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 세계 금융시장의 이목이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입으로 집중되고 있다. 트럼프 대통령이 대선 후보 시절부터 추진해 온 고율 관세 공약이 하나둘 현실화하면서 그의 행보가 시장에 미치는 여파 또한 상당할 것이란 관측에서다. 미국의 보호무역 정책 강화로 아시아 금융시장의 변동성이 커진 가운데, 수출 기업의 실적 하락이 예상되면서 국내 증시 또한 연일 바닥을 맴도는 실정이다.

‘중국판 인스타그램’으로 불리는 소셜미디어 샤오홍슈(小红书)가 중국 당국의 투자를 등에 업고 증시 입성을 노린다는 외신의 보도가 나왔다. 지난해 상반기까지만 해도 글로벌 시장에서 이렇다 할 주목을 받지 못했지만, 하반기를 기점으로 분위기 반전에 성공하면서다. 미국의 틱톡 규제로 인한 반사이익 또한 상장 추진에는 호재로 작용할 전망이다.

미·중 갈등의 골이 깊어지면서 다국적 기술기업의 ‘탈(脫)중국’ 움직임이 가속화하고 있다. ‘중국 말고는 어디든’(anything but China)을 뜻하는 ‘ABC’가 새로운 전략으로 떠오른 양상이다.

미국 기업들의 대출 연체율이 8년 만에 최고 수준을 나타냈다. 팬데믹 초창기 낮은 금리로 자금을 조달한 기업들이 이후 급격한 금리 인상 탓에 차입금 상환에 난항을 겪고 있는 것이다. 여기에 시장의 소비심리까지 위축되면서 기업의 현금흐름 악화를 가속하는 모습이다. 한국 또한 이 같은 흐름을 뒤쫓으며 경기 둔화의 사이클로 접어들고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지난달 미국 소비자물가지수가 전문가 예상치를 웃도는 상승폭을 기록했다. 주거비, 에너지 비용 상승 등을 중심으로 미국의 인플레이션 위기가 재차 고조된 것이다. 이에 시장에서는 미국 중앙은행인 연방준비제도(Fed, 연준)가 기준금리 인하 속도를 늦출 것이라는 전망에 힘이 실리고 있다.

러시아와 우크라이나 사이 '전운'이 걷히고 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과 종전 협상에 나서면서다. 이에 곳곳에서는 전쟁 장기화로 인해 타격을 받았던 글로벌 무역 시장이 점차 정상화될 것이라는 기대가 일고 있다. 에너지, 식량 등을 중심으로 공급망 리스크가 해소되며 혼란이 가라앉을 것이라는 분석이다.

월가에서 미국 빅테크 기업들의 성장성에 대한 의구심이 일고 있다. 매그니피센트7(M7, 애플·마이크로소프트(MS)·아마존·알파벳·엔비디아·테슬라·메타의 총칭) 기업을 중심으로 인공지능(AI) 투자 규모가 급격하게 확대된 가운데, 이들 기업의 대규모 지출이 유의미한 성과를 거두지 못할 것이라는 전망에 힘이 실리기 시작한 것이다.

일본은행(BOJ)의 우에다 가즈오 총재가 일본 경제가 인플레이션 상태라는 견해를 드러냈다. 최근 일본의 물가 지표가 뚜렷한 상승세를 보이는 가운데, 일본이 디플레이션(경기 침체 속 물가 하락)에서 벗어났다는 입장을 재차 강조한 것이다. 다만 일본 정부는 여전히 '디플레이션 탈출 선언'을 미루며 신중한 태도를 고수하고 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관세 전쟁'의 신호탄을 쏘아 올렸다. 캐나다와 멕시코, 중국 등을 대상으로 관세 장벽을 강화하며 보호무역주의 기조를 본격화하는 양상이다. 전문가들은 이 같은 트럼프 대통령의 공격적인 관세 정책이 향후 미국 경제에 '독배'가 될 수 있다는 우려를 내놓고 있다.

일본은행이 기준금리 0.5%에 올라서며 금융정책 정상화 프로세스에 속도를 냈다. 지난해 3월 ‘마이너스’ 금리를 벗어난 데 이어 같은 해 7월 0.25%로 금리를 올린 후 6개월 만의 추가 인상이다. 시장에선 지난해 8월 글로벌 증시 폭락장을 이끈 엔 캐리 트레이드 청산 공포가 고개를 드는 모습이다.

