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main content

이제인

지난해 벤처투자액 81억 달러, 전년 대비 12.4% 감소 특히 바이오·의료 분야 투자 위축에 업계는 고사 위기 홀로 뜨거운 AI 반도체 분야, 글로벌 뭉칫돈 쏠리는 중 지난해 벤처투자액이 전년(2022년) 대비 12.4%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2021년 이후 2년 연속 감소세로, 투자 건수와 신규 결성 벤처펀드 건수 또한 2년째 감소했다. 특히 바이오를 비롯해 IT, 유통 업종의 감소세가 두드러졌는데 이는 인공지능(AI)을 중심으로 한 산업 재편의 영향인 것으로 분석된다.

Read More
이제인

지난해 벤처투자액 81억 달러, 전년 대비 12.4% 감소 특히 바이오·의료 분야 투자 위축에 업계는 고사 위기 홀로 뜨거운 AI 반도체 분야, 글로벌 뭉칫돈 쏠리는 중 지난해 벤처투자액이 전년(2022년) 대비 12.4%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2021년 이후 2년 연속 감소세로, 투자 건수와 신규 결성 벤처펀드 건수 또한 2년째 감소했다. 특히 바이오를 비롯해 IT, 유통 업종의 감소세가 두드러졌는데 이는 인공지능(AI)을 중심으로 한 산업 재편의 영향인 것으로 분석된다.

Read More
Hyojung Lee

VC, 막혀버린 엑시트 대신 세컨더리 거래에 몰려 투자 심리 위축 때문에 이른 현금화 원하는 VC들 구매자 부족으로 가격 대폭 하락, VC 자산도 급감 글로벌 투자 전문 연구기관 피치북에 따르면 최근 다수의 초기 단계 VC(벤처 캐피탈)들이 후기 단계 투자자들에게 주요 포트폴리오 지분을 대량 매각하며 상당한 할인율을 받아들인 것으로 나타났다. 주요 원인으로는 성과 배분 감소와 투자 심리 위축 등이 지목된다.

Read More
Hyojung Lee

VC, 막혀버린 엑시트 대신 세컨더리 거래에 몰려 투자 심리 위축 때문에 이른 현금화 원하는 VC들 구매자 부족으로 가격 대폭 하락, VC 자산도 급감 글로벌 투자 전문 연구기관 피치북에 따르면 최근 다수의 초기 단계 VC(벤처 캐피탈)들이 후기 단계 투자자들에게 주요 포트폴리오 지분을 대량 매각하며 상당한 할인율을 받아들인 것으로 나타났다. 주요 원인으로는 성과 배분 감소와 투자 심리 위축 등이 지목된다.

Read More
박창진

비상장주식 거래 건수 '두 자릿수 성장세', 왜? "IPO 대어 영향 컸다"?, 일각선 "시장 위축에 세컨더리 시장 열린 셈" 투자시장 회복 요원할 듯, 업계서도 "올해는 완전 회복 힘들 것" 지난해 비상장주식 플랫폼의 거래가 확연히 늘어난 것으로 확인됐다. IPO(기업공개) 시장이 활기를 띠면서 비상장주식 거래 수요가 늘어난 영향이라는 분석이 나온다. 이에 시장에선 올해도 △에이피알 △HD현대마린솔루션 △SK에코플랜트 등 IPO 대어들이 기다리고 있는 만큼 이 같은 흐름이 이어지리라 기대하고 있지만, 일각에선 관점을 달리 해야 한다는 의견도 나온다.

