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main content
[빅데이터] 4월 소비자물가 3.7%↑ 물가는 잡히는데 금리는 언제 내릴까?
Picture

Member for

2 months 1 week
Real name
이시호
Position
연구원
Bio
[email protected]
세상은 다면적입니다. 내공이 쌓인다는 것은 다면성을 두루 볼 수 있다는 뜻이라고 생각하고, 하루하루 내공을 쌓고 있습니다. 쌓아놓은 내공을 여러분과 공유하겠습니다.

수정

지난 7일간 '물가' 관련 키워드 클라우드/출처=데이터 사이언스 경영 연구소(MDSA R&D)

지난달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14개월 만에 3%대를 기록했다. 2일 통계청 ‘2023년 4월 소비자물가동향’에 따르면 지난달 소비자물가지수는 118.20을 기록했다. 이는 2020년을 기준치(100)로 잡았을 때 지수로 지난해 같은 달보다 3.7% 올랐다.

전월 상승률(4.2%)보다는 0.5%포인트 낮다. 물가 상승률이 3%대로 둔화한 것은 지난해 2월(3.7%) 이후 처음이다. 외식 등 개인서비스 가격은 상승 폭을 웃돌았으나, 석유류 가격이 지속 하락하며 물가 상승률을 끌어내린 결과다. 물가 상승세는 공공요금 인상의 영향을 받은 지난해 10월(5.7%)과 올해 1월(5.2%)을 제외하면 작년 7월(6.3%)을 정점으로 둔화하는 추세다. 최근 3개월 사이에는 1.5%포인트가 하락했다.

사진=통계청

물가 안정화 신호탄

상승세가 주춤하는 건 석유류 가격이 하락하면서 전반적인 물가 상승률을 떨어트리고 있기 때문이다. 석유류는 한 해 전보다 16.4% 내려가며 3개월째 하락세를 이어가고 있고, 이달 들어서는 2020년 5월(-18.7%) 이후 35개월 만에 가장 큰 폭으로 떨어졌다. 석유류의 전체 물가 상승률에 대한 기여도는 지난 2월(-0.05%p)부터 하락세로 반전됐다. 3월에는 -0.76%p를 기록하며 하락폭이 더 커졌고, 지난달 기여도는 -0.90%p를 기록했다. 전문가들은 원자재 가격 상승이 물가 상승을 주도했던 만큼, 원유 가격 정상화로 물가 안정화 효과가 당분간 이어질 것으로 전망했다.

원자재 인플레이션이 약화되면서 주요 상품의 가격 상승세도 주춤하는 모습이다. 가공식품(7.9%)은 전월(9.1%)보다 하락했고, 농축수산물(1.0%)도 전월(3.0%)보다 상승률이 둔화됐다. 다만 전기·가스·수도는 23.7% 올라 전월(28.4%)보다 상승 폭이 줄어들었다. 당초 지난달 예정됐던 전기요금 인상 등이 미뤄지고 지난해 4월 인상에 따른 상승률 차이가 없어진 까닭이다.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는 지난달 주요 인터뷰에서 5월 이후 물가 상승세가 뚜렷하게 안정화되면서 연말에는 3% 초반으로 떨어질 것으로 전망했다. 다만 6월 이후 유가가 배럴당 90달러 이상으로 상승할 경우 및 원자재 가격 변동을 예측하기 어려워 하반기 예측은 어렵다며 조심스러운 반응을 보이기도 했다.

출처=통계청

금리는 떨어지나?

반면 금리 전망에 대해서는 물가 상승세가 완연히 꺾이는 것을 확인하고 난 다음에 이뤄져야 한다는 입장을 내놨다. 그동안의 금리 인상 기조에 대해 "고물가가 고착되면 경제 전반에 더 큰 손실이 초래되기 때문에 이를 막기 위해서는 금리 인상이 불가피했다"며 "국내외 불확실성 요인들을 면밀히 점검하면서 우리 경제가 조속히 안정될 수 있도록 정교하게 대응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이 총재는 이어 현재 금융통화위원회 내 중론은 3개월 단위로 주요국의 금리 결정과 데이터를 보면서 결정하자는 것이라며 "지난번 금통위 결정할 때 여섯 분 중 다섯 분이 3개월 내 현재 3.5% 금리에서 3.75%까지 올라갈 수 있는 가능성을 열어놓자고 했다"고 말했다.

오는 5월 3일(현지 시간) 예정된 미국의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에서 올해 마지막 금리 인상이 있거나, 미국 내 은행 불안으로 금리 인상을 더 이상 하지 않겠다고 선언할 수도 있는 만큼, 전문가들은 한국도 금리 인상을 한 차례 더 하게 되거나 동결하는 데 무게를 두지 않겠냐는 해석도 내놓는다. 다만 정책 결정자들 입장에서는 준칙을 따라야 하는 데다 물가 상승률이 여전히 3%대 후반인 만큼 금리 인상 가능성에 대한 신호를 시장에 지속적으로 제시해야 한다는 설명이다.

지난 7일간 '물가' 관련 키워드 네트워크/출처=데이터 사이언스 경영 연구소(MDSA R&D)

금리 한 차례는 더 오를 것, 하반기까지 동결 이어가다 하락세로 돌아서나?

지난 1일(현지 시간) 기준 시카고상품거래소(CME) 페드워치에 따르면 연방기금금리선물 시장에서 연준이 기준금리를 25bp 올릴 가능성은 89.5%로 압도적인 상황이다. 빅스텝(0.5%p인상)을 예상하는 경우는 0%, 거꾸로 25bp 인하할 가능성도 10.5%에 달한다. 시장에서는 전반적으로 물가 상승세가 완연히 잡힌 데다, 정책 시차가 있는 만큼 한 차례 더 인상해 중앙은행이 준칙(Rule)에 입각해 이자율 정책을 이끌어가고 있음을 시장에 보여주는 것만으로 인플레이션 차단 효과가 지속될 것이라는 설명이다.

반면 월가 대표 비관론자인 마이크 윌슨 모간스탠리 최고투자책임자(CIO)는 지난달 30일 연방준비제도(연준)가 예상보다 매파적 스탠스를 보여 미국 증시가 부담을 받을 수 있다는 경고를 내놨다. 미국이 지난달 12일 발표한 소비자 물가지수가 여전히 5%에 달하는 데다, 이달 10일에 예정된 4월 물가 상승률도 5.2%로 잠정 예측되는 상황이기 때문이다.

국내 언론, SNS, 커뮤니티 등을 통해 수집한 빅데이터 여론 분석에서는 금리 상승에 대한 추가적인 우려보다 금융기관 및 기업들의 부담(붉은색 및 보라색 키워드 그룹), 대응 정책들(녹색 키워드 그룹)에 대한 의견이 주로 대두된다. 약간의 상승이 있다고 하더라도 이미 시장에서 예측하고 있는 범위인 데다, 올 하반기 들어 금리 인하로 돌아설 것이 점차 확실해지고 있는 만큼 연준이 빅스텝을 취하지 않는 이상 시장에 깜짝 충격은 없을 것이라는 분석이다.

Picture

Member for

2 months 1 week
Real name
이시호
Position
연구원
Bio
[email protected]
세상은 다면적입니다. 내공이 쌓인다는 것은 다면성을 두루 볼 수 있다는 뜻이라고 생각하고, 하루하루 내공을 쌓고 있습니다. 쌓아놓은 내공을 여러분과 공유하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