입력
수정
쌓여가는 악재에 신음하는 민간 건설업계, 1월 수주액 급감 급성장 기록한 공공 수주 시장, 민간 시장 '대체재'로 주목 고금리·공사비 해결 없이는 상황 안 변한다? 고비용의 굴레
지난 1월 국내 건설사들의 주택 수주액이 눈에 띄게 감소했다. 지난 12월 태영건설의 워크아웃 신청을 기점으로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리스크가 본격화한 가운데, 고금리 기조·공사비 상승세로 사업성이 꾸준히 악화하며 시장 전반이 가라앉은 것이다. 위기에 빠진 건설사들은 동력을 잃은 민간 부동산 시장을 뒤로하고 공공공사(Public construction) 사업으로 눈을 돌리는 추세다.
6년 만에 최저치 경신, 얼어붙은 민간 수주
대한건설협회가 국내 건설수주 동향을 조사한 결과에 따르면, 지난 1월 국내 건설사들의 주택(주거용 건축) 수주액은 총 3조2,656억원(약 25억 달러)으로 집계됐다. 이는 1월 기준 지난 2018년(3조2,612억원) 이후 6년 만에 가장 적은 수준이자, 월별 기준 2019년 2월(2조6,626억원) 이후 최저치다. 주거용 건축 수주는 신규 주택과 재건축·재개발 사업 수주 등을 포함하는 개념이다.
협회 측은 “1월은 부동산 PF, 고금리, 공사비 상승 등에 따라 공공·민간 부문 모두 수주 실적이 하락해 건설 경기 위축이 심화됐다”고 설명했다. 특히 금융당국이 연초 금융권을 향해 가한 '부동산 PF 부실 사업장 정리' 압박이 수주액 위축으로 이어졌다는 분석이다. 박철한 한국건설산업연구원 연구위원은 “정부의 압박에 금융권이 (부동산 PF에) 매우 보수적으로 대응하는 상황에서 건설사들이 새로운 PF를 일으키기는 어렵다”며 수주 감소 이유를 설명했다.
한편 연간 기준으로 범위를 넓혀도 수주 감소 추세는 여전하다. 한국건설산업연구원이 분석한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국내 총 건설 수주 금액은 189조8,000억원(약 1,447억 달러)으로 2022년(229조7,000억원) 대비 17.4% 감소했다. 이는 물가 변동을 감안한 불변금액(2015년 기준) 기준으로 9년 만에 최저치다. 특히 지난해 민간 시장의 총수주 실적은 125조5,000억원으로, 전년 대비 27.4% 급감했다.
공공 수주는 오히려 성장? 건설사의 '구명줄'
눈에 띄는 점은 민간 수주가 위축되는 동안 공공 수주는 오히려 대폭 성장했다는 점이다. 지난해 공공 수주실적은 2022년 대비 13.1% 증가한 64조3,000억원(약 490억 달러)을 기록했다. 이는 관련 통계가 작성되기 시작한 1994년 이후 역대 최대 실적이다. 공공 수주는 지난해 11월까지만 해도 전년 동기 대비 6.8% 감소하며 약세를 보였으나, 12월 발주가 급증하면서 상승 전환에 성공했다.
통상 공공공사는 민간 주택 사업 대비 안정성이 높고 경제 성장과 일자리 창출에 효과적이지만, 수익성은 상당히 낮은 편이다. 사업성을 중시하는 민간 건설사들은 대부분 민간 수주에 초점을 맞추곤 한다. 하지만 고금리, 공사비 상승, 부동산 PF 리스크 등으로 건설 경기 전반이 침체한 현재, 공공공사는 민간 주택사업의 빈자리를 메꿀 '대체재'로 자리매김하는 추세다.
민간 부동산 시장의 침체 기조가 이어지는 가운데, 업계에서는 공공 수주가 한동안 성장세를 지속할 것이라고 전망한다. 정부가 사회기반시설(SOC) 사업 예산을 확대하며 건설비를 3.0%(2024년 예산 16조3,602억원) 늘린 만큼, 공공 수주를 받아 시장 침체 위기를 넘기려는 건설사 역시 자연스럽게 증가할 것이라는 분석이다.
시장 침체 원인, 부동산 PF 아닌 '돈'?
다만 고금리·공사비 급등 기조가 이어지는 이상 민간과 공공 전반이 가라앉을 수밖에 없다는 비판적 시각도 존재한다. 부동산 PF 리스크가 현재의 침체 기조에 영향을 미친 것은 분명하지만, 시장 위축의 '결정적' 원인은 아니라는 시각이다. 실제 한 건설업계 관계자는 "극단적으로, 정부가 모든 부실 PF를 구제해 준다고 해도 시장 상황은 별반 달라지지 않을 것"이라며 "(현재 국내 건설업계는) 무섭게 뛰는 공사비를 감당할 여력이 없다"고 짚었다. 사실상 건설 수주 위축의 근본적 원인은 비용 부담이라는 것이다.
부동산 PF 리스크가 크지 않은 여타 국가 역시 수주 침체를 겪고 있다는 점도 이 같은 주장에 힘을 보탠다. 일례로 미국의 경우 1월 주택 착공 건수가 2023년 12월보다 14.8% 감소한 133만1,000호까지 미끄러졌다(미국 상무부 통계 기준). 이는 시장 예상치(145만 호)를 크게 밑도는 수치이자, 전년 동월 대비 0.7% 감소한 규모다. 고물가와 고금리, 1월의 혹한·폭설 등 악재가 겹치며 수주가 급감한 것으로 풀이된다.
이와 관련해 영국 로이터통신은 "미국 연방준비이사회(FRB)가 올 상반기 정책금리 인하를 시작할 것으로 예상되는 만큼, 앞으로는 (미국 건설 수주가) 회복될 가능성이 높다"고 분석했다. 문제는 우리나라다. 현재 한국은 치솟는 과일값을 중심으로 좀처럼 물가 상승세가 잡히지 않고 있으며, 미국의 기준금리 인하 이후에야 겨우 금리 인하가 시작될 가능성이 크다. 기약 없는 금리 인하를 기다릴 수밖에 없는 무력한 상황 속, 오늘도 국 건설업계는 '생존'을 위해 바쁘게 움직이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