Read More
박창진

비상장주식 거래 건수 '두 자릿수 성장세', 왜? "IPO 대어 영향 컸다"?, 일각선 "시장 위축에 세컨더리 시장 열린 셈" 투자시장 회복 요원할 듯, 업계서도 "올해는 완전 회복 힘들 것" 지난해 비상장주식 플랫폼의 거래가 확연히 늘어난 것으로 확인됐다. IPO(기업공개) 시장이 활기를 띠면서 비상장주식 거래 수요가 늘어난 영향이라는 분석이 나온다. 이에 시장에선 올해도 △에이피알 △HD현대마린솔루션 △SK에코플랜트 등 IPO 대어들이 기다리고 있는 만큼 이 같은 흐름이 이어지리라 기대하고 있지만, 일각에선 관점을 달리 해야 한다는 의견도 나온다.

Read More
박창진

고유계정 투자 증가세, "법규 위반 회피 목적 강해" 혹한기 아래 '개점휴업' VC 부쩍 늘어, "지난해만 45곳" 모태펀드 정부 책임론도 안개 속으로, "생존부터 챙겨야 할 시점" 중소벤처기업부의 제재를 피하기 위해 펀드가 아닌 자기자본으로 투자하는 신생 VC(벤처캐피탈)가 부쩍 늘었다. 고금리와 경기침체 등 외부적 상황으로 벤처시장에 유입되는 자금이 말라붙으면서 신규 펀드를 조성하기 어려워진 영향으로 풀이된다. 상황이 어렵다 보니 사업을 포기하는 경향도 늘어나는 추세다. 모태펀드 예산 감액에 따른 정부 책임론이 한창 들끓다가도 당장 생존이 불확실해지면서 정부에 대한 성화도 누그러지는 모양새다.

Read More
박창진

고유계정 투자 증가세, "법규 위반 회피 목적 강해" 혹한기 아래 '개점휴업' VC 부쩍 늘어, "지난해만 45곳" 모태펀드 정부 책임론도 안개 속으로, "생존부터 챙겨야 할 시점" 중소벤처기업부의 제재를 피하기 위해 펀드가 아닌 자기자본으로 투자하는 신생 VC(벤처캐피탈)가 부쩍 늘었다. 고금리와 경기침체 등 외부적 상황으로 벤처시장에 유입되는 자금이 말라붙으면서 신규 펀드를 조성하기 어려워진 영향으로 풀이된다. 상황이 어렵다 보니 사업을 포기하는 경향도 늘어나는 추세다. 모태펀드 예산 감액에 따른 정부 책임론이 한창 들끓다가도 당장 생존이 불확실해지면서 정부에 대한 성화도 누그러지는 모양새다.

Read More
김서지

클린에너지 글로벌 거래 플랫폼 씨너지, 30억원 투자 유치 REC·자발적 탄소배출권 등 글로벌 환경 상품 거래 플랫폼 운영 미국·유럽 진출 목표하는 시너지, 11월 대선 리스크 주의 필요 사진=씨너지 홈페이지 클린에너지 글로벌 거래 플랫폼 씨너지가 30억원 규모의 투자 유치를 완료했다고 8일 밝혔다. 이번 투자는 2022년 프리시리즈 A와 2025년 진행 예정인 시리즈 A 사이 브릿지 성격의 라운드로 △한화투자증권 △퀀텀벤처스코리아 △SGC파트너스-DSN인베스트먼트(공동투자) △브라이트에너지파트너스 등 4개 기관이 참여했다.

Read More
김세화

지난해 반도체 매출 5,200억 달러, 2030년에는 1조 달러 넘어서 사모펀드 운용사, 벤처캐피탈과 달리 뒤늦게 반도체 투자에 참여 반도체 생태계와 공급망 내 다양한 분야에 투자 가능성 살펴봐야 반도체는 거의 모든 전자제품에 사용되는 핵심 부품으로, 세계적으로 시장 규모가 가장 큰 산업 중 하나다. 글로벌 회계·컨설팅 전문기업 딜로이트에 따르면 지난해 반도체 산업 매출은 5,200억 달러(약 695조원)을 기록했으며 일각에서는 2030년 반도체 시장이 1조 달러(약 1,300조원)를 넘어설 것이란 전망도 나오고 있다.

