입력
수정
PF 충당금에 '직격타', DGB금융 올 1분기 순이익 29.33% 감소 전망
정상화 방안으로 '인센티브' 내건 금융당국, 정작 은행권은 "인수 압박 아니냐"
계열사 하락세에 고사 위기 몰린 DGB금융, "PF 정상화 패러다임 고심해 봐야"
DGB금융지주가 올해 1분기 저조한 성적표를 받을 것으로 전망된다.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충당금 탓에 순이익 규모가 크게 감소할 것으로 관측되면서다. 그룹 실적을 떠받쳐 줄 대구은행은 순이자마진(NIM) 하락으로 수익성 개선을 기대하기 어려운 상황인 데다 비은행 계열사들의 충당금 등 여파로 그룹 전체 이익이 하락세를 걷고 있다는 게 전문가들의 설명이다. 이런 가운데 금융당국이 은행권에 PF 정상화 압박을 가하면서 DGB금융의 부담이 한층 늘었다. 저축은행 업계의 추락을 막기 위한 전략이라곤 하지만, 은행권 내부에서도 앓는 소리가 나오고 있는 만큼 업계에선 금융당국 차원에서도 고심이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DGB금융지주, PF 부실에 대규모 충당금 쌓았다
지난달 30일 업계에 따르면 지방 금융지주의 증권·캐피탈 등 비은행 계열사들은 지난해부터 부동산 시장 침체로 대규모 충당금을 쌓기 시작했다. BNK금융, DGB금융, JB금융 등 지방금융지주 3곳의 대손충당금 전입액은 지난해 1분기 기준 3,232억원으로, 전년 동기(1,607억원) 대비 102.4%가량 증가했다. BNK금융은 818억원에서 1,249억원으로, DGB금융은 427억원에서 1,104억원으로, JB금융은 362억원에서 899억원으로 각각 충당금 적립 규모가 확대됐다.
시장이 가장 주목하는 건 DGB금융이다. 충당금 적립 규모 증가액이 3대 지방금융지주 중 가장 높기 때문이다. 순이익도 하락 추세다. DGB금융은 올 1분기 1,255억원의 순이익을 거둘 것으로 전망됐는데, 이는 전년 동기 대비 29.33% 감소한 수준이다. 부동산 PF 부실에 따른 충당금 여파를 피해 가지 못하면서 겹악재를 맞은 셈이다.
이에 글로벌 신용평가사 S&P(스탠다드앤드푸어스)는 DGB금융지주의 비은행 계열사들이 그룹 전체 자산건전성에 부담을 줄 것으로 전망하기도 했다. 하이투자증권의 부동산 PF 익스포저는 자기자본 대비 매우 높은 수준이라는 이유에서다. 하이투자증권의 작년 말 기준 부동산 PF 익스포저 규모는 8,920억원 수준으로, 자기자본의 약 70%나 차지한다. 이는 업계 평균 추정치(33%)의 2배가 넘는 수치기도 하다. 이와 관련해 금융권 관계자는 "하이투자증권의 부동산 PF 익스포저는 사업 초기 단계의 상업용 부동산 리스크 비중이 높아 리스크가 더 크다"고 지적했다.
PF 정상화 발표 앞둔 금융당국, 은행권 압박 심화
이런 가운데 금융당국은 5월 부동산 PF 정상화 방안 발표를 앞두고 은행권에 거듭 압박을 넣고 있다. 업계에 따르면 금융감독원은 부동산 PF 정상화 방안으로 신디케이트론 형태의 자금 투입을 고려하고 있다. 상대적으로 자금 여력이 있는 은행과 보험사를 통해 정상화 가능성이 있는 PF 사업장에 집단 대출 형태로 자금을 대는 식이다. 아울러 리스크를 감수하면서까지 PF 사업장을 인수하는 금융사를 위한 한시적 인센티브도 검토하고 있다. 여기엔 은행의 유가증권 투자 한도를 확대하거나 부실이 발생해도 임직원에 대한 면책을 완화하는 등의 방안이 제시된 것으로 알려졌다.
