도 오름세를 보이고 있다. 기상예보에 따르면 이번 주부터 남유럽의 스페인에서 폴란드·우크라이나 등 동유럽까지 유럽 전 지역에 한파가 몰아칠 것으로 예상된다. 북유럽은 올겨울 기온이 평년보다 4도 이상 낮게 유지되면서 난방용 가스 수요가 급증했다. 골드만삭스는 이런 추세를 반영해 2025년 네덜란드 TTF 가스 선물 가격 전망을 MWh(메가와트시)당 34유로에서 40유로로 올렸다. 일부 전문가들은 84유로까지 치솟을 수 있다고 경고한다.

미국·노르웨이·카타르 등 수입국 다변화 모색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으로 인한 공급망 교란도 유럽의 에너지 리스크를 키우는 주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특히 올해 1일부터 우크라이나를 경유하는 러시아산 천연가스 운송 협정이 만료되면서 해당 가스관을 이용해 유럽으로 들어오는 러시아산 가스의 공급이 중단됐다. 지금까지 이 가스관을 통해 유럽으로 유입된 러시아산 가스는 EU 전체 가스 공급량의 5%(연간 420억㎥)에 이른다. 여기에 유럽 LNG 공급량의 5%를 차지하는 노르웨이 함메르페스트 공장마저 설비 고장으로 가동을 중단하면서 단기적인 가스 가격 상승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다.

가스 공급 여건이 악화하자 EU 집행위원회는 유럽 전역의 가스 공급에 차질이 없을 것이라고 지속적으로 강조하고 있다. 지난달 10일 집행위는 "가스조정그룹(GCG) 특별회의에서 상황 점검을 마쳤으며, 이에 따라 올겨울 에너지 공급에는 문제가 없음을 확인했다"고 밝혔다. 러시아산 가스 수입은 이미 연간 370억㎥까지 줄어들어 총수요의 4% 수준으로 쪼그라든 상태다.

현재 대체 경로로 독일, 이탈리아 등을 통해 비축분이 방출되고 있으며, 비축 저장시설 가동률은 72%로 동기 평균보다 높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 우크라이나의 가스관 차단으로 직접적인 영향을 받는 헝가리와 슬로바키아 등 일부 국가는 트랜스 발칸 가스관을 통해 튀르키예, 그리스, 루마니아에서 가스를 공급받는 방안을 고려 중이다. 장기적으로는 러시아산 가스에 대한 의존도를 낮추기 위해 미국, 노르웨이, 카타르 등에서 LNG 수입을 확대할 계획이다.

獨, 에너지 위기에 탈석탄 계획 속도 조절 나서

다만 이런 노력에도 불구하고 유럽 주요국의 상황이 당장 개선되기에는 한계가 있다. 올겨울 프랑스와 영국의 가스 비축량은 이미 50%대까지 떨어져 평년 수준인 75%에 한참 못 미친다. 특히 제조업을 비중이 높고 에너지 집약적 산업 구조를 가진 독일이 가스 가격 상승의 직격탄을 맞았다. 현재 독일의 가스 비축량은 78%로 일주일 새 4%포인트 하락했는데 전문가들은 봄과 여름에 재비축이 이뤄질 때까지 가스 비축량이 급격히 줄어드는 현상이 계속될 가능성이 높다고 전망한다.

더욱이 재생에너지의 비중이 큰 독일의 경우 지난해 '둔켈플라우테(Dunkelflaute)' 현상, 즉 바람이 약하고 구름이 짙어 태양광 및 풍력 발전량이 급감하는 기상 현상이 장기화하면서 전력 도매가격이 급등했다. 둥켈플라우테 현상이 시작된 지난해 11월 800유로(약 120만원)까지 뛴 전력 도매가격은 불과 한 달 새 1,000유로를 돌파했는데, 이는 2022년 에너지 위기로 전력 가격이 급등한 이후 최고치다. 골드만삭스는 "독일의 3월 말 비축량이 낮게 유지될 경우 다음 겨울을 대비한 재충전은 더욱 어려워질 것"이라고 경고했다.

독일 정부가 탄소중립 실현의 핵심인 탈석탄 정책을 두고 숨 고르기에 들어간 것도 이와 무관치 않다. 재생에너지를 보조하기 위한 유연성 전원 당장 가동할 수 있는 석탄 화력발전의 역할이 더욱 중요해졌기 때문이다. 앞서 독일 사회민주당·녹색당·자유민주당의 '신호등 연정'은 석탄 화력발전의 완전 퇴출 기한을 당초 계획했던 2038년에서 2030년으로 8년 앞당겼지만 최근 로베르트 하벡 독일 부총리 겸 경제기후보호부 장관은 "에너지 안보는 절대적 우선순위"라며 탈석탄 계획에 대한 속도 조절을 시사했다.

Picture

Member for

2 months 3 weeks
Real name
남윤정
Position
기자
Bio
[email protected]
금융 산업에서의 경험을 바탕으로 정확하고 이해하기 쉬운 기사를 쓰겠습니다. 경제 활력에 작은 보탬이 되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