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main content
무디스, 한국 신용등급 'Aa2·안정적' 유지, 성장률 전망도 2.5% 상향 조정
Picture

Member for

3 months
Real name
이동진
Position
기자
Bio
[email protected]
흑백의 세상에서 회색지대를 찾고 있습니다. 산업 현장을 취재한 경험을 통해 IT 기업들의 현재와 그 속에 담길 한국의 미래를 전하겠습니다.

수정

무디스, 韓 신용등급 Aa2 유지
반도체 호조·설비투자 회복 등 영향
S&P, OECD도 경제성장률 긍정 전망
moodiys-getty_20240510
사진=게티이미지뱅크

세계 3대 신용평가사 중 한 곳인 무디스가 한국의 국가신용등급을 Aa2로 유지했다. 신용등급 전망도 종전과 같이 ‘안정적’이라는 평가를 내렸다. Aa2는 무디스의 신용등급에서 Aaa, Aa1에 이어 세 번째로 높은 등급이다. 무디스는 올해 한국의 경제성장률도 2.5%로 상향 조정했다.

무디스 한국 신용등급 'Aa2', 2015년부터 유지

기획재정부에 따르면 무디스는 9일(현지시간) “다변화되고 있는 경제와 기민한 정책 대응, 강한 재정 역량 등의 긍정적인 측면과 생산성 둔화, 대북리스크 등을 고려해 한국의 국가신용등급을 ‘Aa2, 안정적’으로 평가한다”고 밝혔다. 무디스는 2015년 12월 한국의 신용등급 평가를 Aa2로 상향 조정한 이후 꾸준히 해당 등급을 유지하고 있다. 우리나라와 같은 등급을 받은 나라로는 프랑스, 아부다비, 아랍에미리트 등이 있다. 중국과 일본의 등급은 우리나라보다 두 단계 낮은 A1이다.

무디스는 반도체 산업을 중심으로 펼쳐지고 있는 미중 무역 갈등에도 불구하고 글로벌 공급망에서 한국이 가지는 지위는 크게 영향받지 않을 것이라고 분석했다. 이밖에도 잠재성장률을 높이고 고령화를 극복하기 위한 한국의 정책적 노력이 높은 수준의 신용 등급을 유지하는 데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고 설명했다.

다만 대북리스크와 저출산·고령화로 인한 잠재성장률의 하락 등은 한국의 신용등급 평가를 떨어트리는 요인으로 지목했다. 아울러 고령화 현상에 제대로 대응하지 못할 경우 국가 채무가 급속도로 악화될 수 있다는 점을 우려하기도 했다.

이어 무디스는 올해 한국 국내총생산(GDP)이 2.5% 성장할 것으로 내다봤다. 반도체 산업이 호조세를 보이고 있고 지난해 성장률이 1.4%로 상대적으로 낮아 기저효과가 예상된다는 이유에서다. 이는 지난해 11월 당시 전망치였던 2.0%에서 0.5%포인트 올라간 수치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도 'AA'로 유지

국제 신용평가사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도 한국의 장기 국가신용등급을 종전 등급인 'AA'로 유지했다. 8년째 같은 등급이다. 지난달 말 S&P는 2016년 8월 한국의 국가신용등급을 'AA-'에서 'AA'로 한 단계 상향 조정한 이후 이를 유지해 오고 있다. 'AA'는 S&P의 국가신용등급 중 세 번째로 높은 등급이다. 한국은 영국과 벨기에, 아일랜드 등과 같은 등급으로 묶였다. 중국과 일본(이하 A+)은 한국보다 국가신용등급이 2단계 낮다.

S&P는 한국의 올해 경제성장률로는 2.2%를 전망하며 앞으로 3년간 성장률은 연간 2%에 근접하거나 웃돌 것으로 추정했다. 이어 올해 1인당 국내총생산(GDP)은 약 3만5,000달러(약 4,790만원)로 추정했다. 물가상승률은 지난해 3.6%에서 올해 2.6%로 하락할 것으로 내다봤다.

S&P는 "한국의 연간 가계부채 증가율이 2018~2021년 동안 평균 6%를 상회했던 것과 비교해 2022~2023년 동안에는 1% 수준 이하로 하락했다"며 "이러한 추세가 지속된다면 고금리 장기화에 따른 민간소비 위축 우려도 완화될 수 있다"고 평가했다.

재정건전성은 내년부터 개선되면서 오는 2027년 균형재정을 달성할 것으로 전망했다. GDP 대비 일반정부 재정수지는 -1% 수준으로 추정했다. 지정학적 리스크에 대해선 북한 정권 붕괴 시 '통일 비용'에 따른 우발채무 위험을 취약점으로 지적하면서도 경제기반을 훼손할 정도로 고조되지는 않을 것으로 전망했다. S&P는 "지정학적 리스크가 한국의 국가신용등급에 여전히 부담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지만 최근 북한 상황이 한반도의 심각한 안보 및 경제 리스크 확대로 이어지지는 않았다"고 판단했다.

Economic indicator gdp and import and export container backgroun
사진=유토이미지

OECD 전망도 밝음, 경제성장률 전망치 2.6%

경제협력개발기구(OECD)도 긍정적 전망을 내놨다. OECD는 올해 한국의 경제성장률 전망치를 기존 대비 0.4%포인트 높인 2.6%로 올려잡았다. OECD가 주목한 부문은 수출이다. 반도체 중심의 글로벌 수요 반등이 한국의 수출을 촉진하고 있다는 이유에서다. OECD는 지난해 11월 올해 한국 수출이 전년 대비 4.0% 증가한다고 전망했는데, 이번에는 증가율 전망치를 5.5%로 크게 올렸다. 예상보다 빠른 수출 회복세가 올해 한국경제 성장을 이끈다고 평가한 것이다.

이와 관련해 기재부 핵심관계자는 “OECD가 지난달 25일 한국은행이 발표한 지난 1분기 성장률 속보치(1.3%·전분기 대비)를 반영해 전망치를 올린 것”이라고 말했다. OECD는 빠른 회복세를 보이는 수출과 달리 부진을 겪고 있는 내수 시장은 올해 말부터 반등할 것으로 내다봤다. 올 연말께 물가상승률이 2%대 초반에 근접하고, 이에 따라 하반기에 한은이 기준금리를 인하한다는 전제를 달았다.

한편 OECD는 올해 세계 경제성장률 전망치를 3.1%로 이전보다 0.2%포인트 상향 조정하면서 세계 경제가 저점을 지나 완만한 회복세를 지속하고 있다고 평가했다. 올해 미국경제 성장률은 기존 2.1%에서 이번에 2.6%로, 중국경제 성장률은 4.7%에서 4.9%로 올렸다.

Picture

Member for

3 months
Real name
이동진
Position
기자
Bio
[email protected]
흑백의 세상에서 회색지대를 찾고 있습니다. 산업 현장을 취재한 경험을 통해 IT 기업들의 현재와 그 속에 담길 한국의 미래를 전하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