금융당국 차원에선 인센티브를 강조했지만, 은행권은 이를 '정상화 압박'으로 받아들이는 모양새다. 사실상 필수 요건을 인센티브라는 이름으로 바꿨을 뿐이란 것이다. 은행권 한 관계자는 "당국에서 이야기하는 건 우리가 부실 사업장을 경·공매로 내보낼 테니 너희가 사업장을 인수해 살리라고 하는 것과 같다"며 "공공 산소 호흡기를 뗄 테니 민간 호흡기를 달라고 하는 격"이라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사업성이 있는 사업장은 알아서 살리겠지만, 경·공매로 나올 정도면 은행뿐만 아니라 2금융권에서도 사업성이 없다고 본다"고 언급했다.
금융당국이 압박 수위를 높이고 나선 건 대규모 적자를 기록한 저축은행권에 대한 시장의 불안이 부쩍 늘어난 영향이 크다. 금융당국에 따르면 지난해 말 기준 금융권 PF대출 잔액은 총 135조6,000억원에 달한다. 이 중 저축은행은 약 9조6,000억원을 차지해 규모 자체는 크지 않지만, 총자산 중 PF 대출이 차지하는 비중이 지난해 9월 7.1%에서 12월 7.6%로 지속 상승하고 있다.
이에 나이스신용평가는 저축은행 업권 전체의 부동산 PF 익스포저 예상손실 규모를 약 2조6,000억원~4조8,000억원으로 추정했다. 스트레스 테스트 결과 추가 적립해야 할 충당금 규모는 1조원에서 3조3,000억원까지인 것으로 분석됐다. 적자 규모 추정치는 2조2,000억원에 달한다. 금융당국 입장에선 하루빨리 저축은행 업권의 리스크를 해소해야 할 필요가 있는 셈이다.
DGB금융 부담 가중, "전략 재정비 필요해"
문제는 저축은행 리스크를 해소하는 과정에서 DGB금융의 부담이 가중되고 있단 점이다. 업계에선 현재 DGB금융이 부동산 PF 부실 여파로 여력을 상당 부분 잃었단 평가가 나온다. 실제 하이투자증권의 경우 지난해 1,324억원의 충당금을 적립하면서 연간 31억원의 손실을 기록, 전년 대비 적자전환했다. 하이투자증권은 부동산 PF에 대한 수익 의존도가 높은 탓에 2022년에도 연 1,100억원 규모의 충당금을 적립한 바 있다. DGB캐피탈도 지난해 충당금 적립 영향으로 전년 대비 22.5% 감소한 599억원의 순이익을 거뒀다. 충당금 규모는 692억원 수준이다.
그룹 전체 순이익의 93.8%를 차지하는 대구은행이 비은행 계열사의 부진을 상쇄하지 못하고 있단 점도 악재다. 상대적으로 금리가 낮은 가계대출을 중심으로 자산이 증가한 데다 은행채 금리 하락으로 예대금리차가 좁혀진 탓이다. 더군다나 지난해 새로운 국제회계기준(IFRS17) 도입 효과로 그룹 실적에 크게 기여했던 DGB생명마저 기고효과에 따른 실적 감소가 가시화 추세다. 사실상 DGB금융을 중심으로 그룹 전반이 고사 직전에 몰린 것이다.
저축은행 업계의 추락이 가속한 건 사실이다. 저축은행 신용등급이 줄줄이 강등됐기 때문이다. 앞서 지난달 26일 나이스신용평가는 KB저축은행, 대신저축은행, 다올저축은행, 애큐온저축은행 등 4개사의 장기신용등급 등급 전망을 '안정적(Stable)'에서 '부정적(Negative)'으로 하향 조정했다. 이 같은 배경에서 은행권도 저축은행 중심의 정책 흐름에 동참하는 분위기다. 다만 일각에서 "은행권도 PF 부실에 따른 리스크가 적지 않은 만큼 저축은행의 리스크 부담을 나눠 짊어지기엔 부담이 크다"는 볼멘소리가 나오는 것도 사실이다. 금융당국 차원의 전략 재정비가 필요한 시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