Read More
김세화

지난해 반도체 매출 5,200억 달러, 2030년에는 1조 달러 넘어서 사모펀드 운용사, 벤처캐피탈과 달리 뒤늦게 반도체 투자에 참여 반도체 생태계와 공급망 내 다양한 분야에 투자 가능성 살펴봐야 반도체는 거의 모든 전자제품에 사용되는 핵심 부품으로, 세계적으로 시장 규모가 가장 큰 산업 중 하나다. 글로벌 회계·컨설팅 전문기업 딜로이트에 따르면 지난해 반도체 산업 매출은 5,200억 달러(약 695조원)을 기록했으며 일각에서는 2030년 반도체 시장이 1조 달러(약 1,300조원)를 넘어설 것이란 전망도 나오고 있다.

Read More
한세호

지난해 글로벌 벤처투자 규모 '2,484억 달러', 2017년 이후 최저치 국내 스타트업 및 중소기업의 전체 투자 금액도 전년 대비 '56%' 감소 미 연준 통화정책 전환 ‘불확실’, 시장 살아나려면 고금리 기조 빨리 끝나야 지난해 글로벌 벤처투자 규모가 2017년 이후 최저치를 기록했다. 거래 건수도 전년 대비 30% 감소했으며, 특히 지난해 4분기 미국 벤처투자 시장의 거래 규모는 2013년 이후 가장 낮은 수준을 기록했다. 2022년 대두된 인플레이션과 그로 인해 나타난 급격한 고금리 기조에 따라 기업들의 자금조달 여건이 크게 악화된 것으로 풀이된다.

Read More
한세호

지난해 글로벌 벤처투자 규모 '2,484억 달러', 2017년 이후 최저치 국내 스타트업 및 중소기업의 전체 투자 금액도 전년 대비 '56%' 감소 미 연준 통화정책 전환 ‘불확실’, 시장 살아나려면 고금리 기조 빨리 끝나야 지난해 글로벌 벤처투자 규모가 2017년 이후 최저치를 기록했다. 거래 건수도 전년 대비 30% 감소했으며, 특히 지난해 4분기 미국 벤처투자 시장의 거래 규모는 2013년 이후 가장 낮은 수준을 기록했다. 2022년 대두된 인플레이션과 그로 인해 나타난 급격한 고금리 기조에 따라 기업들의 자금조달 여건이 크게 악화된 것으로 풀이된다.

Read More
전수빈

광고 콘텐츠 AI 분석 '파일러', 105억원 규모 시리즈 A 투자 유치 "우리 광고가 왜 저기에" 유튜브 속 '브랜드 세이프티' 위협 가중 브랜드 세이프티 솔루션, 글로벌 시장 중심으로 경쟁 심화 추세 사진=파일러 홈페이지 인공지능(AI) 기반 디지털 광고 솔루션 스타트업 파일러가 105억원 규모의 시리즈 A 투자 유치에 성공했다고 22일 밝혔다. 이번 투자라운드에는 △현대투자파트너스 △쿼드벤처스 △한세예스24파트너스 △힐리오인베스트먼트 △경기창조경제혁신센터가 참여했다.

Read More
전수빈

광고 콘텐츠 AI 분석 '파일러', 105억원 규모 시리즈 A 투자 유치 "우리 광고가 왜 저기에" 유튜브 속 '브랜드 세이프티' 위협 가중 브랜드 세이프티 솔루션, 글로벌 시장 중심으로 경쟁 심화 추세 사진=파일러 홈페이지 인공지능(AI) 기반 디지털 광고 솔루션 스타트업 파일러가 105억원 규모의 시리즈 A 투자 유치에 성공했다고 22일 밝혔다. 이번 투자라운드에는 △현대투자파트너스 △쿼드벤처스 △한세예스24파트너스 △힐리오인베스트먼트 △경기창조경제혁신센터가 참여했다.