미국 연방준비제도의 기준금리 인하가 속도 조절 국면에 들어선 가운데, 또 다른 통화 정책인 양적 긴축의 지속 여부가 시장의 새로운 관심사로 떠올랐다. 시장에서는 연준이 목표로 한 부채 감소 여부와 미국 국채 금리의 향방이 그 시점을 좌우할 것으로 내다봤다. 미국과 시차를 두고 긴축에 돌입한 유럽과 일본 등 주요국들도 일제히 긴축 기조의 지속을 시사했다.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취임과 함께 미국 금융 시장의 규제가 대폭 완화되고, 이에 따라 기업공개(IPO)와 인수합병(M&A) 거래도 급증할 것이란 전망이 제기됐다. 이미 글로벌 해외 투자 프로젝트에서 미국이 차지하는 비중이 사상 최대 수준으로 치솟은 가운데, 일각에선 미국 내부에서 소화되지 못한 자금이 주변 금융시장을 잠식할 우려 또한 커지고 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귀환으로 활기를 기대했던 가상화폐 시장에 적막감이 감돌고 있다. 이달 20일(이하 현지시각) 취임과 동시에 관련 정책을 제시할 거란 예상과 달리, 트럼프 대통령이 일체의 언급을 미루며 실망감이 시장을 장악한 모습이다. 취임 나흘 만인 23일에는 가상자산 실무그룹을 신설하겠다는 계획을 밝혔지만, 최근 주목받고 있는 밈 코인과의 이해 충돌을 우려하는 목소리가 주를 이룬다.

일본 중앙은행 총재와 부총재가 연일 금리 인상을 시사하는 발언을 내놓으면서 일본은행이 이달 금융정책결정회의에서 금리를 올릴 것이라는 관측이 확산하고 있다. 이와 같은 관측이 현실화하면 일본 기준금리는 2008년 10월 이후 처음으로 연 0.5%에 올라서게 된다. 금융시장에서는 엔 캐리 트레이드 청산과 그에 따른 충격을 우려하는 목소리가 커지는 모습이다.

중국이 올해 더 완화적인 통화정책을 예고했음에도 새해 첫 대출우대금리(LPR) 발표에서 동결을 유지했다. 미국의 새 행정부 출범과 위안화 약세 지속에 따른 불확실성 속에서 신중한 통화 정책을 펼치겠다는 의지를 드러낸 것으로 해석된다.

도널드 트럼프 2기 행정부의 '경제사령탑'으로 낙점된 스콧 베센트(Scott Bessent) 재무장관 지명자가 불공정 무역관행 시정, 수입 확대, 협상용 등 3가지 이유로 관세 필요성을 역설했다. 관세 정책에 따른 미국 상승 가능성에 대해서는 제한적일 것이란 전망을 내비쳤다. 베센트의 이 같은 발언은 월가와 시장의 기대에 부응하는 것으로, 월가는 강경 일변도인 트럼프 행정부 진용에서 베센트가 중재자 역할을 하며 대외 무역을 조정하길 바라고 있다.

글로벌 명품 시장 큰손인 중국의 경기 침체로 활기를 잃었던 럭셔리 브랜드들이 인도를 선점하기 위해 발 빠르게 움직이고 있다. 글로벌 명품 산업이 둔화함에 따라 새로운 시장 개척이 시급한 브랜드 입장에서 빠르게 성장하는 인도는 최적의 시장으로 평가된다. 이에 명품 브랜드들은 앞다퉈 인도인 셀럽을 글로벌 앰배서더로 발탁하는 등 현지 시장 공략에 공을 들이고 있다.

SEC, 1억5,000만 달러 부당이익 반환 요구 "머스크, 트위터 지분 공개 늦춰 헐값 매수" 트럼프 2기 행정부의 첫 정치적 과제 될 듯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가 일론 머스크 테슬라 최고경영자(CEO)를 증권법 위반 혐의로 고소했다. 특정 상장 기업의 지분 5% 이상을 보유하면 10일 이내 공시해야 하는 이른바 '5%룰'을 위반한 혐의다.

미국 내 소셜미디어 틱톡(TikTok) 사용을 금지하는 내용의 ‘틱톡 금지법’ 시행이 다가온 가운데, 중국 당국이 일론 머스크 테슬라 최고경영자(CEO)에게 틱톡의 미국 사업 매각을 검토하고 있다는 보도가 나왔다. 틱톡 측은 즉각 부인하고 나섰지만, 법 시행이 목전에 있는 만큼 취할 수 있는 대안이 많지 않다는 반응이 주를 이룬다.

세계 금융시장의 중심 월가에서 미국 기준금리가 인상 국면에 접어들 가능성을 제기하고 나섰다. 이는 올해 기준금리 추가 인하를 기대하기 어려울 것이라는 시장의 예측에서 한발 더 나아간 것으로, 그 배경으로는 미국의 견조한 고용 지표와 인플레이션 우려 등이 꼽힌다. 미국 차기 행정부의 관세 정책이 전 세계적인 경제 불확실성을 키우는 가운데 국내에서는 관세에 이은 추가 압박 수단이 등장할 것이란 전망도 고개를 들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