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main content
구글, 사이버 보안 스타트업 '위즈' 46조원에 인수
Picture

Member for

5 months 4 weeks
Real name
남윤정
Position
기자
Bio
[email protected]
금융 산업에서의 경험을 바탕으로 정확하고 이해하기 쉬운 기사를 쓰겠습니다. 경제 활력에 작은 보탬이 되기 바랍니다.

수정

美 규제당국의 승인 절차 남아있어
2026년 반독점 심의·승인 완료 전망
인수 종결되면 클라우드 사업부 합류
사진=위즈

구글이 클라우드 보안 스타트업 위즈(Wiz)를 320억 달러에 인수하기로 결정했다. 이번 인수를 통해 구글은 클라우드 보안 역량을 강화하고 주요 빅테크를 고객사로 확보하면서 경쟁이 치열한 클라우드 시장에서 입지를 공고히 한다는 계획이다. 그러나 반독점 심사라는 변수가 남아 있어 규제당국의 심의·승인 과정이 향후 거래 성사 여부를 가를 핵심 요소가 될 전망이다.

구글, 사상 최대 규모 M&A '전략적 투자' 단행

18일(현지시각) 구글 모회사 알파벳은 이스라엘에 본사를 둔 위즈를 전액 현금 거래로 320억 달러에 인수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이번 인수 계약은 구글 역사상 최대 규모의 M&A다. 알파벳은 보도자료를 통해 "구글 클라우드는 클라우드 인프라 분야의 선두 주자로, 인공지능(AI) 전문성과 업계 최고의 보안 혁신 실적을 보유하고 있다"며 "위즈 인수를 통해 솔루션을 개선함으로써 클라우드 보안을 강화하고 멀티 클라우드 활용을 촉진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전했다.

다만 이번 거래가 최종적으로 성사되려면 당국의 반독점 심사를 통과해야 한다. 월스트리트저널(WSJ) 등에 따르면 심사가 마무리되는 시기는 2026년으로 예상된다. 거래가 종결되면 위즈는 구글의 클라우드 사업부에 합류할 예정이다. WSJ은 "시장 변동성과 미국 내 정치적 혼란으로 투자 심리가 위축된 상황에서 알파벳이 사상 최대 규모의 인수를 추진하는 것은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의 반독점 규제 기조를 시험하는 계기가 될 것"이라며, "이는 향후 다른 빅테크의 M&A에도 중요한 기준점이 될 것으로 보인다"고 분석했다.

사진=위즈

지난해 인수 추진했으나 반독점 리스크에 결렬

위즈는 클라우드 컴퓨팅용 사이버 보안 소프트웨어를 제공하는 기업으로, 지난 2020년 아사프 라파포트 최고경영자(CEO)를 포함해 이스라엘 군 출신 4명이 공동 창업했다. 이들은 세계적인 수준의 사이버 보안 전문가를 다수 배출한 엘리트 정보 부대 '유닛8200' 출신으로 강력한 기술력을 기반으로 빠르게 시장에서 입지를 다졌다. 위즈는 클라우드 환경에서 대규모 데이터를 분석해 보안 위험을 식별하고 제거하는 플랫폼을 제공해 왔는데 특히 여러 클라우드 서비스들을 버무려 쓰는 대형 엔터프라이즈 고객을 기반으로 고성장을 이뤘다.

현재 위즈는 구글, 아마존, 마이크로소프트(MS) 등 주요 클라우드 기업을 고객사로 두고 있다. 구글은 위즈 인수 이후에도 자사 클라우드뿐만 아니라 아마존웹서비스(AWS), MS 애저 등 다른 클라우드 플랫폼도 계속 지원할 방침이다. 이 때문에 업계에서는 구글이 위즈를 통해 맨디언트(Mandiant) 등 자사의 다른 클라우드 서비스를 판매할 기회를 확보할 것으로 평가한다. 이에 대해 디인포메이션은 과거 MS가 유명 엔터프라이즈 소프트웨어 회사들을 인수하고 이를 자사 클라우드 비즈니스에서 선보인 것과 약간 비슷한 행보라고 전했다.

