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main content
트럼프는 침체·인플레 없다지만, 美 재계는 “전 세계 향한 경제 핵전쟁” 맹비난
Picture

Member for

5 months 3 weeks
Real name
이제인
Position
연구원
Bio
[email protected]
뉴스의 사회적 책임을 자각하며 공정하고 균형 있는 시각을 최우선으로 합니다. 꾸준한 추적과 철저한 리서치를 바탕으로 사실만을 전달하겠습니다.

수정

관세 쇼크에 세계 경제 ‘S’ 공포, 시험대 놓인 트럼피즘
미국 부호들도 트럼프 행정부 관세 정책 비판 가세
'월가 황제' 다이먼 "관세로 인플레 반등·美 성장 둔화"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지난 2일 백악관 경내 로즈가든에서 '미국을 다시 부유하게'라는 행사를 열고 국가별 상호관세를 발표하고 있다/사진=백악관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일으킨 막무가내식 관세전쟁의 후폭풍이 예상보다 거센 분위기다. 일부 경제학자들은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정책을 1930년대 대공황 직전 상황에 비유하기도 한다. 그때도 미국이 관세 전쟁을 촉발하면서 세계 경제가 폭삭 꺼졌다. 일각에선 관세 정책이 물가 상승 압력을 계속 키워 스태그플레이션(경기 침체 속 물가 상승) 수준을 넘어선 ‘완전한 경기침체’(full-blown recession)로까지 번질 수 있다는 진단까지 나온다.

美 성장 둔화‧인플레 자극 한목소리

7일(이하 현지시간) CNN에 따르면 미국 헤지펀드 억만장자이자 트럼프 대통령의 강성 지지자인 빌 애크먼은 트럼프 대통령에게 90일 간의 관세 유예 기간을 두고 각국과 재협상할 것을 촉구하면서 “그렇지 않으면 9일은 미국이 전 세계를 향해 경제 핵전쟁을 일으키는 것”이라고 경고했다. 애크먼은 이날 소셜미디어(SNS)에 올린 글에서도 “미국은 지금 무역 파트너, 사업하기 좋은 곳, 자본 투자 시장으로써의 신뢰를 잃고 있다”고 비판했다.

월가 거물인 JP모건체이스 최고경영자(CEO) 제이미 다이먼도 관세 정책이 미국의 경제 성장 동력을 약화할 것이라고 경고했다. 그는 주주들에게 보내는 연례 서한에서 미국의 관세 부과가 수입품과 국내 가격의 인플레이션을 유발할 가능성이 있다는 점을 지적했다. 다이먼은 이어 “최근 관세는 인플레이션을 증가시킬 가능성이 크고 많은 사람이 경기 침체의 가능성을 더 크게 고려하게 한다”면서 “관세가 경기 침체를 유발할지는 아직 불문명하지만 성장을 둔화시킬 것이라는 점은 분명하다”고 했다. 그러면서 “관세로 인한 부정적인 영향은 시간이 지날수록 누적되어 되돌리기 어려워지기 때문에 이 문제가 빠르게 해결될수록 좋다”고 말했다.

자산운용사 블랙록 설립자인 래리 핑크도 “지금 경기가 이미 침체 상태일 수 있다는 게 현장 경영진들의 공통된 인식”이라며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정책은 단기적으로는 인플레이션을 부추기고 경제를 불안정하게 만든다”고 비판했다. 빌 더들리 전 뉴욕 연방준비은행 총재도 블룸버그 칼럼에서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정책은 경기침체와 인플레이션의 이중고를 초래할 위험이 있다”며 “스태그플레이션은 낙관적인 시나리오에 불과하고, 가장 가능성이 높은 시나리오는 미국이 더 높은 인플레이션을 동반한 완전한 경기침체에 빠지는 것”이라고 꼬집었다. 더들리 전 총재는 트럼프 대통령의 자유무역에 대한 공격은 그 범위와 규모, 비타협적 태도 측면에서 전례가 없다고 평가하며 미국의 가중 평균 관세율이 올해 3% 미만에서 25% 이상으로 급상승할 것으로 예측했다. 이는 트럼프 1기 행정부 시절보다 10배 이상 증가한 수치다.

이 밖에도 스탠리 드러켄밀러(듀케인패밀리오피스), 하워드 막스(오크트리 캐피털), 댄 선드하임(디원캐피털), 댄 로엡(서드포인트) 등 월가 CEO들이 비판 대열에 동참했다. 은행권 고위 임원들도 하워드 러트닉 상무장관 등 백악관 고위관계자들과 잇따라 비공식 회동을 하며 관세 정책에 대한 불만을 전달한 것으로 알려졌다.

미국 물가 상승해 경제 부담 키울 것

이들 전문가들은 관세전쟁의 최대 피해자가 결국 미국 소비자들이 될 것이라는 데 의견이 일치했다. 미국이 발동을 건 관세전쟁이 오히려 자국 내 경제 펀더멘털을 약화시키는 부메랑으로 작용할 수 있다는 것이다. 이에 투자은행(IB) 골드만삭스는 올해 미국 인플레이션이 3.5%에 이르는 반면 성장은 1%에 그치고 실업률은 4.5%로 높아질 것으로 예측했다. 경기침체 확률은 종래 20%에서 35%로 높였다.

