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main content
中 제조업체들, 전기차 시장 포화에 ‘하늘 나는 자동차’ 주도권 경쟁 박차
Picture

Member for

6 months 4 weeks
Real name
김민주
Position
기자
Bio
[email protected]
기술의 발전으로 우리는 지금 정보의 바다에 살고 있습니다. 독자 여러분들이 표류하지 않도록, 정확한 정보만 골라 빠르게 전달하겠습니다.

수정

중국, 저고도 모빌리티 경제 본격화
지상 패권 넘어 공중 패권으로
2035년까지 5배 성장 전망

중국 자동차업계가 전기차(EV) 시장의 포화 상태를 넘어 '하늘을 나는 자동차'라는 새로운 영역에서 주도권을 잡기 위한 경쟁을 펼치고 있다. 중국 정부가 '저고도 경제'를 본격화한 가운데, 전기 수직 이착륙 항공기(eVTOL) 분야는 2030년까지 157억 달러(약 22조원) 규모의 수익성 높은 시장으로 성장할 것으로 전망된다.

中 주요 완성차 업체들, eVTOL 시장 선점 위해 적극 투자

15일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는 중국 최대 자동차 제조업체들이 중국 정부의 지원 아래 저고도 모빌리티 경제를 선도하기 위해 투자를 확대하고 있다고 보도했다. 전기차 기업 샤오펑(Xpeng)의 계열사인 에어로HT(AeroHT)는 지난주 중국 민용항공국(CAAC)에 첫 번째 비행차를 제작하기 위한 면허를 신청했다. 이에 앞서 중국 드론 기업 이항(Ehang)은 이미 승객용 저고도 항공 여행 서비스 면허를 취득한 상태다.

중국 본토에서 가장 오래된 자동차 제조업체인 FAW그룹의 자회사 훙치(Hongqi)를 비롯해 지리 오토모빌(Geely Automobile), GAC 그룹, 체리 오토모빌(Chery Automobile) 등 주요 완성차 업체들도 eVTOL과 드론 개발에 많은 자원을 투입하고 있다. 상하이의 엔젤 투자자 인란은 "최근 중국의 선도적인 자동차 제조업체들은 eVTOL 기술 발전을 과시하고, 미래를 위해 투자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중국의 저고도 경제는 지상 1,000m 미만에서 운항되는 항공기를 운영하는 산업을 의미한다. 이 분야는 도시 안팎의 항공 연결에 대한 중국 정부의 정책지원이 본격화된 2021년부터 성장 추세에 있다. 중국민용항공국(中国民用航空局)은 정책 지원과 기술 혁신, 투자 증가에 힘입어 중국의 저고도 경제 규모가 2024년부터 2035년까지 5배 이상 증가한 4,860억 달러(약 681조원)에 이를 것으로 전망했다.

배터리 기업들도 경쟁 합류

자동차 제조업체뿐 아니라 배터리 제조업체들도 eVTOL 시장을 겨냥한 첨단 배터리 개발 경쟁에 뛰어들고 있다. 업계 선두주자인 CATL(Contemporary Amperex Technology)은 지난해 8월 eVTOL 제조업체 상하이 오토플라이트에 수억 달러를 투자하며 배터리 솔루션 개발을 위한 전략적 파트너십을 구축했다. CALB(China Aviation Lithium Battery), 이브 에너지(Eve Energy), 고션 하이테크(Gotion High-tech), 파라시스 에너지(Farasis Energy) 등도 경쟁에 합류했다.

eVTOL에 들어가는 첨단 배터리는 산업의 핵심 요소다. 비행 성능, 운항 빈도, 경제적 실행 가능성을 결정하는 핵심 기술로, 전기 자동차보다 훨씬 높은 에너지 밀도와 전력 공급이 요구된다. 중국 시노링크증권의 최근 보고서에 따르면, 하루 8회 비행하는 eVTOL은 배터리 팩당 1,000사이클 수명을 가정할 때 20년 사용 기간 동안 14번의 배터리 교체가 필요할 수 있다.

또한 eVTOL 배터리는 이착륙 기동에 필요한 '버스트 파워'를 제공하기 위해 전기차의 일반적인 방전 속도(1C)보다 2~3배 높은 2C~3C의 방전 속도를 달성해야 한다. 비용도 상당히 높다. 항공 등급 배터리는 와트시당 약 3위안(약 580원)으로 자동차 배터리보다 10배가량 비싸다. 200kWh(킬로와트시) 용량의 eVTOL 배터리 가격은 개당 8만3,000달러(약 1억1,500만원)에 달한다.

글로벌 전기차 시장에서 약진하고 있는 중국 BYD도 배터리 기업이 모태다. BYD는 1994년 20인 규모의 배터리 제조 스타트업으로 시작했다. 하지만 창업자 왕젠푸(王傳福) 회장의 기술 혁신 주도 전략과 선도적 의사결정을 통해 글로벌 전기차 선도기업으로 성장했다. 이는 배터리 기술력을 기반으로 한 성공적인 수직계열화 전략으로 평가되고 있다.

모델A/사진=알레프 에어로노틱스

알레프 ‘모델A’, 美 당국 승인 받아 상용화 성큼

하늘을 나는 자동차의 첫 포문을 연 것은 미국의 자동차 제조 스타트업 알레프 에어로노틱스(Alef Aeronautics)다. 알레프는 지난 2023년 미국 연방항공청(FAA)으로부터 시험비행 승인(특별감항인증)을 받으면서 상용화에 성큼 다가섰다. 특별감항인증은 민간 항공기의 안전성과 신뢰성을 평가해 적용하는 인증제도다. 전시·연구·개발 등 제한된 목적에 따라 운행이 허용되며 실제 도로에서 운전을 하려면 미국 도로교통안전국의 승인 등이 필요하다.

FAA에 따르면 알레프는 특별감항인증을 받은 ‘최초의 비행차’는 아니다. 다만 알레프 측은 모델A가 지금까지 공개된 여타 비행차들과 달리, 일반 자동차처럼 운전과 주차가 가능하다는 것이 차별점이다. 모델A는 일반 차량처럼 도로를 주행하다가 수직으로 이착륙할 수 있다. 차체 전체가 회전해 프로펠러와 같은 역할을 하기 때문이다. 모델A의 운행거리는 도로 주행 땐 200마일(약 322㎞)이며, 비행 땐 110마일(약 177㎞)이다. 탑승인원은 최대 2명이다.

알레프는 미국 공상과학 영화 ‘백 투 더 퓨처(Back To The Future)’의 하늘을 나는 자동차에서 영감을 받아 거리주행,수직 이착륙, 전진 비행기능을 모두 갖춘 최초의 비행 자동차를 생산하는 것을 목표로 2015년부터 모델 A 개발을 진행해 왔다. 일론 머스크가 최고경영자(CEO)로 있는 우주탐사기업 ‘스페이스X' 등의 지원을 받았다. 현재까지 모델A는 약 3,300건의 예약 주문을 확보한 상태다. 가격은 30만 달러(약 4억2,000만원)로, 알레프는 올해 말 생산을 시작할 예정이다.

Picture

Member for

6 months 4 weeks
Real name
김민주
Position
기자
Bio
[email protected]
기술의 발전으로 우리는 지금 정보의 바다에 살고 있습니다. 독자 여러분들이 표류하지 않도록, 정확한 정보만 골라 빠르게 전달하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