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main content
이익잉여금 결손 금고만 전국 132곳, 새마을금고 자본 건전성 빨간불
Picture

Member for

1 month
Real name
김동현
Position
기자
Bio
[email protected]
가공되지 않은 정보는 거칠기 마련입니다. 파편화된 정보를 정리해 사회 현장을 부드럽고도 가감 없이 전달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습니다.

수정

대손충당금 추가 적립에 손실 입은 새마을금고, 이익잉여금 결손 금고 대량 발생
지난해 대비 연체율 2.17%p 증가, 실적 기반도 악화 수순
금고 자본잠식 시 중앙회서 집중 관리, 경영개선 못 이루면 합병 처분도 가능
MG_FE_20240913

새마을금고의 자본 건전성에 빨간불이 켜졌다. 올해 상반기 대규모 적자로 이익잉여금 결손 전환한 금고가 대량 발생한 탓이다. 통상 금융권에서 이익잉여금 결손은 자본잠식의 징조로 해석된다.

새마을금고 10곳 중 1곳꼴로 이익잉여금 결손 발생

13일 업계에 따르면 올해 상반기 전국 1,284곳 새마을금고 중 132곳이 적자로 인한 이익잉여금 결손 상황에 부닥쳤다. 10곳 중 1곳꼴로 이익잉여금 결손이 발생한 셈이다. 규모별로 보면 결손이 10억원을 웃도는 금고 수는 56개였고 이 중 3개 금고에선 100억원대 결손이 있었다. 지역별로 살펴보면 서울 내 결손 금고 수(25개)가 가장 많았으며, 뒤로는 부산(18개)과 대구(17개)가 순서대로 이어졌다.

이익잉여금이란 법정적립금, 특별적립금, 임의적립금을 합산한 개념으로 각 금고가 영업수익 중 일부를 적립한 돈이다. 이익잉여금은 각 금고에서 순손실이 발생했을 때 이 손실을 보전하는 데 쓰이고, 금고 출범 후 지금까지 적립한 이익잉여금보다 더 큰 적자가 발생해 이익잉여금을 모두 썼을 때 이익잉여금 결손이 생긴다. 결국 이익잉여금 결손이 발생했다는 건 자본 건전성이 위험 수위에 도달했단 의미다.

이에 금융권에선 새마을금고의 건전성 관리 노력이 손실을 키웠단 의견이 나온다. 앞서 새마을금고는 연초 이후 지난 6월 말까지 1조4,000억원의 대손충당금을 추가로 적립했다. 충당금이란 금융사가 회수 불가능하다고 예상한 채권을 미리 비용으로 분류하는 것을 뜻한다. 재무제표상 비용으로 처리되기 때문에 통상 회사의 충당금 규모가 커질수록 이익은 줄고 손실이 늘어난다.

충당금 추가 적립 당시 새마을금고의 태도는 지극히 낙관적이었다. 한 새마을금고 고위 관계자는 "지난해 쌓아둔 이익잉여금과 특별·임의 적립금이 있으니 손실 규모는 극복 가능한 수준"이라고 강조하기도 했다. 그러나 손실 규모가 예상외로 커지면서 일부 금고의 여력을 뛰어넘었고, 결국 상반기 들어서만 81곳의 금고가 이익잉여금 결손으로 전환했다. 전체 결손 발생 금고 중 절반 이상이 올해 상반기 새로 발생했단 것이다.

MG NPL 001 FE 20240722

전체 연체율도 7%대 돌입

금고가 결손에서 벗어나려면 순이익을 낸 뒤 이익잉여금을 다시 쌓아야 하지만 금융권 관계자들은 결손을 털어내는 게 사실상 불가능하다고 보고 있다. 적자 상황에선 영업수익 중 일부를 손실 보전에 먼저 투입하기에 이익잉여금 결손을 해결할 만한 여력을 남기기 어렵단 이유에서다.

실적 기반이 악화하고 있단 점도 문제다. 행정안전부가 지난달 30일 발표한 '2024년 상반기 영업실적(잠정)'을 보면 6월 말 기준 새마을금고의 전체 연체율은 7.24%로 지난해 말(5.07%)보다 2.17%p 상승했다. 구체적으로는 기업대출 연체율이 11.15%로 지난해 말(7.74%) 대비 3.41%p 급증했고, 가계대출 연체율은 1.77%로 지난해 말(1.52%) 대비 0.25%p가량 오른 것으로 나타났다.

지역 금고 '대규모 합병' 현실화하나

상황이 이렇다 보니 일각에선 지역 금고 간 대규모 합병이 진행되는 것 아니냐는 의견이 나오기도 한다. 결손 금액이 커져 자본잠식에 도달한 금고는 원칙상 경영개선 대상으로 분류돼 새마을금고중앙회의 관리를 받게 된다. 이후 금고는 2개월 이내 중앙회에 경영개선 계획안을 제출한 뒤 경영개선을 이뤄야 하는데, 중앙회 관리 기간 동안 개선이 이뤄지지 않을 경우 금고는 합병 처분을 받을 수 있다.

새마을금고중앙회 홈페이지에 개시된 '지역 금고 수시 공시'를 보면 지난해 4월 이후 1년간 90개 금고가 96번의 경영개선 권고·요구를 받았다. 경영개선 권고·요구는 중앙회가 지역 금고의 경영 실태를 살펴보고 기준에 미달할 경우 내리는 경고 조치다. 지역 금고가 자본 적정성 또는 자산 건전성 분야에서 취약(4등급)이나 위험(5등급) 판정을 받으면 권고가, 종합경영평가에서 취약이나 위험 판정을 받으면 요구가 내려지는 것으로 알려졌다.

경고 조치를 받은 지역 금고들은 자기자본 비율이 낮거나 부실채권 비율이 높았다. 실례로 경북의 한 새마을금고는 2022년에 이어 지난해 말에도 국제결제은행(BIS) 기준 자기자본비율이 -0.01%로 집계된 것으로 확인됐다. 이미 자본 적정성 및 건전성 분야에서 취약점을 드러낸 금고가 다수 있었단 의미다. 이런 가운데 상반기 불거진 이익잉여금 결손 문제가 장기화하면 중앙회가 구제책으로 대규모 합병 카드를 꺼낼 수 있다는 게 이들의 주장이다.

Picture

Member for

1 month
Real name
김동현
Position
기자
Bio
[email protected]
가공되지 않은 정보는 거칠기 마련입니다. 파편화된 정보를 정리해 사회 현장을 부드럽고도 가감 없이 전달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