JP모건도 트럼프 대통령의 광범위한 관세로 인해 올해 미국 경제가 역성장에 빠질 것으로 전망했다. JP모건은 올해 미국 경제성장률 전망치를 무려 1.6%포인트나 낮췄다. 지난 2년간 상대적으로 견조한 성장을 이어온 미국 경제가 관세 충격으로 인해 마이너스 성장으로 돌아설 것이라는 관측이다. JP모건의 미국 수석 이코노미스 마이클 페롤리는 "올해 미국 경제성장률이 이전 1.3%에서 -0.3%로 낮아질 것으로 예상한다"고 말했다.

아울러 실업률 전망치도 상향 조정해 추가로 실업자가 거의 200만 명 증가할 것으로 수정 전망했다. 앞서 페롤리 이코노미스트는 지난 2일 투자자 노트에서 상호관세가 올해 미국의 인플레이션을 1.5%포인트 올릴 수 있는 반면 개인소득과 소비지출을 억누를 수 있다며 "이 효과만으로도 미국 경제를 위험할 정도로 침체에 가까워지게 할 수 있다"고 진단한 바 있다.

실제 전 세계를 상대로 한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전쟁의 충격파는 이미 미국 내부를 강타했다. 증시 불안, 중소기업의 비용 부담 증가, 소비자물가 상승 등의 부작용이 가시화되고 있으며, 상호관세 발표 직후 미국 증시는 폭격을 맞았다. 말 그대로 '검은 목요일'이었다. 미국증시 대표주인 'M7(마이크로소프트·메타·아마존·알파벳·애플·엔비디아·테슬라)' 종목은 7~9% 폭락했으며, 중소형주 위주의 러셀2000지수는 최고치 대비 20% 이상 빠졌다.

세계 경제 운명을 건 ‘도박’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 폭탄은 미국뿐 아니라 전 세계 경제에도 악재다. 영국 애스턴대학은 트럼프발 관세전쟁이 EU로 확전해 전 세계로 확대될 경우 전 세계 경제에 미치는 타격이 1조4,000억 달러(약 2,068조원)에 달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이 경우 미국도 치명타를 입게 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트럼프 행정부는 국가재정 건전성 회복과 제조업 부활이라는 정치적 목적하에 당분간 강경한 통상정책을 유지할 것으로 보인다. 또한 트럼프 대통령의 주요 지지층인 제조업 종사자들에게 어필하고 있다는 점에서, 단기간이 아닌 중장기 전략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매우 높다.

트럼프 대통령과 주변 참모들의 논리는 단순하다. 저렴한 수입품은 미국 소비자에게 이익이 될 수 있지만, 수입품을 만든 해외 수출업체와는 경쟁할 수 없는 미국 생산자에겐 피해를 준다고 지적한다. 이 경우 생산자는 생산을 줄이거나 문을 닫아 좋은 제조업 일자리를 없앤다. 실직한 근로자가 새로운 일자리를 다시 찾더라도 임금은 전보다 낮아지는 경우가 많아 건강이 나빠지고, 메디케이드(건강보험)에 대한 정부 예산이 증가하며, 더 가난해진 지역 사회는 범죄와 약물 사용이 증가할 수밖에 없다. 이처럼 저렴한 수입품은 ‘부정적인 외부 효과’를 초래하는 만큼 관세를 통해 수입 제품의 가격을 올림으로써 이런 사태를 방지한다는 것이다.

트럼프 대통령은 일시적인 혼란을 감수하고라도, 미국 제조업을 되살리고 외국 기업들이 시설을 미국으로 이전하도록 강요함으로써 미국인들에게 좋은 일자리를 제공할 것이라고 믿고 있다. 그러면 임금도 높아져 값이 비싸진 제품도 충분히 구매할 수 있고, 모든 사람이 더 나은 삶을 살게 될 것이란 논리다.

하지만 월스트리트저널(WSJ)은 이를 비웃으며 반박했다. WSJ는 “우선 관세는 (결국 제품을 수입하는) 수입국에서 부담해야 할 수입세나 마찬가지”라며 “캐나다, 멕시코, 중국, 유럽연합 등이 가만히 앉아서 관세 명목으로 미국 금고에 수십억 달러를 쏟아붓지 않을 것”이라고 지적했다. 반드시 보복관세에 나설 것이란 얘기다. 이에 “미국 내 수입업체들은 결국 인상된 수입 제품 가격을 소비자에게 전가해야 할 것”이라고 했다.

뉴욕타임스(NYT)는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정책을 비판하는 선을 넘어 “미국민과 경제를 볼모 삼아 도박을 하고 있다”고 공격을 퍼붓고 있다. NYT는 ‘트럼프 대통령의 한탕 도박’(Trump’s Big Bet)이란 제목으로 “미국인들은 제조업 회복을 위해 경기 침체를 용인할 것을 강요당하고 있다”고 했다. 특히 관세정책은 “엄청난 경제적, 정치적 도박”이라며 “미국인들은 미국 중부(러스트 벨트)의 재(再)산업화라는 막연한 희망을 위해 몇 달 또는 몇 년 동안 경제적 고통을 겪을 것”이라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엄청나게 위험한 사태”라고 경고했다.

Picture

Member for

5 months 3 weeks
Real name
이제인
Position
연구원
Bio
[email protected]
뉴스의 사회적 책임을 자각하며 공정하고 균형 있는 시각을 최우선으로 합니다. 꾸준한 추적과 철저한 리서치를 바탕으로 사실만을 전달하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