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main content
SKT, 4,000억원 카카오 지분 전량 매각, SKB 자회사 편입 자금 확보 목적
Picture

Member for

6 months 1 week
Real name
김세화
Position
연구원
Bio
[email protected]
공정하고 객관적인 시각으로 세상의 이야기를 전하겠습니다. 국내외 이슈에 대한 정확한 이해와 분석을 토대로 독자 여러분께 깊이 있는 통찰을 제공하겠습니다.

수정

SKT, 시간 외 대량매매로 카카오 지분 매각
SKB IPO 철회, FI 지분 인수 위한 자금 마련
인수 대금 1조1,500억원 중 4,000억원 확보

SK텔레콤이 보유 중이던 4,000억원 규모의 카카오 지분을 전량 매각했다. SK텔레콤과 카카오가 전략적 파트너십을 체결한 지 6년 만이다. 이번 매각은 SK브로드밴드 완전 자회사 편입을 위한 자금 마련을 위한 조치로, 매각을 통해 확보한 자금은 SK브로드밴드의 지분 인수에 투입될 예정이다. 지분 인수 절차가 완료되면 SK텔레콤은 SK브로드밴드 지불 99.14%를 확보하게 된다.

2019년 주식 교환 후 6년 만에 전량 매각

25일 SK텔레콤은카카오 지분 전량인 2.4%(1,081만8,510주)를 시간 외 대량 매매(블록딜) 방식으로 매각한다고 공시했다. 양사 간 전략적 파트너십을 체결한 지 6년 만이다. 매각 금액은 3,952억원, 주당 단가는 3만6,530원이다. 이는 전날 카카오 종가(3만9,450원) 대비 7.4% 할인된 가격이다. SK텔레콤의 한 관계자는 "카카오의 지분을 모두 매각했지만, 클라우드 사업 협력, ESG 공동 펀드 운영 등을 진행하는 등 양사 간 긴밀한 협력은 변함없을 것"이라고 밝혔다.

지난 2019년 11월 SK텔레콤과 카카오는 약 3,000억원 규모의 주식 교환에 합의했다. SK텔레콤은 카카오가 발행한 신주 약 217만7,401주(지분율 2.4%)를 , 카카오는 같은 시기 SK텔레콤의 자기주식 126만6,620주(지분율 1.6%)를 각각 3,000억 원에 취득다. 이 제휴를 통해 양사는 통신, 커머스, 디지털 콘텐츠, 미래 ICT 등 4대 분야에서 긴밀한 협력을 추진한다고 밝혔다. 2021년 SK텔레콤의 인적분할로 인해 카카오는 SK텔레콤과 SK스퀘어의 지분을 각각 보유하게 됐다.

미래에셋 등 보유 지분 인수 시 지분율 99%

SK텔레콤이 카카오 주식을 전부 매각한 주요 목적은 SK브로드밴드를 완전 자회사로 편입시키기 위한 자금을 마련하기 위해서다. 앞서 지난 2020년 SK텔레콤은 티브로드와 합병하면서 재무적투자자(FI)인 미래에셋그룹과 태광그룹으로부터 4,000억원 규모의 투자를 유치하는 조건으로 5년 이내 SK브로드밴드의 기업공개(IPO)를 약속했다. 하지만 SK텔레콤은 최근 시장 상황 악화로 IPO 계획을 철회했다.

이에 지난해 11월 SK텔레콤은 태광그룹과 미래에셋그룹이 보유한 SK브로드밴드 지분 24.8% 전량을 인수하는 주식양수도 계약을 체결했다. 현재 태광그룹과 미래에셋그룹이 보유한 지분율은 각각 16.75%와 8.01%다. 당시 SK텔레콤 측은 "IPO보다는 향후 SK텔레콤과의 더 큰 시너지를  낼 수 있도록 하는 것이 3사 모두에 이익이 된다는 공감 아래 이번 계약을 체결했다”고 설명했다.

SK텔레콤이 다시 지분을 가져오는 데는 1조1,500억원의 자금이 소요된다. SK텔레콤 관계자는 "이번 주식 매각을 통해 확보한 자금은 다음달 중 FI 지분 매입에 필요한 1조1,500억원에 활용될 예정"이라며 "그외 나머지 비용은 여러 조달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고 밝혔다. 지분 인수가 마무리되면 SK텔레콤은 SK브로드밴드 지분 99.14%를 갖게 돼 완전 자회사로 편입된다.

SK그룹, 지난해부터 본격적인 리밸런싱 추진

SKT의 지분 매각은 지난해부터 이어온 SK그룹의 리밸런싱 작업과 무관하지 않다. 지난해 하반기 SK그룹은 SK이노베이션의 부진으로 위기를 맞았다. 배터리 분야 육성을 위한 무리한 투자가 부채 확대로 이어지면서, 결과적으로 그룹 전체에 악영향을 미친 것이다. 이에 SK그룹은 '큰 파고(Big Wave)'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역대급 구조조정에 돌입했다. 사업부문별 리밸런싱은 물론 계열사의 자산·지분 매각 및 합병, 현금 확보를 위한 인력 효율화 등이 동시다발적으로 진행됐다.

당시 SK그룹은 운영 개선을 통해 3년 내 30조원의 FCF(잉여현금흐름)를 만들어 부채비율을 100% 이하로 관리한다는 목표를 제시했다. 최 회장의 리밸런싱 선언 이후, 계열사들은 기업구조 개선에 속도를 냈다. 실제로 최근 주요 계열사를 중심으로 손익·현금흐름 개선, 자산 매각 등이 본격화하면서 그룹 재무구조가 빠르게 안정화 되는 분위기다. SK그룹의 부채비율은 2023년 말 145%에서 지난해 3분기 말 128%로 감소했고 영업이익도 2023년 2조4,000억원 적자에서 지난해 1~3분기 18조2,000억원으로 흑자전환했다.

올해도 강도높은 리밸런싱이 이어질 전망이다. 최 회장은 올해 초 그룹 구성원에게 보내는 신년사에서 "본원적인 경쟁력 확보를 위해 단순한 비용 절감을 넘어 경영 전반의 내실화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올해 3월에 열린 정기주주총회에서 SK㈜ 최고경영자(CEO)이자 주총 의장인 장용호 사장은 "올해 적극적 리밸런싱을 통해 기업 가치를 제고하겠다"며 "변동성이 높은 대외 여건에도 기업의 생존을 담보하고 지속적인 성장과 주주 가치 상승을 위해 체질을 강화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Picture

Member for

6 months 1 week
Real name
김세화
Position
연구원
Bio
[email protected]
공정하고 객관적인 시각으로 세상의 이야기를 전하겠습니다. 국내외 이슈에 대한 정확한 이해와 분석을 토대로 독자 여러분께 깊이 있는 통찰을 제공하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