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main content
연체율 급등에 NPL 대량 매각한 은행권, 건전성 관리 방책이 리스크 키우나
Picture

Member for

3 months
Real name
박창진
Position
연구원
Bio
[email protected]
지근거리를 비추는 등불은 앞을 향할 때 비로소 제빛을 발하는 법입니다. 과거로 말미암아 나아가야 할 방향성을 비출 수 있도록 노력하겠습니다.

수정

대출채권 기초 ABS 발행 금액 21% 감소, NPL 기초 ABS는 대폭 증가
제2금융권은 공동매각 진행, PF 정상화 펀드 가동하기도
NPL 투자사 좌불안석, "NPL 매각 규모 확대로 경·공매 유찰률 늘어"
NPL BANK FE 20240729

금융권 전반의 연체율이 급등하면서 고정이하여신(NPL)을 털어내는 데 주력하는 곳들이 늘고 있다. 특히 저축은행 업계는 연체율이 10%를 넘어설 위기에 처한 만큼 공동매각 등 방식을 통한 NPL 매각에 더욱 적극적인 모양새다. 다만 NPL 매각이 향후에도 원활히 이뤄질 수 있을지는 미지수라는 평가가 나온다. NPL 대량 매각으로 NPL 처리 여력이 소모될수록 금융 불안정성이 높아질 수밖에 없어서다.

NPL 기초 ABS 발행 급증, 전년 대비 87% 증가

29일 금융감독원은 '2024년 상반기 등록 자산유동화증권(ABS) 발행 실적'을 통해 NPL 기초 ABS 발행이 급증했다고 밝혔다. 금감원에 따르면 올해 상반기 등록 ABS 발행 금액은 총 27조5,000억원으로 지난해 동기보다 8.2%(2조5,000억원) 감소했으나 NPL 기초 ABS 발행 규모는 지난해 상반기 2조1,000억원에서 올해 상반기 3조9,000억원으로 87%(1조8,000억원) 증가했다. 주택저당채권과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등 대출채권 기초 ABS 발행 금액이 21% 줄어든 것과는 대조되는 양상이다.

NPL 기초 ABS 발행이 부쩍 늘어난 건 국내 은행들이 자산건전성 관리를 위해 NPL 매각에 나선 영향이다. 금융권에 따르면 올해 상반기 5대 은행(KB·신한·하나·우리·NH농협)은 3조2,704억원어치 NPL을 상·매각했다. 이는 지난해 상반기(2조2,232억원)의 1.47배 수준일 뿐 아니라 지난해 하반기(3조2,312억원)보다도 많은 수준이다.

문제는 차주들의 연체가 급속히 늘면서 은행들의 공격적인 상·매각보다 더 빠른 속도로 NPL이 쌓이고 있다는 점이다. 실제 5대 은행의 올해 1분기 말 기준 단순 평균 NPL 비율은 0.28%로 지난해 1분기 말 0.27%보다 0.01%p 상승했다. 부문별로도 가계 부문이 0.17%에서 0.18%로, 기업 부문은 0.31%에서 0.33%로 0.31%에서 0.33%로 NPL 비율이 나란히 올랐다. 전체 자산의 질이 하락하고 있단 의미다.

저축은행도 NPL 털어내기, 10% 육박한 연체율이 원인

이 같은 추세는 제2금융권도 마찬가지다. 금융권에 따르면 여신금융협회는 캐피탈·카드사의 연체 채권을 4,000억~5,000억원 규모로 모아 오는 3분기 NPL 전문투자회사에 공동매각할 예정이다. 여신 업계에서 공동매각을 진행하는 건 이번이 처음이다. 여신협회는 2~3개의 자문사를 선정하고 나면 참여사와 공동매각 규모를 확정하고 9월 안으로 매각에 나설 계획이다.

여신협회 측은 지난 6월 2,600억원 규모의 2차 부동산 PF 정상화 펀드도 가동했다. 당초 2,000억원을 들여 펀드를 가동할 계획이었으나 출자에 나선 캐피탈사가 투입 자금을 늘리면서 집행 규모가 확대된 것이다. 펀드는 NPL을 사들이거나 PF 사업장에 유동성을 불어넣는 데 사용될 예정이다. 펀드의 자금이 집행되면 중소형 캐피탈사가 PF 사업장의 NPL을 털어내거나 PF 사업장 정상화 속도가 빨라질 것으로 기대된다.