다만 넘어야 할 산도 있다. 구글은 지난해 하반기 위즈를 약 230억 달러에 인수하기 위해 논의를 진행했으나 실패했다. 미 법무부가 구글을 상대로 2건의 반독점 소송을 진행 중인 상황에서 위즈 측이 규제 승인에 회의적인 태도를 보이며 협상이 결렬된 것이다. 이후 위즈는 기업공개(IPO)를 검토했으나 결국 별다른 진전 없이 협상 테이블로 복귀했다. 로이터통신은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의 친기업적 정책, 반독점 규제 완화 기조가 재협상을 촉진했다"며 "트럼프 대통령 재집권 직후 양사 간 회담이 본격화되며 분위기를 반전시켰다"고 분석했다.

그 사이 기업 가치도 상승했다. 지난해 말 IPO를 준비하던 위즈가 직원 매수 제안을 통해 추산한 기업 가치는 160억 달러였다. 하지만 첫 번째 인수 논의 당시 구글은 아마존, MS 등 주요 빅테크를 고객사로 확보한 점을 높게 평가하며 위즈 측에 추산한 기업 가치보다 높은 230억 달러를 제안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번에 구글 측이 제시한 인수 제안가는 320억 달러로 3개월 새 기업 가치가 40% 이상 상향 조정됐다. 업계에서는 현재 위즈의 연간 반복 매출(ARR)이 약 7억 달러 수준으로, 향후 1년 이내에 10억 달러 규모로 성장할 것으로 추산한다. 

구글, 클라우드 사업을 미래 핵심 사업으로 낙점

구글이 이처럼 위즈의 기업 가치를 뛰어넘어 사상 최대 규모의 투자를 단행한 이유는 클라우드 시장에서의 경쟁력 강화를 위해 보안 등 핵심 기술 확보가 필수적이라고 판단했기 때문이다. 검색 비즈니스 시장이 이미 성숙기에 접어든 상황에서 구글은 클라우드 부문을 가장 유망한 성장 동력으로 보고 있다. 실제로 최근 실적 발표에서 아나트 애슈케나지 알파벳 최고재무책임자(CFO)는 "올해 AI와 클라우드 같은 주요 투자 영역에서 일부 인력 확충이 있을 것"이라고 밝히며 클라우드 분야에 대한 지속적인 관심과 투자를 시사했다.

지난해 3분기 구글 클라우드의 글로벌 시장 점유율 12%로 아마존 AWS(32%), MS 애저(23%)에 이어 3위에 올랐다. 2년 전과 비교하면 아마존 점유율은 34%에서 2%포인트 하락한 반면, MS와 구글은 각각 3%포인트와 1%포인트 상승했다. 구글은 성장률 측면에서도 경쟁사를 앞서 나가고 있다. 최근에는 매 분기 30% 안팎의 높은 성장률을 기록하며 MS를 넘어섰다. 지난해 3분기 구글 클라우드의 성장률은 35%로 MS 애저(33%), 아마존 AWS(19%)를 능가했다. 이는 시장 예상치(29%)와 직전 분기 증가율(28.8%)을 모두 상회하는 수치다.

구글은 경쟁사에 대한 추격을 더욱 강화하기 위해 보안 부문에 대한 대응력을 제고하는 데 역점을 두고 있다. 최근 사이버 공격이 더 빈번해지고 정교해지면서 중요한 인프라와 금융 기관, 민간 기업 등 광범위한 영역에서 보안 위협이 증가하고 있기 때문이다. 전문가들은 "위즈의 첨단 사이버 보안 기술은 고객의 신뢰를 유지하고 클라우드 서비스의 안전성을 보장하는 데 핵심적인 역할을 할 것"이라며 "위즈의 강력한 보안 솔루션이 구글 생태계에 통합되면 구글뿐 아니라 글로벌 사이버 보안 산업 차원에서도 중요한 이정표가 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Picture

Member for

5 months 4 weeks
Real name
남윤정
Position
기자
Bio
[email protected]
금융 산업에서의 경험을 바탕으로 정확하고 이해하기 쉬운 기사를 쓰겠습니다. 경제 활력에 작은 보탬이 되기 바랍니다.