Read More
안현정

물류 스타트업 중 최대 누적 투자유치금액2년 사이 물동량 300% 이상 증가2PL→3PL 흐름 주도하는 디지털 포워딩 출처=셀러노트 디지털 운송주선업(포워딩) 스타트업 셀러노트가 60억원 규모의 프리 시리즈 B 투자유치에 성공했다. 이번 투자에는 기존 투자자인 본엔젤스벤처파트너스, KB인베스트먼트와 더불어 신규 투자자 엔베스터가 합류했다. 이로써 셀러노트의 누적 투자유치금액은 136억원을 넘어서며 국제 물류 관련 스타트업 통틀어 최대 규모를 기록하게 됐다.

Read More
안현정

물류 스타트업 중 최대 누적 투자유치금액2년 사이 물동량 300% 이상 증가2PL→3PL 흐름 주도하는 디지털 포워딩 출처=셀러노트 디지털 운송주선업(포워딩) 스타트업 셀러노트가 60억원 규모의 프리 시리즈 B 투자유치에 성공했다. 이번 투자에는 기존 투자자인 본엔젤스벤처파트너스, KB인베스트먼트와 더불어 신규 투자자 엔베스터가 합류했다. 이로써 셀러노트의 누적 투자유치금액은 136억원을 넘어서며 국제 물류 관련 스타트업 통틀어 최대 규모를 기록하게 됐다.

Read More
김세화

2021년 기점으로 가상화폐 투자 둔화, 2022년 FTX 등 업계 줄도산까지 美 최대 가상화폐 거래소 코인베이스, 2021년 이례적인 딜 메이킹 기록 올해 EU 시장 진출 추진, 헤지펀드·고빈도매매 파생상품으로 영역 확장 지난 2021년 11월을 기점으로 비트코인이 하락하면서 가상화폐 거래가 감소하기 시작했고 1년 후인 2022년 11월에는 세계 3위 가상화폐 거래소인 FTX의 파산으로 가상화폐 시장이 크게 위축됐다. 한때 가장 신뢰할 수 있는 플랫폼으로 손꼽히던 FTX의 몰락은 가상화폐 대출 플랫폼 블록파이(BlockFi)의 연쇄 파산으로 이어졌고 근래 가상화폐 업계에서 가장 충격적인 사건으로 기록됐다.

Read More
김세화

2021년 기점으로 가상화폐 투자 둔화, 2022년 FTX 등 업계 줄도산까지 美 최대 가상화폐 거래소 코인베이스, 2021년 이례적인 딜 메이킹 기록 올해 EU 시장 진출 추진, 헤지펀드·고빈도매매 파생상품으로 영역 확장 지난 2021년 11월을 기점으로 비트코인이 하락하면서 가상화폐 거래가 감소하기 시작했고 1년 후인 2022년 11월에는 세계 3위 가상화폐 거래소인 FTX의 파산으로 가상화폐 시장이 크게 위축됐다. 한때 가장 신뢰할 수 있는 플랫폼으로 손꼽히던 FTX의 몰락은 가상화폐 대출 플랫폼 블록파이(BlockFi)의 연쇄 파산으로 이어졌고 근래 가상화폐 업계에서 가장 충격적인 사건으로 기록됐다.

Read More
김민정

2024년 국내 벤처투자 시장 전망 리포트응답자 52.3% "투자재원 규모 확대 등 긍정적 전망"글로벌 거시경제 불확실성 지속되며 신중론도 국내 VC(벤처캐피탈) 업계 종사자 중 절반 이상이 2024년 벤처투자 시장을 긍정적으로 전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올해 투자 규모가 작년보다 증대할 것이라는 예상도 50%에 가까웠다. 각종 정책자금 규모가 확대되고, 회수시장 규제가 완화되며 오랜 시간 얼어붙었던 벤처투자 시장이 활기를 띨 것이라는 낙관론이 고개를 들고 있는 모습이다.

Read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