저축은행도 1조원 규모의 NPL을 털어낼 계획이다. 우선 18개 저축은행이 모은 개인 무담보, 개인사업자 NPL 1,360억원어치를 F&I에 공동매각할 방침이다. 저축은행 업계가 조성한 5,100억원 규모의 2차 부동산 PF 정상화 펀드도 양수도 계약을 마쳤다. 여기에 더해 개별 저축은행의 대손상각이 3,000억원 이상 규모로 이뤄질 예정이다.

이처럼 제2금융권이 NPL 정리에 매진하는 이유는 치솟는 연체율에 있다. 특히 저축은행 업게는 연체율이 10% 선을 돌파하기 일보 직전인 상황까지 몰렸다. 실제 저축은행의 올해 1분기 말 연체율은 8.8%로 단 3개월 만에 2.25%p 높아졌고, 개인사업자대출 연체율로 범위를 좁히면 연체율이 9.96%에 달한다.

캐피탈사도 부동산 PF 대출을 중심으로 연체율이 높아지고 있다. 올해 1분기 말 캐피탈사의 PF 잔액은 25조4,000억원으로 은행·보험사 다음으로 많은 수준이고, 연체율도 5.27%로 2020년 말 0.28%에서 18배 급등했다. 개인사업자대출 연체율 역시 3.21%로 높은 수준이다. 이에 대해 캐피탈 업계 관계자는 "아직 저축은행처럼 연체율이 지나치게 높은 수준은 아니지만, 선제적으로 리스크 관리가 필요한 상황"이라며 "LPL 정리를 통해 연체율이 두 자릿수로 높아지는 데까지 걸리는 시간을 늦출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고 전했다.

Burden NPL FE 20240729

새마을금고도 NPL 매각 본격화, 투자사들은 "회수 가능성 불투명"

이런 가운데 최근엔 새마을금고까지 NPL 털기에 나섰다. 부동산 PF 및 관리형토지신탁대출 등이 부실을 겪으면서 연체율이 급등한 탓이다. 실제 지난해 말 5.07%였던 새마을금고의 연체율은 올해 1월 6%대로 뛰더니 2월과 3월엔 7%대까지 반등했다. 이에 한국자산관리공사(캠코)와 새마을금고중앙회는 지난 6월 각각 2,000억원을 출자해 총 4,000억원 규모의 '새마을금고 금융 안정 지원펀드'를 결성했다. 캠코 차원에서 1조1,000억원 규모로 조성한 'PF 정상화 펀드'(캠코펀드)도 가동했다.

제2금융권은 앞으로도 공동매각을 통해 NPL 털기를 본격화할 방침이다. 공동매각을 활용하면 비교적 매각 규모가 작아 낙착률이나 가격 협상력 등에서 불리할 수밖에 없다는 기존의 단점을 해소할 수 있어서다. 다만 시장에선 NPL 매각이 향후에도 원활히 이뤄질 수 있을지 의문이라는 반응이 적지 않다. 이미 은행권 전반이 NPL 매각 규모를 크게 확대한 상황이기 때문이다. 실제 은행권은 지난해 4분기에만 2조원 규모의 NPL을 매각한 바 있다. NPL 투자 전문회사들의 NPL 처리 여력이 점차 줄어들고 있단 의미다.

이렇다 보니 NPL 투자사들은 현 상황을 마냥 반기지 못하는 분위기다. 부동산 경기 침체로 담보 회수 가능성이 불투명해진 가운데 NPL 매각 규모가 커져 부담이 늘었다는 볼멘소리도 나온다. 통상 NPL 투자사들은 금융사로부터 NPL을 매입한 후 채권 담보인 부동산을 경·공매 방식을 통해 매각한 후 수익을 낸다. 그런데 은행권이 NPL을 매각한 규모가 커진 만큼 담보인 부동산 공급도 증가해 경·공매 유찰 횟수가 늘어났다는 게 업계 관계자의 설명이다. 경공매 시장에선 한번 유찰될 때마다 기존 감정가의 20~30%를 떨어뜨리는 저감율이 적용된다. 이에 대해 NPL 투자사 관계자는 "올해 NPL이 많이 나온다고 무턱대고 매입하다간 잦은 유찰로 인해 오히려 손에 남는 이익이 더 적을 수 있다는 고민이 생겼다"고 전했다.

Picture

Member for

3 months
Real name
박창진
Position
연구원
Bio
[email protected]
지근거리를 비추는 등불은 앞을 향할 때 비로소 제빛을 발하는 법입니다. 과거로 말미암아 나아가야 할 방향성을 비출 수 있도록 노력하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