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main content
현대건설 1조2,000억원대 적자 기록, 건설업계에 드리운 '어닝 쇼크'의 그림자
Picture

Member for

3 months 2 weeks
Real name
김서지
Position
기자
Bio
[email protected]
매일같이 달라지는 세상과 발을 맞춰 걸어가고 있습니다. 익숙함보다는 새로움에, 관성보다는 호기심에 마음을 쏟는 기자가 되겠습니다.

수정

현대건설, 업황 침체 등 악재 쌓이며 실적 '휘청'
주요 건설사 연간 실적 줄줄이 악화 전망
"시장 불확실성 커" 건설업 불황, 앞으로도 이어질 것
사진=현대건설

현대건설이 지난해 1조원 이상의 영업손실을 기록하며 적자 전환했다. 업황 침체 및 일부 해외 프로젝트 비용 증가로 인해 실적이 급격하게 악화한 것이다. 시장에서는 연간 실적 발표를 앞둔 건설사들도 줄줄이 '어닝 쇼크'를 기록할 것이라는 비관적 전망에 힘이 실리고 있다.

현대건설, 지난해 영업손실 1조원대

22일 현대건설은 지난해 연간 매출액이 32조6,944억원(잠정치) 수준으로 집계됐다고 밝혔다. 이는 2023년보다 10.3% 증가한 수치자, 지난해 연간 매출 목표인 29조7,000억원의 110.1% 수준이다. 현대건설은 이라크 바스라 정유공장, 샤힌 프로젝트 등 대형 현장의 공정이 순항 중인 가운데 올림픽파크 포레온 등 주택 부문의 실적이 반영되며 연간 누적 매출이 성장했다고 설명했다.

지난해 신규 수주 누계는 30조5,281억원으로 연간 수주 목표인 29조원의 105.3% 수준에 머물렀다. 현대건설은 국내 주요 주택 프로젝트인 대전 도안 2-2지구 공동주택 신축공사, 부산 괴정 5구역 재개발과 불가리아 코즐로두이 대형원전 설계, 사우디 자푸라 프로젝트 패키지2 등 고부가가치 해외 프로젝트를 통해 수주 잔고 89조9,316억원을 확보한 상태다.

다만 현대건설은 외형 성장에는 성공했으나 수익성은 확보하지 못했다. 지난해 현대건설은 1조2,209억원의 영업손실과 7,363억원의 당기순손실을 기록했다. 이와 관련해 현대건설 관계자는 “1조2,209억원 규모 영업손실은 대내외 경영 환경의 불확실성이 확대되고 고환율·원자재가 상승 기조가 지속되는 가운데, 현대엔지니어링의 해외 일부 프로젝트에서 발생한 일시적 비용 때문”이라며 “프로세스를 재점검하고 공정 관리를 강화해 수익 정상화에 박차를 가할 방침”이라고 말했다.

건설업계 '어닝 쇼크 릴레이' 전망

업계에서는 현대건설 외에도 '어닝 쇼크' 수준의 연간 실적을 발표하는 건설사가 속출할 것으로 보고 있다. 지난해 업황 악화로 인해 건설사들 실적이 줄줄이 무너졌기 때문이다.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에 따르면 지난해 3분기 누적 기준 상위 20대 건설사의 영업이익 총액은 3조2,821억원에 그쳤다. 이는 1년 전(4조4,677억원) 대비 26.5% 감소한 수준이다.

실적 악화의 주된 원인으로는 원가율 상승이 지목된다. 지난해 3분기 누적 기준 20대 건설사의 평균 매출 원가율은 92.4%로 2023년 말(91.6%) 대비 0.8%p 상승했다. 1,000만원의 매출이 발생했을 때 건설사 수중에 남는 돈은 사실상 75만원에 그친다는 의미다. 업계에서 보는 적정 원가율은 80%대다.

매출 원가율이 상승하자 건설사들의 재무 상황에도 빨간불이 켜졌다. 대한건설협회에 따르면 지난 건설업계의 이자보상비율은 2017년 707%에서 △2020년 577.99% △2023년 346% △2024년 3분기 205.35%로 급락했다. 이자보상비율은 기업이 영업이익으로 금융비용(이자 비용)을 얼마나 감당할 수 있는지 보여주는 지표다. 시장에서는 일반적으로 해당 비율이 150% 이하일 때 기업의 재무가 불안정해질 수 있다고 평가한다. 이자보상비율이 100% 이하로 떨어지면 기업은 대출금이나 기발행 회사채에 대한 이자 비용조차 감당할 수 없는 상태가 된다.

올해 업황 전망도 비관적

건설업계 실적 전반에 먹구름이 낀 가운데, 시장에서는 건설사들이 단기간 내 실적을 회복하는 것은 사실상 어려울 것이라는 분석이 나온다. 시장 불확실성이 확대되고 있는 만큼 당분간은 건설 경기 부진이 지속될 것이라는 시각이다. 우선 치솟는 환율이 시장 회복의 걸림돌이 될 가능성이 높다. 수입을 통해 원자재를 조달하는 건설업계에 있어 고환율은 사실상 '비용 상승'을 의미하기 때문이다. 22일 미국 달러화 대비 원화 환율의 주간 거래 종가(오후 3시 30분 기준)는 1,437.6원에 달했다.

도널드 트럼프 2기 행정부 출범으로 인해 미국 중앙은행인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의 기준금리 인하에 급제동이 걸렸다는 점도 악재다. 트럼프 대통령은 선거 과정에서 2025년 만료되는 '감세와 일자리법(TCJA)'을 연장하고, 법인세율을 15%까지 낮추겠다고 공약한 바 있다. 2017년 트럼프 1기 행정부와 의회가 통과시킨 TCJA는 법인세율을 35%에서 21%로, 소득세 최고세율을 39.6%에서 37%로 낮추는 내용을 골자로 한다.

세금 감면 시에는 세수 감소 및 재정 적자 확대로 국채 발행이 늘어나게 되며, 인플레이션 우려 역시 확대된다. 사실상 금리 인상이 필요한 환경이 조성되는 셈이다. 향후 미국의 금리 인하 시기가 늦춰질 경우, 한국은행이 미국과의 금리차를 최소화하기 위해 금리 조정 시기를 늦출 가능성도 있다. 이와 관련해 한 건설업계 관계자는 "통상 건설업은 프로젝트파이낸싱(PF)을 통해 자금을 조달하는 만큼 금리에 민감하게 반응할 수밖에 없다"며 "금리 인하 없이는 비용 절감도 어렵고, 얼어붙은 주택 시장 매수 수요도 살아나지 않을 것"이라고 짚었다. 이자 비용 부담과 주택 시장 침체 등 악재가 지속되며 업계 불황이 장기화할 것이라는 분석이다.

Picture

Member for

3 months 2 weeks
Real name
김서지
Position
기자
Bio
[email protected]
매일같이 달라지는 세상과 발을 맞춰 걸어가고 있습니다. 익숙함보다는 새로움에, 관성보다는 호기심에 마음을 쏟는 기자가 되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